백과사전 상세 본문
인간과 기기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인간 친화적인 방식으로 기기를 조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키보드나 마우스 등의 입력 방식 대신 음성이나 동작, 얼굴 인식 등을 통한 조작 방법이 이에 해당한다. 스마트 기기 하드웨어의 상향 평준화로 인해 하드웨어의 스펙만으로는 제품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IT 업계는 스마트 인터랙션에 공을 들이고 있다. 스마트 인터랙션은 2011년 애플이 시리(Siri)를 선보이면서 확산하기 시작했으며, 2012년 삼성전자가 신형 스마트TV에 음성 인식, 동작 인식, 얼굴 인식 기술을 대거 채용하면서 시장 경쟁에 불이 붙었다. 스마트 인터랙션이 IT기업의 중요한 경쟁력으로 부상하면서 인수·합병도 늘어나고 있다.
류한석은 2012년 12월 "기계에 인간을 맞추던 시대는 끝났다. 이제는 보다 인간 친화적인 기계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구현해주는 기술이 스마트 인터랙션이다"라며 "앞으로 스마트 인터랙션은 단순히 기능의 일부나 UI의 구성 요소가 아니라 IT기업들의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비즈오션, '스마트 인터랙션 이용 터치리스 인식 기술 전망 세미나' 열어」, 『전자신문』, 2014년 9월 3일.
- ・ 류한석, 「이제 '스마트 인터랙션'이 경쟁력이다」, 『주간경향』, 1005호(2012년 12월 18일).
글
출처
전체목차
Culture Section
그래픽노블
다운에이징
드라마셀러
디스
디스 신드롬
로열 와이프
레테크
먹송
몸캠 피싱
무비컬
병맛
뽀샵
스낵 컬처
스마툰
스몰 럭셔리
스팀펑크
어뷰징
정크아트
지름신
파라소셜
팝저씨
퍼블리시티권
푸드 포르노
캘리그래피
해피 슬래핑
Media Section
내러티브 저널리즘
뉴스 어뷰징
다채널 편성
린백
마을 미디어
메이크오버 프로그램
방송 프로그램 포맷 시장
버즈피드
본방사수
VOD 광고
3주 홀드백
세컨드 스크린
소셜 저널리즘
SNS 인생 도둑
우상극
웹드라마
인터랙티브 저널리즘
주선율 드라마
코드제로족
코드커팅
크라우드소싱 저널리즘
트위터 저널리즘
폭식 시청
허핑턴포스트
휘발성 SNS
Digital Section
관종
구글링
다운로더블 테러
Don't be evil
디지털 용병
라이프 로그
바이오 해커
사이버 불링
사이버 액티비즘
소셜 리딩
소셜 센서
스마트폰 노안
FTAD
웨트웨어
웹 캠페인
인터넷 검색 만능주의
자기정보 결정권
커넥티즌
트위터롤로지
패스워드 증후군
포크소노미
플픽
해시태그
해시태그 행동주의
해커톤
Technology Section
다크넷
라이크 이코노미
라이파이
라이프스트림
만리장성 방화벽
만물인터넷
메모리 해킹
봇 프로그램
BBI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 논란
사회공학적 해킹
소셜 그래프
스마트 그리드
스마트 인터랙션
스마트 홈
스큐어모프
스테가노그래피
아이폰 탈옥
MWC
OTT
자기 측정
저커버그의 법칙
테크노스트레스 증후군
패킷 감청
Economy Section
구글러
그라운드스웰
금깡
다크 풀
리버스 로테이션
리베이트
린 인
무역이득공유제
번아웃 쇼핑
브랜드 브로커
블랙 기업
빅 배스
살찐 고양이
아이폰 인문학
열정 페이
요즈마 펀드
유리절벽
이노베이터의 딜레마
컬러 테라피
크림 스키밍
T커머스
피케티 패닉
핀테크
핀테크 논쟁
후계자 리스크
Marketing Section
감성 마케팅
고의적 진부화
공포 마케팅
기부 마케팅
네이티브 광고
네이티브 광고 논쟁
뉴로 마케팅
덕후북
데카르트 마케팅
레트로 마케팅
리부트
리타깃팅 광고
비콘
쇼퍼 마케팅
HMR
에잇 포켓
역쇼루밍
O2O 마케팅
옴니채널
자기 보상 소비
컴플레인 마케팅
콘텐츠 마케팅
패키징
펫 네임
한정판 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