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트렌드지식사
전3

레테크

다른 표기 언어
레고 (lego)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블록 장난감 레고와 재테크를 합성한 말로, 아이들의 장난감으로 여겨졌던 레고가 단종된 희귀품을 중심으로 성인들에게 투자 상품으로 인기를 끌면서 등장했다. 레고는 덴마크어로 '레그 고트(leg godt)', 즉 '잘 논다'는 의미다. 2013년 현재 레고 전문 커뮤니티 '브릭나라'에는 매일 200~300건의 거래 글이 올라오며 재테크를 목적으로 레고를 사재기하는 사람들도 생겼다. 레테크 현상은 레고의 한정판 마케팅과 관련이 깊다. 레고는 한번 출시된 제품은 더 이상 제작·판매하지 않는데,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레고를 모아두면 가격이 오른다"는 입소문이 퍼진 것이다.

단종이 빨리 될수록 중고 가격도 급상승한다. 일단 단종이 되고 나면 온라인 레고 커뮤니티나 중고 거래 카페, 해외 구매 대행 등을 통해서만 한정적으로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2007년 50만 원 정도에 출시된 '스타워즈 밀레니엄 팔콘'은 2013년 현재 중고가가 290만 원에 달하며 2008년 나온 '레고 타지마할'은 30만 원에서 100만 원으로 껑충 뛰었다. 단종된 레고 인기 제품은 박스를 뜯지 않은 채 팔면 보통 30퍼센트에서 많게는 배 가까이 프리미엄이 붙는 것으로 알려졌다.

키덜트(kidult)족의 급증도 레테크 열풍을 부추기는 이유 가운데 하나다. 키덜트는 아이(kid)와 어른(adult)의 합성어로, 20~30대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어린이의 분위기와 감성을 간직하고 추구하는 성인을 일컫는 말이다. 어릴 적 레고를 가지고 놀아본 경험이 있는 30~40대가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소비했던 경험에 따라 적극적으로 지갑을 여는 것이다. 유통업체의 '레고 마케팅'도 치열하다. 2013년 이마트는 서울 성수점, 월계점 등 10곳에 49~132제곱미터(약 15~40평) 규모의 레고 단독 매장을 열었으며, 롯데마트는 송파점, 중계점 등 문화센터 30여 곳에서 레고 조립 강좌를 진행하고 있다.

진정한 레고 마니아를 자처하는 사람들은 레테크 열풍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지만, 자신의 취향을 즐기면서 재테크도 할 수 있는 일거양득의 효과 때문에 레테크 열풍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된다. 레테크는 쇼테크의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쇼테크는 쇼핑하면서 돈을 버는 사람들을 이르는 말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박상익, 「레고가 장난감?…이젠 5배 수익 재테크!」, 『한국경제』, 2013년 10월 28일.
  • ・ 이학선, 「쇼핑하고 돈 벌고 '쇼테크族' 뜬다」, 『이데일리』, 2013년 7월 3일.
  • ・ 김범석, 「레고 모으는 프렌디 "아이와 소통하고 재테크도"」, 『동아일보』, 2013년 5월 3일.

김환표 집필자 소개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출처

트렌드지식사전3
트렌드지식사전3 | 저자김환표 | cp명인물과사상사 도서 소개

문화, 경제, 정치, 사회, 디지털, 광고, 마케팅 최신 키워드로 우리 시대를 독해하다! 대중문화 현상과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 관련 200개의 키워드를 선별해..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일반상식

일반상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레테크트렌드지식사전3,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