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트렌드지식사
전3

패스워드 증후군

다른 표기 언어 Password Syndrome
패스워드 증후군 (Password Syndrome)

보안을 높이기 위한 잦은 비밀번호 설정과 변경으로 현대인이 겪고 있는 정신적 혼란을 이르는 말이다.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보안을 높이기 위한 잦은 비밀번호 설정과 변경으로 현대인이 겪고 있는 정신적 혼란을 이르는 말이다. 정보화 사회에 등장한 신종병이라 할 수 있겠다. 비밀번호를 복잡하게 만들고 바꾸지만 정작 자신이 만든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게 패스워드 증후군의 전형적인 증상이다. 패스워드 증후군은 2014년 널리 알려졌지만 정보화 사회가 본격화된 1990년대에 이미 등장한 말이다. 은행 통장, 신용카드, PC 통신, 호출기 등에 각각 다른 패스워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한 가운데 각각의 패스워드들을 기억해내지 못해 발급 기관에 문의, 확인한 후에 서비스를 이용하는 일이 자주 발생했기 때문이다.

패스워드 증후군이 발생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스마트 기기의 급속한 보급과 모바일 경제의 활성화로 장소와 시간의 제약 없이 인터넷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일이 크게 증가했다. 둘째, 해킹과 같은 사이버 범죄가 증가하면서 개인 정보 유출이 사회문제로 부각되자 복잡한 비밀번호 조합을 요구하는 곳이 많아졌다. 실제 각 인터넷 사이트마다 암기하기가 쉽지 않은 두 자릿수의 비밀번호와, 비밀번호의 주기적 변경을 요구하고 있으며, 네이버와 다음 등 한국의 주요 포털사이트는 물론이고 페이스북, 트위터 등 이용률이 높은 사이트 등도 6~16자리의 비밀번호를 요구한다. 또 반드시 영문 알파벳과 숫자를 혼용하도록 요구하는 사이트도 있으며, 같은 문자를 세 번 이상 연속으로 쓸 수 없도록 한 사이트도 적지 않다.

인터넷 사이트들은 개인 정보 보안을 위해서는 복잡한 비밀번호 조합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예컨대 에릭 슈밋은 "정보를 지키는 것은 개인의 몫"이라며 "유아기 때부터 비밀번호를 다각화하는 등 자신의 정보를 잘 관리하고 보호하는 법을 가르쳐야 하는 시대가 왔다"고 말한다. 정보 보안을 위해 개인들이 노력해야 한다는 말은 맞지만, 비밀번호를 복잡하게 설정하더라도 해킹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기본적으로 해킹은 개인을 겨냥하기보다 특정 사이트에 저장된 전체 개인 정보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복잡한 비밀번호를 설정해도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개인에게 정보 보안 책임을 미루는 복잡한 비밀번호 설정보다 국가와 기업 차원에서 근본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정보시대 신종 病 "패스워드 증후군"증가」, 『연합뉴스』, 1996년 12월 5일.
  • ・ 이강원, 「슈미트·코언 "인터넷엔 삭제키 없다…사생활 수호해야"」, 『연합뉴스』, 2013년 5월 1일.
  • ・ 조병욱, 「영문·숫자·특수문자까지…'비번 암기 스트레스'」, 『세계일보』, 2013년 7월 5일.

김환표 집필자 소개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출처

트렌드지식사전3
트렌드지식사전3 | 저자김환표 | cp명인물과사상사 도서 소개

문화, 경제, 정치, 사회, 디지털, 광고, 마케팅 최신 키워드로 우리 시대를 독해하다! 대중문화 현상과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 관련 200개의 키워드를 선별해..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패스워드 증후군트렌드지식사전3,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