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트렌드지식사
전3

에코 세대

다른 표기 언어 Echo-Boom Generation

1979년에서 1992년 사이에 태어난 세대로, 베이비붐 세대(1955~ 1963년)의 자녀 세대를 말한다. 한국전쟁 이후 태어난 베이비붐 세대가 메아리(echo)처럼 다시 출생 붐을 일으켜 태어났다는 의미에서 에코 세대라 부른다. 2013년 10월 통계청 기준으로 에코 세대는 1,008만 명에 달하는데, 이는 전체 인구의 20퍼센트를 넘는 수치다. 에코 세대는 풍족한 환경에서 자라 유행에 민감하고, 쇼핑을 좋아하며, 컴퓨터와 IT에 능하지만 학자금 대출이나 취업난 등으로 인해 사회 진입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기도 하다.

에코 세대는 '삼포세대(三抛世代)'로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취업난으로 인해 취업·결혼·출산을 포기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에코 세대가 절망의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메킨리글로벌연구소는 에코 세대를 '암울한 세대'라고 했다. 아무리 노력해도 취업난과 주거 비용, 고공 행진하는 물가, 젊어서 많이 내고 늙어서 적게 받는 연금 구조 등으로 인해 이들의 미래가 암울하기 때문이라는 게 그 이유다.

2013년 5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내놓은 '우리나라 세대별 자살 특성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에코 세대의 자살률(10만 명당 자살 사망자)은 2001년 4.79명에서 2010년 24.54명으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송태민은 "에코 세대의 자살률 급증은 2007년 이후 학자금 대출에 따른 신용 불량자 증가, 생활고, 취업난, 학업 문제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된다"고 했다. 에코 세대가 전세값 폭등의 복병으로 등장했다는 해석도 있다. 이들은 베이비부머와 달리 집을 소유하려 하기보다는 단순하게 주거하는 공간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강한데, 결혼과 사회 진출 본격화로 인해 주택임차시장의 유효수요가 크게 늘면서 전셋값 상승을 이끌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에코 세대의 신규 주택 수요가 본격화하고 있는 만큼 에코 세대의 임차 수요 증가와 이에 따른 전세난 가중에 대비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대안을 고민할 때라고 지적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안준헌, 「에코 세대의 슬픔」, 『강원도민일보』, 2013년 3월 29일.
  • ・ 신호경, 「1979~92년생 '에코 세대' 자살률 10년 새 5배」, 『연합뉴스』, 2013년 5월 7일.
  • ・ 임상연·지영호, 「1,000만 '에코부머' 몰려온다…전세난 고착화 우려」, 『머니투데이』, 2013년 10월 31일.

김환표 집필자 소개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출처

트렌드지식사전3
트렌드지식사전3 | 저자김환표 | cp명인물과사상사 도서 소개

문화, 경제, 정치, 사회, 디지털, 광고, 마케팅 최신 키워드로 우리 시대를 독해하다! 대중문화 현상과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 관련 200개의 키워드를 선별해..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에코 세대트렌드지식사전3,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