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트렌드지식사
전3

로열 와이프

다른 표기 언어 Royal Wife
로열 와이프 (Royal Wife)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비싼 주방 용품을 구매하는 주부들을 일컫는 말이다. 로열 와이프의 증가는 로열 베이비 현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된다. 2013년 영국 케이트 미들턴 왕세손비가 이른바 '로열 베이비'를 출산한 후 비싼 가격이지만 소장 가치가 있다는 입소문이 나면서 한국에서도 영국산 육아 용품에 대한 수요가 커졌는데, 그런 소비 심리가 주방 용품으로까지 번졌다는 것이다. 2013년 8월 오픈마켓 11번가가 최근 2주간 주방 용품 매출을 분석한 결과 프리미엄 주방 용품 매출이 2012년 같은 기간 대비 118퍼센트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로열 와이프 현상은 한국인의 명품 사랑이 주방 용품으로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2013년 강남을 중심으로 빠르게 번진 이른바 '강남냉장고'도 로열 와이프가 불러온 현상이다. 스메그(SMEG)라는 이름의 이 냉장고는 용량도 작고 기능도 적은 반면 가격은 다른 냉장고의 두 배 가까울 정도로 비쌌음에도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한국에서 소비가 급증하자 스메그는 전체 9개 생산 라인 중 1개를 한국 전용 라인으로 할당하기도 했다.

스메그를 구입한 한 주부는 "국산 냉장고가 가격 대비 성능이 좋은지는 알지만 그렇다고 집에 하나 더 두고 싶은 욕심이 생기는 디자인은 아니지 않으냐"면서 "생활 가전이 인테리어 소품 노릇을 한다는 점에서 스메그는 훌륭한 세컨드 가전"이라고 말했다. 로열 와이프가 증가하면서 유통업계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타깃 마케팅을 강화하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유윤정, 「로열 베이비 열풍 이어 주방 용품도 로열 열풍」, 『조선일보』, 2013년 8월 20일.
  • ・ 엄성원, 「주방 용품도 명품 열풍…"비싸도 잘팔리네"」, 『머니투데이』, 2013년 8월 20일.
  • ・ 유영규, 「강남 아줌마들은 왜 '스메그'에 열광하나」, 『서울신문』, 2013년 7월 26일.

김환표 집필자 소개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출처

트렌드지식사전3
트렌드지식사전3 | 저자김환표 | cp명인물과사상사 도서 소개

문화, 경제, 정치, 사회, 디지털, 광고, 마케팅 최신 키워드로 우리 시대를 독해하다! 대중문화 현상과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 관련 200개의 키워드를 선별해..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일반상식

일반상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로열 와이프트렌드지식사전3,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