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트렌드지식사
전3

그래픽노블

다른 표기 언어 Graphic Novel

문학작품처럼 깊이 있고 예술성 넘치는 작가주의 만화를 일컫는 말이다. 기존 코믹스에선 보기 힘든 깊이를 추구하며 예술적 실험성이 두드러지는 게 특징이다. 바로 이런 이유 때문에 그림 소설, 문예 만화라고도 한다. 그래픽노블은 만화의 형식을 빌리지만 소설처럼 길고 복잡한 스토리라인을 가지고 있는데, 이야기가 완결되는 구조의 만화책을 그래픽노블, 『배트맨』이나 『슈퍼맨』처럼 시리즈로 이어지는 만화는 코믹스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한빛은 "미국과 유럽에서는 '만화'를 통칭하는 용어로 쓰이기도 하는 그래픽노블은 냉전 이후 자본주의가 급속히 팽창하던 시기에 유행하던 슈퍼 히어로물에서 벗어나 문학성과 예술성이 강조된 새로운 장르를 일컫는다"면서 "유럽의 소설적 상상력과 복잡한 스토리라인을 바탕으로 회화적 표현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그래픽노블은 애니메이션 마니아 집단(오타쿠)의 광적인 취미 활동이 예술 영역으로 발전한 결과물이다. 만화라는 장르가 아이들 취향과 유치함에 그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히 드러낸다"고 말한다.

1978년 미국에서 등장했으며 1992년 만화로는 최초로 퓰리처상을 수상한 미국 만화가 아트 슈피겔만의 『쥐(The Complete Maus)』가 대표적인 그래픽노블에 해당한다. 미국의 만화 전문 출판사인 마블 코믹스나 DC 코믹스에서 발간한 유명 히어로들의 코믹스 시리즈도 좀더 깊은 스토리와 세계관 성립이 필요할 때 그래픽노블의 형식을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외국에서 그래픽노블은 하나의 장르로 자리를 잡았지만 한국에서는 코믹스에 비해 진지하기 때문에 외면을 받았는데, 2013년경부터 웹툰 시장이 커지고 그래픽노블을 원작으로 한 영화가 잇달아 히트하면서 그래픽노블 시장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2013년 개봉한 <설국열차>나 2014년 개봉한 <프랑켄슈타인: 불멸의 영웅>, <300: 제국의 부활>,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 등이 그런 경우다. 한국에서 그래픽노블은 만화 출판사가 아닌 인문 예술서 출판사들이 주도적으로 출간해왔다. 2005년 민음사의 시각 문화 전문 브랜드 세미콜론과, 같은 해 열린책들의 예술 전문 출판사 미메시스 등에서 미국과 유럽의 그래픽노블을 독자에게 선보이기 시작했다. 2014년 1월 20일 창간한 만화 전문 잡지 『이미지 앤 노블』은 '문예 만화'를 기치로 내걸고 웹툰이 주는 경쾌한 웃음과 즉각적인 반응에 맞서 인문학적 지식을 추구하겠다고 말했다. 『이미지 앤 노블』은 풍부하고 예술적인 시각 연출과 문학적 깊이가 있는 서사를 담은 만화를 '문예 만화'로 정의하고 만화와 일러스트레이션, 소설 등을 담았는데, 이상문학상 대상 수상자인 소설가 편혜영의 대표작 『서쪽 숲에 갔다』를 만화가이자 영화감독인 변병준 작가가 만화로 만든 작품을 선보이는 등 소설과 만화의 컬래버레이션도 시도했다.

아트 슈피겔만 (Art Spiegelman))

그래픽노블의 대표적인 만화가

ⓒ Chris Anthony Diaz/위키피디아 | CC BY 2.0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이한빛, 「만화, 예술로의 귀환…한 컷속의 스토리텔링」, 『헤럴드경제』, 2014년 1월 14일.
  • ・ 박영주, 「프랑켄슈타인·300·스파이더맨…쏟아진다, 그래픽노블 영화들」, 『뉴시스』, 2014년 1월 23일.
  • ・ 정상혁, 「만화와 예술 사이 '그래픽노블'」, 『조선일보』, 2014년 2월 24일.
  • ・ 박소영, 「신·구 작가 400여 명 총출동 '만화 같은 풍경': 만화가협회 회장 뽑던 날」, 『한국일보』, 2014년 2월 8일.

김환표 집필자 소개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출처

트렌드지식사전3
트렌드지식사전3 | 저자김환표 | cp명인물과사상사 도서 소개

문화, 경제, 정치, 사회, 디지털, 광고, 마케팅 최신 키워드로 우리 시대를 독해하다! 대중문화 현상과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 관련 200개의 키워드를 선별해..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일반상식

일반상식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그래픽노블트렌드지식사전3,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