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트렌드지식사
전3

본방사수

다른 표기 언어
본방사수

아무리 바빠도 재방송이나 인터넷 다운로드가 아닌 본 방송 시간에 드라마를 본다는 뜻이다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아무리 바빠도 재방송이나 인터넷 다운로드가 아닌 본 방송 시간에 드라마를 본다는 뜻이다. 본방사수라는 말은 2000년대 중반부터 드라마 폐인들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했다. 드라마에 대한 시청자들의 지지도와 충성심을 반영하는 용어인 동시에 드라마 시청을 독려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주로 '본방을 사수하자'라는 식으로 쓰였는데, 이는 정규 편성 시간에 본 방송을 시청해 해당 드라마의 시청률 집계에 기여하자는 의미다. '닥본사'라는 말도 있는데, 이는 '닥치고 본방사수'의 줄임말이다.

LTE(롱텀에볼루션) 대중화로 무선 인터넷 속도가 빨라지고 N스크린(N-screen) 시대가 개막하는 등, 방송 플랫폼이 다양해지면서 본방사수의 의미는 갈수록 옅어지고 있다. 하나의 콘텐츠를 텔레비전, PC, 스마트폰, 패블릿, 태블릿PC 등 다양한 기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일러 N스크린이라 한다. 시청률 조사 회사 TNmS에 따르면 2014년 상반기 가구당 시청 시간은 2013년 상반기와 비교해 하루 평균 8시간 3분에서 7시간 57분으로 6분가량 줄었는데, 주말에는 차이가 더 심해서, 2013년 상반기 주말 가구 시청 시간에서 13분이 줄어든 9시간 11분이었다.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신이 원하는 콘텐츠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이른바 '몰아보기' 시청 트렌드를 타고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VOD 시장도 본방사수를 위협하고 있다. 시청률 조사 회사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2014년 전국 VOD 시청 가능 가구는 39.77퍼센트로 집계되었는데, 이는 2012년 28.43퍼센트, 2013년 35.42퍼센트에서 꾸준히 증가한 것이다. 수도권에만 한정하면 VOD 시청 가능 가구는 약 50퍼센트에 달해 VOD시장이 뚜렷한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방사수 개념이 옅어지면서 시청률 조사 방식에 대한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김미나, 「숨은 시청률 찾기…'본방사수' 줄고 원하는 시간 선택 늘어」, 『국민일보』, 2014년 7월 2일.
  • ・ 최동현, 「VOD의 습격…'본방사수 부대' 무너지나」, 『아시아경제』, 2015년 1월 13일.

김환표 집필자 소개

IT와 SNS 문화, 사회학에 관심이 많은 문화평론가다.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했다. 월간 『인물과사상』에 ‘사회문화사’를 연재했으며, 지금은 ‘인물 포커스’를 연재하고..펼쳐보기

출처

트렌드지식사전3
트렌드지식사전3 | 저자김환표 | cp명인물과사상사 도서 소개

문화, 경제, 정치, 사회, 디지털, 광고, 마케팅 최신 키워드로 우리 시대를 독해하다! 대중문화 현상과 커뮤니케이션 행위, 사회문화사 관련 200개의 키워드를 선별해..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본방사수트렌드지식사전3, 김환표,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