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직인 100
인
우륵
于勒출생 | 미상 |
---|---|
사망 | 미상 |
가야국 사람으로 가실왕의 뜻으로 12현금을 만들고 가야금 곡 12곡을 지었다.
551년(진흥왕 12) 신라에 투항하고, 552년 대내마 계고와 법지, 대사 만덕 등 세 사람에게 각각 가야금, 노래, 춤을 가르쳤다.
진흥왕에 의해 가야금 곡이 궁중음악이 되었다.
고대 음악의 마에스트로
우륵은 신라의 음악가이다. 그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는 것은 많지 않아 정확한 생존 연대를 알 수는 없지만 가야국 가실왕과 신라 진흥왕 때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는 가실왕의 뜻에 따라 12현금(絃琴, 가야금)을 만들고, 가야금 연주곡 12곡을 지었다.
우륵은 가야국 성열현(省熱縣)에서 살았다고 한다. 성열현의 위치에 대해서는 지금의 경남 의령군 부림면 근처라는 설과 신반해국(散半奚國)이라는 설이 엇갈린다. 결국 그가 어떤 가야에서 태어났는지, 그에게 12현금을 만들도록 한 가실왕이 몇 대 임금인지도 분명치 않다. 다만 가실왕이 우륵에게 “모든 나라의 방언도 각각 서로 다른데, 성음(聲音)이 어찌 하나일 수 있겠는가.”라며 12곡의 악곡을 지으라고 했다는 이야기만 전한다. 이는 가실왕이 음악을 통해 가야의 여러 나라를 하나로 통일하려 했을 것이라는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다 가야국의 정세가 복잡해지자 우륵은 제자 이문(尼文 혹은 泥文)과 함께 낭성에 숨어 살며 노래와 춤을 닦았다. 그러다 그 이름이 신라 진흥왕에게 알려져 우륵과 이문은 궁에서 새 노래를 지어 연주했고, 이에 감동한 진흥왕의 배려로 국원(國原, 지금의 충주)에서 새 삶을 시작하게 되었다. 우륵은 552년 진흥왕이 보낸 대내마(大奈麻) 계고(階古)와 법지(法知), 대사(大舍) 만덕(萬德) 세 사람에게 각각 음악적 재능을 전수하였다. 이때 우륵은 세 사람의 제자를 받아 각각의 재주를 따져 계고에게는 가야금을, 법지에게는 노래를, 만덕에게는 춤을 가르쳤다.
하지만 이 세 제자는 우륵이 만든 12곡을 가리켜 “번거롭기만 하고 바르지 못하다.”라며 5곡으로 줄여 버렸다. 이를 전해들은 우륵은 처음에는 매우 화를 냈지만 곧이어 제자들이 줄인 5곡을 모두 듣고 난 뒤 눈물을 흘리며 “즐거우면서 음란하지 않고, 슬프면서도 비통하지 않으니 가히 바르다 하겠다.”라고 감탄했다고 한다. 시간이 흐른 뒤 진흥왕이 가야금 곡을 궁중음악으로 선포하고 〈하림조(河臨調)〉, 〈눈죽조(嫩竹調)〉의 2조가 생겨 가야금 곡 185곡이 남게 되었다.
우륵이 집대성한 가야 음악은 신라의 대악(아악, 궁정음악)으로 발전했다. 신라에는 전통 음악인 향악이 있었지만 가야의 음악이 훨씬 더 선진적이었기 때문이라고 하는 견해도 있다.
한편으로는 진흥왕이 멸망한 나라의 음악이라며 귀족들이 반대하는 가야의 음악을 대악으로 수용한 것은 왕권 강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보기도 한다. 삼국 통일을 완수할 때까지 민심을 하나로 모아야 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 통일 후 신라가 안정된 다음부터는 더 이상 가야 음악과 신라 음악을 구분할 필요가 없어졌다. 그 옛날 우륵이 전한 가야의 음악이 이미 신라의 음악 안에 완전히 녹아 있었기 때문이다.
우륵이 가야에서 지었던 12곡은 〈상가라도(上加羅都)〉, 〈하가라도(下加羅都)〉, 〈보기(寶伎)〉, 〈달기(達己)〉, 〈사물(思勿)〉, 〈물혜(勿慧)〉, 〈상기물(上奇物)〉, 〈하기물(下奇物)〉, 〈사자기(師子伎)〉, 〈거열(居烈)〉, 〈사팔혜(沙八兮)〉, 〈이사(爾赦)〉이다. 이 가운데 〈보기〉, 〈사자기〉, 〈이사〉의 3곡을 제외한 나머지 9곡은 당시 군현의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충주의 금휴포와 탄금대의 이름은 모두 우륵이 지은 12곡 가운데에서 유래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한국 고대사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의 생애와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 문화와 예술 영역의 인물이 두루 다루어지도록 구성했다. 인물..펼쳐보기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우륵 –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윤재운,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