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직인 100
인
문익점
文益漸출생 | 1329년 |
---|---|
사망 | 1398년 |
공민왕 때 좌정언으로 서장관이 되어 이공수를 따라 원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면서 붓대 속에 목화씨를 감추어 가져왔다고 한다.
공양왕 때 이성계 일파가 추진한 전제 개혁(田制改革)에 반대하다가 조준의 탄핵으로 밀려났다.
의생활을 뒤바꾸다
문익점은 고려의 문신이자 학자로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가져와 고려의 의복 발전에 획기적으로 기여한 인물이다.
문익점의 고향은 강성현(江城縣, 지금의 경상남도 산청)이다. 문숙선(文淑宣)의 아들로 1360년(공민왕 9) 문과에 급제해 김해부사록과 순유박사를 지냈다. 그는 1363년 사간원 좌정언으로 일하다가 일종의 기록관 자격으로 계품사 이공수(李公遂)를 따라 원나라로 갔다. 당시 고려와 원의 관계는 복잡했다. 원에서 벼슬을 하고 있던 고려인 최유(崔濡)가 공민왕을 몰아내고 충선왕의 셋째 아들 덕흥군(德興君)을 새 왕으로 옹립하려고 했다. 이때 원나라 조정은 원에 머무르던 덕흥군을 지지했던 것 같다. 실제로 원은 덕흥군을 고려 왕에 봉하고, 군사 1만 명을 보내 랴오둥까지 진출했을 정도로 의지가 높았다. 하지만 고려의 최영 장군이 원나라 군대를 물리쳐 이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문익점은 원나라에 서장관으로 다녀온 후 덕흥군을 지지했다는 빌미로 귀국하자마자 파직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난 문익점은 원에서 돌아올 때 몰래 숨겨 온 목화씨를 재배하기로 마음먹었다. 그가 원나라에서 탐스러운 목화밭을 보고 나라 밖으로 반출이 금지되어 있던 목화씨를 붓대 속에 감추어 왔다는 일화가 있다. 그는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씨앗을 심었는데 처음에는 재배법을 몰라 한 그루만 겨우 살렸다고 한다. 하지만 두 사람은 3년의 노력 끝에 대량 재배에 성공했다.
그러나 목화를 재배할 수 있게 되었지만 실을 뽑는 방법이 또 난관이었다. 이는 정천익의 집에 머무르던 원나라 출신 승려 홍원(弘願)의 도움으로 해결되었다. 그는 마침 씨를 뽑는 물레 만드는 법을 알고 있었다. 이로써 문익점은 목화를 재배해 옷을 만드는 기술을 확보했다.
1375년(우왕 1) 문익점은 목화 재배에 성공한 공을 인정받아 다시 전의주부에 임명되었고, 1389년에는 좌사의대부에 올랐다. 조선 시대 학자 조식(曺植)은 “백성에게 옷을 입힌 것이 농사를 시작한 옛 중국의 후직(后稷, 상고 시대 중국의 농사를 관장하던 신)과 같다.”라고 그를 찬양했다.
목화는 재배에 성공한 지 10여 년 만에 온 나라에 퍼졌다. 목화의 전래는 우리나라의 의생활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켰다. 목화가 국내에서 재배됨에 따라 그때까지 수입에 의존했던 목면과 솜을 스스로 만들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귀족들만 입던 무명옷과 솜옷을 서민들까지 입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목화씨를 추출하여 솜을 트고, 면직물을 만들기 위해 물레와 가락, 날틀 같은 면직 기구를 제작하고 발달시킴에 따라 생산 도구들이 획기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솜은 옷뿐 아니라 초나 화약의 심지로도 이용되었고, 튼튼한 무명실은 노끈, 낚싯줄, 그물 등 일상용품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무명은 훗날 조선 시대에 들어서는 물물교환 시 통화 수단으로 이용되어 세금을 걷는 기본 통화가 되기도 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일본이나 중국과의 무역에서 주요 수출품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문익점에게 관직 운은 별로 없었던 듯하다. 다시 조정에 복귀했지만 곧 공양왕 때 이성계 일파가 추진한 전제 개혁에 반대하다가 탄핵받았기 때문이다. 그의 공로는 1440년 조선 세종 때에 가서야 영의정에 추증되면서 다시 인정받았다. 문익점과 정천익이 처음 목화를 재배한 경남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에는 ‘문익점 면화시배지(文益漸棉花始培地)’가 남아 있으며, 사적 제108호로 지정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한국 고대사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의 생애와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 문화와 예술 영역의 인물이 두루 다루어지도록 구성했다. 인물..펼쳐보기
전체목차
한국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문익점 –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윤재운,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