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테이블
출생 1329년
사망 1398년

공민왕 때 좌정언으로 서장관이 되어 이공수를 따라 원나라에 갔다가 돌아오면서 붓대 속에 목화씨를 감추어 가져왔다고 한다.
공양왕 때 이성계 일파가 추진한 전제 개혁(田制改革)에 반대하다가 조준의 탄핵으로 밀려났다.

의생활을 뒤바꾸다

문익점은 고려의 문신이자 학자로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가져와 고려의 의복 발전에 획기적으로 기여한 인물이다.

문익점의 고향은 강성현(江城縣, 지금의 경상남도 산청)이다. 문숙선(文淑宣)의 아들로 1360년(공민왕 9) 문과에 급제해 김해부사록과 순유박사를 지냈다. 그는 1363년 사간원 좌정언으로 일하다가 일종의 기록관 자격으로 계품사 이공수(李公遂)를 따라 원나라로 갔다. 당시 고려와 원의 관계는 복잡했다. 원에서 벼슬을 하고 있던 고려인 최유(崔濡)가 공민왕을 몰아내고 충선왕의 셋째 아들 덕흥군(德興君)을 새 왕으로 옹립하려고 했다. 이때 원나라 조정은 원에 머무르던 덕흥군을 지지했던 것 같다. 실제로 원은 덕흥군을 고려 왕에 봉하고, 군사 1만 명을 보내 랴오둥까지 진출했을 정도로 의지가 높았다. 하지만 고려의 최영 장군이 원나라 군대를 물리쳐 이 계획은 수포로 돌아갔다.

문익점은 원나라에 서장관으로 다녀온 후 덕흥군을 지지했다는 빌미로 귀국하자마자 파직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난 문익점은 원에서 돌아올 때 몰래 숨겨 온 목화씨를 재배하기로 마음먹었다. 그가 원나라에서 탐스러운 목화밭을 보고 나라 밖으로 반출이 금지되어 있던 목화씨를 붓대 속에 감추어 왔다는 일화가 있다. 그는 장인 정천익(鄭天益)과 함께 씨앗을 심었는데 처음에는 재배법을 몰라 한 그루만 겨우 살렸다고 한다. 하지만 두 사람은 3년의 노력 끝에 대량 재배에 성공했다.

그러나 목화를 재배할 수 있게 되었지만 실을 뽑는 방법이 또 난관이었다. 이는 정천익의 집에 머무르던 원나라 출신 승려 홍원(弘願)의 도움으로 해결되었다. 그는 마침 씨를 뽑는 물레 만드는 법을 알고 있었다. 이로써 문익점은 목화를 재배해 옷을 만드는 기술을 확보했다.

1375년(우왕 1) 문익점은 목화 재배에 성공한 공을 인정받아 다시 전의주부에 임명되었고, 1389년에는 좌사의대부에 올랐다. 조선 시대 학자 조식(曺植)은 “백성에게 옷을 입힌 것이 농사를 시작한 옛 중국의 후직(后稷, 상고 시대 중국의 농사를 관장하던 신)과 같다.”라고 그를 찬양했다.

목화는 재배에 성공한 지 10여 년 만에 온 나라에 퍼졌다. 목화의 전래는 우리나라의 의생활을 획기적으로 발전시켰다. 목화가 국내에서 재배됨에 따라 그때까지 수입에 의존했던 목면과 솜을 스스로 만들 수 있게 되었고, 이에 따라 귀족들만 입던 무명옷과 솜옷을 서민들까지 입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목화씨를 추출하여 솜을 트고, 면직물을 만들기 위해 물레와 가락, 날틀 같은 면직 기구를 제작하고 발달시킴에 따라 생산 도구들이 획기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솜은 옷뿐 아니라 초나 화약의 심지로도 이용되었고, 튼튼한 무명실은 노끈, 낚싯줄, 그물 등 일상용품으로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무명은 훗날 조선 시대에 들어서는 물물교환 시 통화 수단으로 이용되어 세금을 걷는 기본 통화가 되기도 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일본이나 중국과의 무역에서 주요 수출품 중 하나가 되기도 했다.

베틀

베틀(조선 후기), 경기 용인시 기흥읍 한국민속촌

ⓒ 2015, All Rights Reserved.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문익점에게 관직 운은 별로 없었던 듯하다. 다시 조정에 복귀했지만 곧 공양왕 때 이성계 일파가 추진한 전제 개혁에 반대하다가 탄핵받았기 때문이다. 그의 공로는 1440년 조선 세종 때에 가서야 영의정에 추증되면서 다시 인정받았다. 문익점과 정천익이 처음 목화를 재배한 경남 산청군 단성면 사월리에는 ‘문익점 면화시배지(文益漸棉花始培地)’가 남아 있으며, 사적 제108호로 지정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윤재운 집필자 소개

고려대 사학과와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사연구실, BK21한국학 교육연구단 국제화팀에서 연구원을 지냈으며, 민족문화연구원 한국사연구소에서 고대사에 ..펼쳐보기

장희흥 집필자 소개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졸업(문학박사), 현 대구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조선 시대사, 정치사에 관심이 많으며 연구 논문으로 <조선시대 정치권력과 환관>, <소통과 교류의 땅 ..펼쳐보기

출처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 저자윤재운 | cp명청아출판사 도서 소개

한국 고대사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의 생애와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 문화와 예술 영역의 인물이 두루 다루어지도록 구성했다. 인물..펼쳐보기

전체목차
조선부터 대한민국까지 변방의 무장에서 새 왕조의 주인으로, 이성계 500년 조선왕조의 기반을 다지다, 정도전 태종의 치적 뒤에 자리한 장자방, 하륜 조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 세종 청백리의 표상, 황희 신분의 굴레를 뛰어넘은 최고의 과학자, 장영실 왕위 찬탈자인가, 위대한 군주인가, 세조 모사가인가, 지략가인가, 한명회 단종을 향한 일편단심, 성삼문 국력을 신장시킨 외교와 국방의 달인, 신숙주 사림의 영수, 김종직 비운의 폐왕, 연산군 도학 정치를 꿈꾼 급진적 이상주의자, 조광조 조선 최초의 자연철학자, 서경덕 조선 주리철학의 선구자, 이언적 중세의 봉건적 질서에 반기를 들다, 임꺽정 동방의 주자, 이황 조선의 주자학을 일구다, 조식 동서 분당의 시대, 정인홍 어린 천재에서 희대의 정치가로, 이이 전란 속에서 나라를 구한 재상, 유성룡 한국 해전의 역사를 새로 쓰다, 이순신 조선 의학의 집대성 《동의보감》, 허준 천하는 일정한 주인이 따로 없다, 정여립 홍길동의 아버지, 허균 대동법을 실시한 실리적 개혁가, 김육 명분인가 실리인가, 최명길 우리말의 가락을 살려 우리 글자로 쓰다, 윤선도 유림 위에 군림한 정치 사상계의 거장, 송시열 성리학계의 이단아, 윤휴 붓으로 살려낸 만물의 조화, 정선 경세치용의 학문을 열다, 이익 당쟁 속에서 탕평을 실천한 재상, 채제공 못다 한 개혁의 꿈, 정조 정조의 남자, 홍국영 실학의 아버지, 박지원 조선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 정약용 한국화의 전통미를 일구어 낸, 김홍도 조선을 뒤흔든 농민봉기의 지도자, 홍경래 한국적 서체를 완성하다, 김정희 자주적 근대화를 주장한 개화 사상가, 박규수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 조선의 마지막 봉건주의자, 이하응 격동의 역사 속 비운의 황제, 고종 풍전등화의 조선에서 치열하게 살다 간 여걸, 명성황후 암살당한 개혁의 불꽃, 김옥균 한국 민중 저항사의 상징, 전봉준 민중 계몽으로 자주독립을 꾀하다, 서재필 청년들의 민족의식을 일깨운, 안창호 총 한 자루로 제국주의를 처단하다, 안중근 〈님의 침묵〉, 한용운 나라는 망해도 민족은 망하지 않는다, 신채호 항일 무장 투쟁의 영웅, 김좌진 삼천 만 동포에게 고함, 김구 좌익과 우익, 한국 현대사의 갈림길에서, 여운형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 이승만 시대를 앞서 간 비운의 여인, 나혜석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받지 않는다, 박정희 인간다운 삶을 위하여, 전태일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한국사

한국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문익점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윤재운,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