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직인 100
인
위만조선은 중국의 식민지였을까
사마천의 《사기》와 반고의 《한서》에는 위만조선이 등장한다. 위만은 옛 연나라 사람인데 랴오둥 일대에 망명했다가 무리 1,000여 명을 이끌고 동쪽으로 도망쳐 준왕(準王)의 외신(外臣)으로 지냈다. 이후 고조선(朝鮮)의 오랑캐와 옛 연·제의 망명자들을 복속시켜 왕이 되었고, 왕검성에 도읍을 정했다. 기원전 194년에서 기원전 180년의 일이다.
한때 위만조선은 중국인이 고조선 지역을 지배한 식민지 정권으로 오인되었다. 하지만 고조선만의 독자적인 정치 체제를 유지했고, 지배층 대부분이 토착민이라는 점에서 이 주장은 곧 사라졌다. 위만조선에서 왕위는 세습되었고, 왕을 정점으로 한 지역공동체의 수장들이 중앙 관직을 차지하고 있는 정치 구조였다. 정치 체제가 문관인 상직(相職)과 무관인 장군직(將軍職)으로 나뉜 것도 위만조선의 특징이다.
또한 사유재산을 법으로 보호하는 ‘팔조금법(八條禁法)’을 통해 노비와 일반인의 구분이 엄격했고, 단검이나 칼 같은 부장품들을 통해 정복 전쟁이 활발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위만조선은 철기에 기반을 둔 군사력으로 주변 지역을 정복해 영토를 계속 넓혔고, 공납을 받는 등 국제적인 지배 관계도 실현했을 것으로 보인다. 위만조선은 기원전 108년 한나라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채 100년이 지속되지 않았지만, 철기 문화를 찬란히 꽃피운 고대 국가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한국 고대사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의 생애와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 문화와 예술 영역의 인물이 두루 다루어지도록 구성했다. 인물..펼쳐보기
전체목차
한국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위만조선은 중국의 식민지였을까 –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윤재운,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