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직인 100
인
묘청
妙淸출생 | 미상 |
---|---|
사망 | 1135년 |
1127년(인종 5) 왕실 고문으로 추대되자 인종에게 서경으로 천도할 것을 주장했다. 이는 개경의 사대주의적인 중신들의 반대로 좌절되었다.
1135년 서경에 기반을 두고 국호를 대위, 연호를 천개라 하여 천견충의군(天遣忠義軍)을 조직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반란군은 김부식이 이끄는 관군에게 섬멸당했다.
칭제건원의 무산된 꿈
묘청은 고려의 승려로 서경(지금의 평양) 출신이다. 묘청이 역사에 등장하는 것은 서경 천도를 거론하면서부터이다. 묘청은 승려이면서도 도교에 심취해 풍수지리와 도참 사상을 두루 익혔고 이를 바탕으로 고려의 도읍을 개경에서 서경으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1128년(인종 6) 서경 출신인 정지상(鄭知常) 등과 함께 “지금의 도읍인 개경은 기운이 이미 쇠했고, 서경에는 왕기가 넘친다. 특히 서경의 임원역(林原驛)에 궁궐을 짓는다면 천하를 아우르게 되어 금나라가 스스로 항복하고 36국이 모두 신하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반신반의하던 대신들 가운데 일부가 이 의견에 동요했다. 특히 이자겸의 난으로 궁이 불타고 금나라가 갈수록 고려를 압박해 민심이 흔들리던 터라 인종 역시 서경천도론에 마음이 기울기 시작했다.
인종은 당시 서경에 친히 행차해 5개월 동안 머물면서 임원역에 들어설 새 궁터를 구경했고, 묘청에게 새 왕궁을 짓는 일을 맡겼다. 묘청은 이듬해 임원궁(林原宮)을 완성시켜 인종이 다시 행차했을 때 자랑스럽게 보였다. 이제 힘을 얻은 묘청은 ‘칭제건원(稱帝建元, 고려 임금이 스스로 황제로 칭하고 독자적인 연호를 쓰는 일)’과 함께 ‘금국 정벌’이라는 새로운 주장을 폈다.
하지만 그는 점차 무리수를 두기 시작했다. 서경의 상서로움을 부각시키려면 일종의 ‘쇼’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묘청은 기름을 넣은 떡을 대동강에 미리 담가 두고 사람을 불러 모았다. 과연 그의 생각처럼 떡에서 흘러나온 기름이 물에 비치면서 강 주위에 오색찬란한 빛이 나타났다. 강물이 스스로 빛을 내니 사람들은 묘청의 말대로 서경의 상서로움을 믿게 되었다. 하지만 곧 그가 미리 떡을 넣어 둔 사실이 발각되어 그의 주장은 신뢰를 잃기 시작했다. 또 대화궁을 지은 뒤 ‘태일옥장보법(太一玉帳步法)’이라는 도술을 보이며 이를 도선으로부터 직접 전수받았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임원애(任元敱), 이중(李仲) 같은 문신들은 묘청의 천도론을 반대하며 그의 탄핵을 주청했다. 무엇보다 1134년 새로 지은 대화궁에 벼락이 치면서 풍수도참을 바탕으로 한 천도론은 명분을 잃게 되었다. 묘청이 이런 분위기를 몰랐을 리 없다. 그러나 그는 인종을 더욱 몰아붙여 서경 행차를 요구했다. 하지만 김부식을 위시한 개경파의 반대에 봉착하며 천도론이 폐기될 지경에 이르자 1135년 묘청은 분사시랑 조광(趙匡)과 병부상서 유참(柳旵) 등과 함께 난을 일으켰다.
묘청의 난은 이처럼 인종 즉위 초 외척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정치적인 불안에 금나라라는 외부 세력의 압박이 더해지며 일어난 사건이었다. 여기에다 도참 사상이 백성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었다는 점, 서경 출신들이 그간의 지리적 불만을 털어 버릴 기회로 삼으려 했다는 점이 도화선이 된 셈이다.
조정에서는 즉각 김부식을 평서원수로 삼아 토벌군을 파견했다. 그러나 관군이 도착하기도 전에 반란군은 항복했고, 승산이 없음을 알게 된 조광이 묘청과 유참의 목을 베어 바쳤다. 김부식은 주동자가 이미 숨졌으므로 잔당들을 용서하자고 주장했으나 조정 신료들은 단죄할 것을 주장해 반란 진압은 쉽게 마무리되지 않았다. 결국 반란군은 1년이 넘게 저항하다가 제압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한국 고대사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의 생애와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 문화와 예술 영역의 인물이 두루 다루어지도록 구성했다. 인물..펼쳐보기
전체목차
한국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묘청 –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윤재운,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