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직인 100
인
진흥왕
眞興王출생 | 534년 |
---|---|
사망 | 576년 |
신라 제24대 왕(재위 540~576년). 신라에 의한 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했다.
553년 백제가 점령했던 한강 유역의 요지를 공취하고, 이듬해 관산성 전투에서 백제 성왕을 전사시켰다.
영토를 확장하면서 창녕, 북한산, 황초령, 마운령 등에 순수비를 세웠고, 556년에는 기원(祇園), 실제(實際) 등의 사찰을 건립하고 황룡사를 준공했다.
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하다
진흥왕은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닦은 신라 제24대 왕이다. 지증왕의 손자이자 법흥왕의 동생인 입종갈문왕(立宗葛文王)의 아들로 태어났다. 재위 기간은 540~576년이다. 진흥왕 하면 ‘정복왕’이라는 단어가 떠오를 정도로 신라를 비약적으로 발전시킨 왕으로 평가된다. 그는 백제가 차지하고 있던 한강 유역의 요지를 빼앗았고, 화랑을 만들어 군사·문화의 기틀로 삼았다. 새로 점령한 지역에는 순수비를 세웠다.
진흥왕은 일곱 살의 어린 나이에 즉위했다. 때문에 즉위 당시에는 어머니인 법흥왕의 딸 지소부인 김씨가 섭정을 했다. 541년에는 이사부를 병부령에 임명해 백제와 화친을 맺었고, 551년(진흥왕 12)부터 친정을 시작했다. 그리고 연호를 ‘개국(開國)’으로 바꾸고 본격적인 대외 활동을 시작했다.
진흥왕이 본격적으로 정복 활동을 시작한 것은 병부령 이사부와 함께였다. 그는 한강 유역을 늘 염두에 두었던 것 같다. 처음에는 백제 성왕과 연합해 고구려가 차지했던 지역을 장악했다. 그는 거칠부(居柒夫)를 포함한 8명의 장군에게 한강 상류인 죽령 이북의 고현(高峴, 지금의 철령) 이남 지역 10개 군을 빼앗도록 했다. 하지만 2년 뒤에는 동맹을 뒤로하고 실리를 택했다. 진흥왕은 백제가 고구려로부터 빼앗아 점령하던 한강 하류 지역을 확보하기 위해 고구려와 손을 잡고 백제를 기습 공격했다. 이로써 진흥왕은 한강 유역을 모두 차지했다. 그리고 정복한 지역에 신주(新州)를 설치하고 아찬 김무력(金武力)을 초대 군주(軍主)로 임명해 통치했다.
그가 이토록 한강 유역에 관심을 기울인 이유는 백제를 거치지 않고 중국과 직접 교류하기 위해서였다. 백제만 없다면 서해를 통해 바로 교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라는 564년(진흥왕 25) 중국 남조의 진(陳)과 북조의 북제(北齊)에 사신을 파견해 외교 활동을 시작했다.
낙동강 유역에 진출한 것은 가야를 정복하기 위해서였다. 대가야는 관산성 전투 당시 백제와의 연합군으로 참전한 전력이 있었다. 패전한 대가야는 사실상 신라에 복속되었다. 562년 대가야가 반란을 일으켰고, 진흥왕은 병부령 이사부를 보내 반란을 진압하도록 했다. 마침내 대가야는 완전히 사라졌고, 진흥왕은 대야주(大耶州, 지금의 경상남도 합천)를 설치해 가야 유민을 통치하는 동시에 백제의 기습에 대비했다.
진흥왕 때 신라는 동북 지역으로 진출해 비열홀주(比烈忽州, 지금의 함경남도 안변)를 설치하고 사찬(沙飡) 성종(成宗)을 군주로 임명한 것으로 보아 함흥까지 세력을 뻗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고구려, 백제, 가야를 가리지 않고 공격해 신라 역사상 최대 영토를 확보했다. 그리고 이를 기념하기 위해 정복한 지역에 순수비를 세웠다. 현재까지 남아 있는 순수비는 창녕, 북한산, 황초령, 마운령 등의 4개이며, 단양에는 적성비가 남아 있다.
활발한 정복 활동을 전개하면서 진흥왕은 이사부의 건의를 받아들여 546년(진흥왕 16) 거칠부에게 《국사(國史)》를 편찬하게 했다. 왕통의 정통성을 천명하고 위엄을 과시하려는 의도였다. 그는 특히 불교에 심취해 흥륜사를 짓고 백성들이 출가하는 것도 허가했다. 549년 양나라에 유학 갔던 승려 각덕(覺德)이 석가모니의 유골을 가지고 귀국하자 모든 신하들을 대동해 흥륜사 앞에서 영접한 일도 있다. 553년에는 월성 동쪽에 왕궁을 짓다가 황룡이 나타나자 그곳에 절을 짓기로 하고 566년에 황룡사를 완공했다. 말년에는 머리를 깎고 승복을 입었다는 기록도 있다.
또 하나 간과해서는 안 될 업적이 화랑도를 창설한 것이다. 진흥왕은 기존에 있었던 여성 중심의 원화(源花)를 폐지하고 576년에 남성 중심의 화랑도로 개편했다. 화랑은 초기에는 청소년기의 귀족 자제들을 수련시켜 관직에 등용할 목적으로 만들어졌으나 점차 군대 조직으로 발전해 결국 삼국 통일의 기반이 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한국 고대사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의 생애와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 문화와 예술 영역의 인물이 두루 다루어지도록 구성했다. 인물..펼쳐보기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진흥왕 –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윤재운,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