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테이블
출생 미상
사망 719년

고왕(高王, 재위 698~719년). 발해의 시조.
고구려의 유민으로 고구려 멸망 후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규합하여 698년 동모산을 도읍으로 한 진국(震國)을 세웠다.
713년 국호를 발해로 바꾸었다.

고구려를 계승하다

대조영은 발해의 시조로 ‘고왕’이라고 한다.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규합하여 나라를 세운 뒤 ‘발해’로 국명을 바꿨다. 그는 스무 살도 채 되지 않은 나이에 고구려군의 일원으로 당나라와의 전쟁에 참여했다. 고구려가 멸망한 후 당의 고구려 유민 분산 정책에 따라 대조영도 가족과 함께 랴오허 서쪽의 차오양(營州) 지역으로 이주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차오양은 당나라의 내몽골과 동북아 지역을 통괄하는 군사적 요충지이자 여러 민족이 얽힌 교역의 중심지였다. 이곳에서 대조영은 옛 고구려의 주민이었던 말갈족과 연대감을 키우는 등 역량을 키워 나갔다.

696년 이진충(李盡忠), 손만영(孫萬榮)이 이끄는 거란 족이 반란을 일으켜 차오양을 공격했다. 이를 틈타 대조영은 함께 억류되어 있던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이끌고 동쪽으로 탈출해 자립에 성공했다. 당시 당의 측천무후(則天武后)가 대조영의 아버지를 진국공(震國公)에, 말갈족의 우두머리인 걸사비우를 허국공(許國公)에 봉해 회유하려고 했지만 대조영은 이를 거부했다. 당은 우선 거란 족의 반란을 진압한 뒤 대조영 무리를 쫓았다. 하지만 대조영은 천문령(天門嶺, 지금의 지린 성 하따링)에서 당나라군을 크게 무찔러 추격권에서 벗어났고 지도자로서 입지를 확고히 다지게 되었다.

거란 인의 출렵도

유목민인 거란 족에게 있어 사냥과 전쟁은 생계 수단에 다름 아니었다.

ⓒ 청아출판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대조영은 동부 만주 쪽으로 이동해 699년쯤 지금의 지린 성 둔화현(敦化縣)인 동모산(東牟山)에 성을 쌓고 도읍을 정했다. 국호는 진(震), 연호는 천통(天統)이라고 했다. 무단장 상류에 자리 잡은 이 지역은 창바이 산맥의 짙은 원시림으로 둘러싸인 천혜의 요충지였다. 이곳은 또한 계루부(桂婁部)의 옛 땅이었기에 훗날 대조영의 장남 대무예(大武藝, 무왕)도 계루군왕으로 불렸다.

이때부터 대조영은 진을 구심점으로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결집시켜 세를 키웠다. 오랫동안 당에 억류되었고, 당과 전쟁을 치르며 이동하는 동안 대조영 집단은 강한 전투력을 갖춘 집단으로 성장했다. 대외 활동도 시작했다. 대조영은 당과 대립하던 튀르크와 국교를 맺고, 신라에도 사신을 보내 진의 건국을 알렸다. 당나라의 위협에서 국가를 지키기 위해 외교책을 쓴 것이다.

한때 대조영을 없애려 했던 당나라는 대조영이 진을 건국한 이후 유화 정책으로 돌아섰다. 당중종은 705년 사신을 보내왔고, 대조영도 둘째 아들 대문예(大門藝)를 당에 보내 우의를 표했다. 713년 당현종은 ‘좌효위대장군발해군왕홀한주도독(左驍衛大將軍渤海郡王忽汗州都督)’이라는 별직을 대조영에게 주었고, 양국은 건국 초기의 갈등을 봉합했다. 같은 해 대조영은 국호를 진에서 발해로 바꾸었다.

발해는 대조영이 건국한 이후 약 200여 년 이상을 이어가며 동북아시아의 강국으로 우뚝 섰다. 현재의 만주 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남쪽으로 한반도 북부 지역, 북쪽으로 헤이룽(黑龍), 서쪽으로 랴오둥, 동쪽으로는 동해안에 이르는 만주-연해주-북한을 아우르는 넓은 땅에 걸쳐 있던 대제국 발해,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한 한민족의 마지막 대륙국가로서 그 의미가 크다.

발해의 발전과 주변국과의 관계

ⓒ 청아출판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윤재운 집필자 소개

고려대 사학과와 동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한국사연구실, BK21한국학 교육연구단 국제화팀에서 연구원을 지냈으며, 민족문화연구원 한국사연구소에서 고대사에 ..펼쳐보기

장희흥 집필자 소개

동국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졸업(문학박사), 현 대구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조선 시대사, 정치사에 관심이 많으며 연구 논문으로 <조선시대 정치권력과 환관>, <소통과 교류의 땅 ..펼쳐보기

출처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 저자윤재운 | cp명청아출판사 도서 소개

한국 고대사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 한국사를 움직인 100인의 생애와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정치와 경제, 문화와 예술 영역의 인물이 두루 다루어지도록 구성했다. 인물..펼쳐보기

전체목차
조선부터 대한민국까지 변방의 무장에서 새 왕조의 주인으로, 이성계 500년 조선왕조의 기반을 다지다, 정도전 태종의 치적 뒤에 자리한 장자방, 하륜 조선 역사상 가장 위대한 왕, 세종 청백리의 표상, 황희 신분의 굴레를 뛰어넘은 최고의 과학자, 장영실 왕위 찬탈자인가, 위대한 군주인가, 세조 모사가인가, 지략가인가, 한명회 단종을 향한 일편단심, 성삼문 국력을 신장시킨 외교와 국방의 달인, 신숙주 사림의 영수, 김종직 비운의 폐왕, 연산군 도학 정치를 꿈꾼 급진적 이상주의자, 조광조 조선 최초의 자연철학자, 서경덕 조선 주리철학의 선구자, 이언적 중세의 봉건적 질서에 반기를 들다, 임꺽정 동방의 주자, 이황 조선의 주자학을 일구다, 조식 동서 분당의 시대, 정인홍 어린 천재에서 희대의 정치가로, 이이 전란 속에서 나라를 구한 재상, 유성룡 한국 해전의 역사를 새로 쓰다, 이순신 조선 의학의 집대성 《동의보감》, 허준 천하는 일정한 주인이 따로 없다, 정여립 홍길동의 아버지, 허균 대동법을 실시한 실리적 개혁가, 김육 명분인가 실리인가, 최명길 우리말의 가락을 살려 우리 글자로 쓰다, 윤선도 유림 위에 군림한 정치 사상계의 거장, 송시열 성리학계의 이단아, 윤휴 붓으로 살려낸 만물의 조화, 정선 경세치용의 학문을 열다, 이익 당쟁 속에서 탕평을 실천한 재상, 채제공 못다 한 개혁의 꿈, 정조 정조의 남자, 홍국영 실학의 아버지, 박지원 조선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 정약용 한국화의 전통미를 일구어 낸, 김홍도 조선을 뒤흔든 농민봉기의 지도자, 홍경래 한국적 서체를 완성하다, 김정희 자주적 근대화를 주장한 개화 사상가, 박규수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 조선의 마지막 봉건주의자, 이하응 격동의 역사 속 비운의 황제, 고종 풍전등화의 조선에서 치열하게 살다 간 여걸, 명성황후 암살당한 개혁의 불꽃, 김옥균 한국 민중 저항사의 상징, 전봉준 민중 계몽으로 자주독립을 꾀하다, 서재필 청년들의 민족의식을 일깨운, 안창호 총 한 자루로 제국주의를 처단하다, 안중근 〈님의 침묵〉, 한용운 나라는 망해도 민족은 망하지 않는다, 신채호 항일 무장 투쟁의 영웅, 김좌진 삼천 만 동포에게 고함, 김구 좌익과 우익, 한국 현대사의 갈림길에서, 여운형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 이승만 시대를 앞서 간 비운의 여인, 나혜석 성공한 쿠데타는 처벌받지 않는다, 박정희 인간다운 삶을 위하여, 전태일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한국사

한국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4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시라무렌(Sira Muren) 유역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대조영한국사를 움직인 100인, 윤재운,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