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미상 |
---|---|
사망 | 미상 |
국적 | 신라, 한국 |
요약 신라 진흥왕 때의 악사.
가야금의 명인으로 6세기 중엽에 활동했다. 가야국(加耶國)의 가실왕(嘉實王)이 당나라 악기를 보고 가야금(加耶琴)을 만든 후, 여러 나라의 방언이 각기 다르니 성음을 어찌 일정하게 할 것인가 하며 성열현(省熱縣) 사람인 그에게 12곡을 짓게 했다고 한다. 그후 가야국이 어지러워져 우륵이 가야금을 가지고 신라 진흥왕에게 투항하니, 왕이 받아들여 국원(國原 : 지금의 충주)에 편히 거처하게 하고 대나마 법지(法知)·계고(階古)와 대사 만덕(萬德)을 보내 전수하게 했다.
세 사람이 11곡을 전해받고 서로 말하길 "이것은 번다(繁多)하고 음란하여, 우아하고 바른 것이라고 할 수 없다"며 그것을 요약하여 5곡을 만들었다. 우륵이 처음에는 화를 내다가, 그 5곡의 음조를 듣고는 눈물을 흘리며 탄식하기를 "즐겁고도 방탕하지 않으며, 애절하면서도 슬프지 않으니 바르다고 할 만하다. 왕의 앞에서 연주하라"고 했다.
우륵이 지은 12곡은 〈하가라도 下加羅都〉·〈상가라도 上加羅都〉·〈보기 寶伎〉·〈달기 達己〉·〈사물 思勿〉·〈물혜 勿慧〉·〈하기물 下奇物〉·〈사자기 師子伎〉·〈거열 居烈〉·〈사팔혜 沙八兮〉·〈이사 爾赦〉·〈상기물 上奇物〉 등이었는데, 대부분의 곡명이 그때의 군현명과 비슷한 것으로 보아 그 지방 민요의 성격을 가진 듯하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