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소재지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로 152 |
---|
경기도 죽전동에 위치한 단국대학교에 가면 아이들에게 익숙한 단군신화의 주인공을 만날 수 있다. 단군신화는 단군왕검의 건국신화로, 100일 동안 쑥과 마늘을 먹고 여인으로 변한 곰이 낳은 아이가 단군왕검이 되어 고조선을 세웠다는 내용이다. 그 곰이 용맹한 기상을 떨치며 학교의 상징물로 서 있는 이곳에 고고학과 복식학계의 대표 박물관인 석주선기념박물관이 자리해 있다.
푸른 녹지에 둘러싸인 박물관
단국대학교 본교가 2009년 서울 한남동에서 용인 죽전동으로 캠퍼스를 이전하면서 50년 역사의 단국대학교박물관도 새로운 보금자리를 맞이했다. 탁 트인 넓은 대지 위에 건물을 에워싸듯 둘러싼 식수들이 학교의 오랜 전통을 말해주고 있다. 박물관으로 가려면 죽전캠퍼스 정문에서 언덕길을 따라 약 10여 분 정도 걸어가야 되는데, 그 길을 걷는 동안 자연스럽게 캠퍼스 투어를 할 수 있다.
경기도 용인 법화산 산자락 아래에 위치한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은 고고학과 복식학계의 대표 박물관으로 이름이 나 있으며, 1만여 점의 관련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전시실 입구에는 국내에서 유일한 고구려 석비인 충주 '중원고구려비'(국보 제205호)와 1978년 발굴한 '단양신라적성비'(국보 제198호)의 실물 크기 복제품과 원본 초탁본이 전시되어 있다.
선조들의 예술혼을 흠뻑 느낄 수 있는 곳
박물관 내부는 고고미술관과 민속복식관 등 두 개의 관과 네 개의 전시실로 구성되어 있다. 고고미술관에는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주요 유물을 역사 흐름에 따라 전시해두었는데, 특히 제2 전시실에 전시된 한국탈이 재미있다.
선조들의 예술혼을 오늘날까지 계승하고 있는 인간문화재들인 장송모(도공장), 이재순(석장), 허길량(목조각장), 원광식(주철장) 선생의 기증 작품과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예술가인 백남준 선생의 판화 〈화동의 꽃은 무궁화처럼 질기다〉도 전시하고 있다.
우리나라 복식 역사의 기틀을 마련한 석주선 박사
석주선기념박물관은 그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난사(蘭斯) 석주선 박사를 빼놓고 얘기할 수 없다. 석주선 박사는 우리 옷의 정확한 역사를 전하고자 전국을 누비며 복식 관련 유물을 모았다고 한다. 여기서 복식(服飾)은 사람의 몸을 치장하는 모든 의류와 장식을 말한다. '복'(服)을 주로 몸통과 팔다리를 감싸주는 의복을 말하고 '식'(飾)은 머리에 쓰는 모자나 관, 발에 신는 신이나 허리에 두르는 띠 등 여러 가지 장식을 의미한다. 석주선 박사는 1981년 평생에 걸쳐 수집한 복식 유물 3365점을 단국대학교에 기증했는데, 이 유물들을 제3 전시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 최초의 미라 '단웅이'
이곳에는 순조의 3녀 중 막내인 덕온공주의 복식, 생활유품 등을 비롯한 어린이 유물과, 2001년 발굴되어 큰 화제를 모았던 350년 된 6세 소년의 미라인 '단웅이'도 전시되어 있다. 단국대학교의 '단'(檀) 자와 곰을 뜻하는 '웅'(熊) 자를 합성해 붙였다는 '단웅이'는 한국 미라 연구의 효시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 연구용으로 기증된 완전한 형태의 미라는 일곱 구뿐인데 단웅이는 그중에서 국내 처음으로 발견된 미라다. 출토 당시 미라가 안치되어 있던 목재관과 단웅이가 입고 있던 의복들도 보존 처리를 거쳐 함께 전시되어 있다. 시신을 감싸고 있던 아버지의 두루마기는 어린 자식을 차디찬 땅에 묻어야 하는 부모의 애절함이 담겨 있는 듯해 마음을 울린다.
단국대학교의 캠퍼스 명물 톱2
• 폭포공원 : 폭포공원은 시원한 인공폭포 소리를 들으며 정자에 앉아 오순도순 얘기 나눌 수 있어 가족 나들이 장소로 제격인 곳이다. 넓은 잔디밭에서 아이들이 뛰어놀 수도 있으며, 법화산으로 이어지는 산책로도 잘 정비되어 있다.
• 평화의 광장 : 박물관 바로 옆에 위치한 평화의 광장에는 단국대학교의 상징인 곰상이 용맹한 자세로 서 있다. 어미곰과 새끼곰이 사이좋게 서 있는데 밤이 되면 아름다운 조명을 받아 멋진 야경을 연출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 본 콘텐츠는 2014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 관람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글
출처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박물관 여행, 길지혜,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