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용인시의 유물·유적·관광

다른 표기 언어

문화재가 많은 지역으로 국가지정문화재(국보 6, 보물 41, 사적 2, 중요민속자료 13, 중요무형문화재 1), 지방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 18, 기념물 13, 민속자료 1, 무형문화재 1), 문화재자료 15점, 등록문화재 3점이 있다.

선사시대 유물로는 모현면 왕산리, 양지면 주북리, 구성면 상하리의 북방식고인돌과 원산면 맹리, 백암면 근삼리의 남방식고인돌, 남사면 창리, 원삼면 사암리, 포곡면 신원리의 선돌(立石), 마평동의 적석총 등이 있다. 삼국시대에 축성된 성터로서 할미산성과 석성산성, 남사면의 처인성(경기도 기념물 제44호), 원삼면의 행군이토성지·태봉산토성지(台峰山土城址) 등이 있다.

불교문화재로는 원삼면 문촌리의 문수산마애보살상(文殊山磨崖菩薩像,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20호)·서봉사현오국사탑비(보물 제9호)·용인공세리5층석탑(경기도 문화재자료 제42호)·용인목신리석조여래입상(경기도 문화재자료 제62호)·천리석조여래입상·공세리석조여래좌상·백련암18나한상(白蓮庵十八羅漢像) 등이 있다.

유교문화재로는 양지향교(陽智鄕校.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23호)·충렬서원(忠烈書院.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9호)·포은사당(圃隱祠堂) 등이 있다. 이동면 서리에는 고려백자도요지, 백암면 고안리에는 분청사기도요지가 있다. 그밖에 주요 문화재로 정몽주선생묘(경기도 기념물 제1호)·유형원선생묘(경기도 기념물 제31호)·민영환선생묘(경기도 기념물 제18호) 등의 묘와 기흥읍 지곡리의 줄타기(중요무형문화재 제58호)와 동동주인 부의주(浮蟻酒. 경기도 무형문화재 제2호), 그리고 포곡면 가실리에 서식하는 까막딱따구리가 있다.

산수가 수려하고 서울·수원·성남 등 대도시에 인접해 있어 경기도 내의 최대 관광지역으로 발전했다. 용덕사·백련암·처인성지·정몽주선생묘·민영환선생묘 등의 유물·유적과 신갈저수지(기흥저수지)·이동저수지·어비리저수지 등의 낚시터가 있고, 1970년대 이후 한국민속촌·에버랜드·호암미술관·골프장·수영장 등이 건설되어 주말에는 관광객과 위락객이 많다. 서울에서 출발해 한국민속촌-에버랜드-호암미술관-정몽주선생묘-충렬서원-처인성지 등의 관광 코스가 볼 만하다. 한국민속촌·에버랜드·신갈저수지·이동저수지 등을 찾는 관광객수는 연간 약 1,040만 명에 이른다(2013).

에버랜드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경기도

경기도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용인시의 유물·유적·관광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