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소재지 | 전라북도 무주군 설천면 무설로 1324 |
---|
덕유산의 청정 자연을 품은 무주는 전체 면적의 82%가 산림으로 이루어진 무공해 지역이다. 그래서 청정한 자연에서만 살아가는 곤충, '반딧불이'의 메카다. 매년 6월이면 무주 밤하늘을 유영하는 아름다운 반딧불이의 모습에 아이도 어른도 그저 넋을 잃고 만다. 무주 곤충박물관은 아름다운 자연경관 속에서 곤충의 세계를 엿볼 수 있는 공간이다.
갖가지 희귀한 곤충들의 향연
반디랜드는 곤충박물관을 비롯한 천문과학관, 물놀이장, 생태박물관, 통나무 펜션 등이 어우러진 복합 문화 레저 공간이다. 그중 무주 곤충박물관은 진귀한 나비와 풍뎅이류 같은 곤충뿐만 아니라 유명 자연사박물관을 연상하게 하는 전시물로 가득하다.
지하 1층, 지상 1층 규모의 박물관은 전시실과 온실, 돔스크린영상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하 1층은 주 전시실로, 반딧불이를 비롯한 2000여 종 총 1만 3500마리의 전 세계 희귀곤충 표본과 고생대 및 신생대의 동식물 화석이 전시되어 있다. 1층에는 200여 종의 열대식물이 자라고 있는 유리온실과 반딧불이 체험관이 있고, 지름 14.1m의 반구 스크린이 설치된 돔스크린 영상실에서는 실감 나는 자연사와 곤충 관련 영상을 볼 수 있다. 곤충박물관 외벽을 타고 자라나는 담쟁이넝쿨이 꼭 날아든 나비처럼 보이기도 한다.
예술작품보다 더 아름다운 자연의 신비
박물관 내부로 들어서면 로비에서 제일 먼저 반딧불이 조형물이 반긴다. 도심에서는 잘 볼 수 없는 반딧불이의 모습을 이곳에서 자세하게 살펴볼 수 있다. 전시장으로 입장하는 통로가 인상적이다. 지하로 이어지는 전시관 초입에는 고생물 화석들을 벽면에 전시해두고 있고, 동굴 같은 통로의 바닥에는 유인등처럼 곤충 사진들이 길을 밝히고 있다. 조금 더 발걸음을 옮기면 나무 위에 아름다운 나비들이 올라앉은 조형물을 만날 수 있다.
전시장에는 나비의 알에서부터 성충까지 모습을 표본으로 잘 담아두었다. 아이와 함께 '도시처녀 나비', '시골처녀 나비'와 같은 재미난 이름의 나비를 찾아보고, 왜 이런 이름이 붙었는지 유추해보는 것도 좋겠다. 날개에 태극무늬가 있는 '태극나방'도 꼭 찾아보자.
좌우 날개 색깔이 서로 다른 나비가 있는가 하면 암수가 한 몸에 있는 사슴벌레도 전시되어 있다. 곤충들 가운데에는 한 마리에 수천만 원을 호가하는 희귀한 곤충들도 많다고 한다. 예술작품처럼 아름다운 나비의 자태를 보면 감탄이 절로 난다.
머리 위로 펼쳐지는 실감 나는 우주 이야기
무주 곤충박물관은 '곤충과 식물의 만남'이라는 주제로 국내 최초 생태온실관을 갖추고 있다. 수많은 식물로 둘러싸인 탐방로를 따라 걸어보자. 다양한 식물과 함께 공존하는 곤충을 생생하게 느껴볼 수 있다.
곤충에 관한 입체 영화를 애니메이션으로 즐길 수 있는 3D 입체영상실과 돔영상관도 꼭 들러보자. 아이와 함께라면 3D 입체영상실을 추천한다. 돔영상관의 거대한 천장 돔에서 은하의 탄생, 실시간 별자리, 우주탐험, 반딧불이 우주여행, 인류의 기원 등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누워서 영상을 관람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가끔 어지러움을 느끼는 사람도 있다. 평일과 주말 일정에 따라 하루 5회 상영한다.
영상 관람료는 입장권에 포함되어 있으니 시간을 잘 살펴 놓치지 말자. 3D 입체영상실은 60석, 돔영상관은 100석으로 매시간 선착순으로 입장한다.
생각 발산하기
반딧불이는 어떻게 빛을 내지요?
반딧불은 반딧불이가 내는 빛을 말해. 반딧불이는 배마디 아래쪽에 발광기가 있는 딱정벌레의 일종으로, '개똥벌레'라고 부르기도 한단다. 반딧불은 배마디 아래 끝에 있는 발광 세포에서 발생해.
환한 빛을 내는 전구는 빛과 함께 열을 뿜어내기 때문에 만져보면 따뜻해. 하지만 반딧불이는 빛이 나지만 열이 거의 없어 차갑다고 해. 반딧불이는 짝짓기를 위해 춤을 출 때 가장 밝은 빛을 내뿜어. 빛의 춤으로 짝을 부르는 거지.
'형설지공'(螢雪之功)이란 속담을 들어봤니? 개똥벌레 '형'(螢), 눈 '설'(雪), 갈 '지'(之), 공로 '공'(功). 형설지공은 반딧불과 흰 눈에 반사된 빛에 의지해 노력한다는 뜻으로, 가난하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하는 자세를 일컫는 말이야.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 본 콘텐츠는 2014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최신 관람 정보는 공식 홈페이지 등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