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사를 움
직인 100
대 사건

광주 학생운동

학생들이 주도한 최대의 민족운동

요약 테이블
시대 1929년

1929년 11월 3일 광주에서 시작된 학생들의 항일 투쟁은 사회, 청년 단체들의 적극적인 참여 아래 전 민족적인 독립운동으로 전개됐고, 간도와 일본을 비롯해 국외로도 확대됐다. 이것이 학생운동사상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기록되는 광주 학생운동으로, 3·1운동 이후 최대의 민족운동이다. ‘광주’는 전국적인 독립운동이 광주에서 시작됐다는 것이며, ‘학생’은 학생들이 이 운동을 주도했다는 것을 뜻한다.

배경

1926년 광주 학생운동을 주도한 단체인 독서회의 전신 성진회가 결성되다.
1929년 전남에서 시작된 학생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다.
1930년 일제의 강경 진압에도 서울과 광주, 간도, 동경에서 학생운동이 계속되었다.

설명

광주 학생운동은 1929년 10월 30일 나주역에서 벌어진 사건이 발단이 되었다. 이날 오후 광주역을 출발해 나주역에 도착한 열차에서 승객들이 내려 개찰구를 나올 때 광주중학교의 일본인 학생 후쿠다 슈조(福田修三)가 광주여고보 한국인 여학생 박기옥(朴己玉)의 댕기 머리를 잡고 희롱했다. 박기옥의 사촌동생인 광주고보 학생 박준채(朴準埰)가 이를 목격하고 후쿠다를 나무라자, 후쿠다는 “조선인 주제에”라며 행패를 부렸다. 두 사람 사이에 싸움이 벌어지자 이를 말리던 나주역의 일본인 순사는 후쿠다를 비호하며 박준채의 뺨을 여러 차례 때리기도 했다.

당시 열차로 통학하던 한국인과 일본인 학생들 사이에는 가끔씩 우발적인 충돌과 시비가 있었지만, 이날 사건은 10월 31일과 11월 1일에 각각 통학열차와 광주역에서 한일 학생들 간의 충돌로 이어졌다. 31일에는 박준채가 열차에서 후쿠다와 싸우다가 일본인 승객들에게 일방적으로 훈계를 당하기도 했다. 이 같은 일련의 사건이 한국인 학생들의 민족 감정을 자극하면서 마침내 항일 시위를 촉발하였다.

1920년대 초반 한국의 학생운동은 주로 학내 문제에 국한된 동맹 휴학의 형태로 진행됐다. 이후 6·10만세운동을 계기로 학생들의 동맹 휴학은 전국 규모의 조직적인 기반을 바탕으로 조선인 본위 교육이나 일제 타도 등 민족운동의 성격으로 진전됐다. 이런 가운데 광주 지역에서는 성진회(醒進會)의 후신인 독서회 중앙본부가 학생운동의 지도체 역할을 하고 있었다.

성진회는 1926년 11월 사회주의 청년 조직인 광주청년회의 지원을 받아 독서회 형태의 비밀 결사로 조직됐다. 장재성(張載性), 왕재일(王在一) 등 광주고보 학생들과 박인생(朴仁生) 등 광주농업학교 학생들이 그 주축이었다. 이들의 지도와 영향으로 광주고보와 광주사범학교, 광주농업학교, 광주여고보 등에서 독서회가 활성화됐다.

성진회가 일본 경찰의 감시망을 피해 해체된 이후에는 장재성을 책임비서로 한 독서회 중앙본부가 1929년 6월 비밀리에 조직되었고, 학교별 독서회 조직을 통하여 지도하였다. 광주에서의 학생시위가 조직적으로 진행된 데다, 사회단체 등을 통해 확산되는 과정에서 장재성이 이끄는 독서회 회원들의 영향력이 주요하게 작용한 것도 이와 같은 배경에 따른 것이다.

한일 학생들 간의 충돌은 일요일인 11월 3일 광주 시내에서의 거리시위로 이어졌다. 이날은 일본 메이지 천황의 탄생을 축하하는 명치절(明治節)이었지만, 음력 10월 3일로 단군의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는 개천절이기도 했다. 명치절 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등교한 학생들은 일본 국가인 기미가요 제창을 거부했고, 행사가 마친 뒤 독서회원들의 제안과 지도에 따라 거리로 나가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총궐기했다. 광주고보와 광주농업학교를 비롯해 광주 지역 학생들은 일본 학생들과의 충돌 사건을 왜곡 보도한 광주일보를 습격하고, 곳곳에서 일본 경찰 및 소방대와 충돌했다. 광주역과 우체국 앞 등에서는 일본인 학생들과 집단으로 부딪치기도 했다.

다음 날, 광주고보 출신인 장재성은 신간회(新幹會) 광주 지부 인사들과 향후 대책을 협의하였고, 이를 통해 학생투쟁지도본부가 결성된다. 또 신간회 광주지부로부터 상황을 보고 받은 신간회 중앙본부는 긴급 간부회의를 가진 뒤 김병로(金炳魯), 허헌(許憲), 황상규(黃尙奎) 등으로 진상조사단을 꾸려 광주로 급파했다. 또 서울의 조선학생과학연구회에서도 권유근(權遺根), 박일(朴日) 등을 파견했으며, 중앙청년동맹도 부건(夫鍵)을 광주로 보냈다.

이런 가운데 학생투쟁지도본부는 광주고보와 광주여고보, 광주농업학교 등의 독서회원과 협의를 거쳐 광주 지역의 장날인 11월 12일에 2차 시위를 벌이기로 하고, 격문과 행동요령 등을 논의하였다. 학생투쟁지도본부는 또 광주에서의 학생운동을 전국적으로 확산시키고 일사불란한 시위를 지도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직무를 분담했다. 이에 따라 장석천(張錫天)이 광주 및 전국 학생의 지도를 맡고, 장재성은 광주 한국인 학생의 지도, 국채진(鞠採鎭)은 전남 도내 지방 학생의 지도, 박오봉(朴五鳳)은 직공 및 노동단체의 지도, 임종근(林鍾根)은 전남 도내 공립보통학교 교사와의 연락, 강석원(姜錫元)은 외래 동지와의 연락, 나승규(羅承圭)는 운동 자금의 조달을 맡았다.

12일, 광주고보와 농업학교 학생들은 오전 첫 수업시간 종을 신호로 모두 학교에서 뛰쳐나와 거리시위를 벌였다. 격문에는 조선인 본위 교육, 식민지 노예 교육 철폐, 일본 제국주의 타도, 피억압민족 해방 만세, 사회과학연구의 자유 획득, 전국 학생대표자회의 개최, 구속 학생 석방 등의 구호가 담겨 있었다. 광주여고보와 사범학교 학생들은 정문이 폐쇄돼 동참하지 못했다. 긴급 출동한 일본 경찰들은 시위 학생들을 포위하고 주동자를 체포했다. 1, 2차 광주시위에서 구속된 사람은 학생 260여 명과 사회단체 간부 100여 명이었다.

이후 학생운동은 전남 지역을 거쳐 전국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11월 19일에는 목포에서, 역시 11월 27일에는 나주에서 학생시위가 벌어졌다. 그리고 12월에는 서울과 지방 곳곳으로 학생운동이 번져 갔다. 이는 광주 현지에 파견된 사회, 학생, 청년 단체 인사들이 신간회 광주지부 간사인 장석천을 만나 학생시위의 전국적 확대에 의견을 모은 것과도 맥락을 같이 한다.

서울에서는 12월 2일 밤과 3일 아침 사이에 학생과 민중의 총궐기를 호소하는 격문이 경성제국대학과 경성여자상업학교, 중앙고보, 중동학교 등에 뿌려졌다. 5일에는 제2고보 학생들이 거리시위를 벌이려다 일본 경찰의 저지로 동맹 휴학에 들어갔고, 7일에는 제1고보와 경신학교, 중동학교도 시위에 가세했다.

학교별로 산발적으로 이어지던 학생시위는 9일 대규모 연합시위로 발전했다. 먼저 경신학교 학생 500여 명이 광주진상보고 연설회를 마친 뒤 만세를 외치며 경찰의 저지를 뚫고 혜화동으로 진출했다. 보성고보 학생 700여 명도 수업을 중단하고 시위 대열에 합류했다. 휘문고보 학생 400여 명은 경찰의 감시로 교정에서 연설회를 갖고 만세를 불렀다. 이를 비롯해 서울 지역의 거의 모든 중등학교에서 교내외 시위가 동시다발적으로 벌어지자, 일제는 경찰 2,000명과 자동차 100대를 동원해 시위대를 해산시키고 주동자를 체포하는 등 강경 진압을 벌였다. 체포된 학생은 1,200명에 이르렀다.

일제의 탄압이 거세지자, 학생들은 10일부터 동맹 휴학이나 교내 시위로 운동 방향을 전환했다. 결국 일제는 시위를 진정시키기 위해 13일 조기 방학을 실시했다. 하지만 1930년 1월 15일 개학을 맞아 서울의 각급 학교 5,000여 명이 다시 만세를 외치며 거리로 뛰쳐나오고, 이에 여학생들까지 대거 참여하면서 시위는 절정에 이른다.

비슷한 시기에 지방에서도 지역별, 학교별로 만세 시위와 동맹 휴학이 동시다발적으로 이어졌다. 지방에서의 시위도 광주나 서울과 비슷한 양상으로 진행되었다. 지역별 연합 시위가 일어나고, 학생운동 조직이 적극 가담했으며, ‘일제 타도’라는 구호를 외쳤다. 일본에서는 동경의 조선유학생학우회와 재일본 조선노동총동맹 등이 1929년 11월 말부터 거리시위와 비판연설회를 가졌고, 간도에서는 1930년 1~2월 은진중학교, 동흥학교, 신명여학교 등에서 학생 시위가 벌어졌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근호 집필자 소개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선후기 정치사를 전공했으며, 현재 국민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박찬구 집필자 소개

부산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였다. 1991년 서울신문사에 입사하여 사회부, 정치부, 미래전략팀을 거쳤으며 현재 국제부에서 근무 중이다.

출처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 저자이근호 | cp명청아출판사 도서 소개

역사적인 사건들의 기승전결, 사건과 사건 사이의 인과관계와 상호작용을 추적하여 5천 년의 한국사를 복합적으로 이해한다. 고대, 고려, 조선, 근대, 현대로 한국사의 주..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한국사

한국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광주 학생운동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이근호,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