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명성왕후가 시해된 지 한 달 뒤인 1895년 11월, 일본은 친일 김홍집 내각을 앞세워 을미개혁의 하나로 단발령을 발표했다. 고종은 일본군이 왕궁을 포위한 가운데 개화파 대신들의 강요로 “신민에게 먼저 모범을 보인다.”라며 단발을 하게 되었다. 거리에서는 경찰이 길을 막고 강제로 사람들의 머리카락을 자르기도 했다.

일본은 위생과 생활의 편리 등 조선의 근대적 개혁을 구실로 상투 금지와 단발, 양복 착용 등을 시행하게 했다. 하지만 실상은 한국의 전통을 단절시킴으로써 한국인의 민족 정신을 약화시키려는 정략적 의도를 깔고 있었다. 단발령과 함께 양복과 모자, 빗, 포마드 등 복장의 변화에 따라 일본 상품이 유입되기도 했다.

단발령은 국모 시해로 반일 감정이 고조된 국민의 분노를 폭발시키는 계기가 됐다. 당시 국민들은 “유교에서 효의 기본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신체를 훼손하지 않는 것이다. 목을 자를지언정 머리털을 자를 수는 없다.”라며 완강히 반발했다. 단발의 부당함을 지적하는 상소가 잇따랐고, 관직을 사직하거나 학교를 자퇴하는 사례가 이어졌다. 특히 유학자들을 중심으로 항일 의병이 일어나 이소응 부대와 유인석 부대 등이 춘천과 제천 등지에서 일본 침략에 저항하는 활동을 벌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근호 집필자 소개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선후기 정치사를 전공했으며, 현재 국민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박찬구 집필자 소개

부산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였다. 1991년 서울신문사에 입사하여 사회부, 정치부, 미래전략팀을 거쳤으며 현재 국제부에서 근무 중이다.

출처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 저자이근호 | cp명청아출판사 도서 소개

역사적인 사건들의 기승전결, 사건과 사건 사이의 인과관계와 상호작용을 추적하여 5천 년의 한국사를 복합적으로 이해한다. 고대, 고려, 조선, 근대, 현대로 한국사의 주..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한국사

한국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김홍집 내각과 단발령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이근호,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