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사를 움
직인 100
대 사건

이토 히로부미 사살

조국의 원흉을 살해한 안중근

요약 테이블
시대 1909년

1909년 10월 26일 만주 하얼빈 역, 안중근이 발사한 총탄이 대한제국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를 명중시켰다. 침략의 원흉을 해치운 후 안중근 의사는 그 자리에서 체포당했지만, 이토 히로부미는 죽음을 맞이했다. 이듬해 3월 26일 뤼순의 일본 감옥에서 사형이 집행될 때까지 안중근은 시종일관 의연함을 보이며 한민족의 기개를 널리 떨쳤다.

배경

1907년 한일신협약이 체결되고 일본이 고종을 강제 퇴위시키다.
1908년 동양척식주식회사가 설립되고 일본의 조선 수탈이 본격화되었다.
1909년 하얼빈 역에서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의 총에 맞아 사망하다.

설명

안중근은 1879년 9월 9일(음력 7월 16일) 황해도 해주부 광석동에서 태어났다. 가슴에 북두칠성 같은 점이 일곱 개가 있다 해서 할아버지가 자(字)를 응칠(應七)이라고 지었다. 해주의 부호 집안으로 어릴 때 유교 경전과 조선 역사를 배웠으며, 부친 안태훈(安泰勳)이 천주교로 개종해 토마스라는 세례명을 받았다. 1894년에 결혼해 자녀 셋을 둔 안중근은 을사늑약 체결 이듬해인 1906년 가족과 함께 평남 진남포로 이사해 그곳에서 삼흥학교(三興學校)와 돈의학교(敦義學校)를 세우고 나라를 구할 인재를 양성하는 데 힘을 쏟았다. 안중근은 자서전에서 “그때 나는 술을 끊기로 맹세를 했고, 대한 독립하는 날까지로 그 기한을 정했다.”라고 술회했다. 1907년에는 국채보상운동 관서 지부를 설치해 지부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그러던 중 일제가 고종을 퇴위시키고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하자, 전국에서 의병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국내에서의 구국운동에 한계를 느낀 안중근은 이때 가족과 이별하고 북간도를 거쳐 블라디보스토크로 건너갔다. 그리고 현지에서 의병을 이끌던 이범윤(李範允)을 만나 참모중장의 직책으로 노보키에프스크(煙秋, 연추)를 거점으로 의병활동을 벌인다. 1908년 7월에는 연해주 지역의 의병을 이끌고 국내 진공작전을 벌이다 회령군 영산(靈山)전투에서 참패한 뒤 우덕순(禹德淳), 갈화춘(葛化春), 김영시(金榮施) 등과 함께 구사일생으로 두만강을 건너 연추로 귀환하기도 했다.

이듬해인 1909년 3월 안중근은 연추 하리 마을에서 정원주(鄭元柱), 박봉석(朴鳳錫), 김백춘(金伯春) 등 11명의 동지들과 함께 조국 독립 회복과 동양 평화를 위해 목숨을 바치기로 하고, 동의단지회(同義斷指會)를 결성한다. 12명의 회원들은 각자 왼손 약손가락 첫 관절을 잘라 태극기 앞면에 ‘대한독립(大韓獨立)’을 혈서하고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며 단지 혈맹을 맺었다. 안중근은 “그 뒤에 각처로 왕래하며, 교육에 힘쓰고, 민의를 모으고, 신문을 구독하는 것으로써 일을 삼았다.”라고 자서전에 썼다.

그해 9월 안중근은 독립 운동의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블라디보스토크로 향했다. 블라디보스토크에 도착한 안중근은 러시아 지역 한국인 민회의 기관지인 〈대동공보(大東共報)〉 신문사에서 이토가 조만간 만주를 시찰하러 올 것이라는 얘기를 듣고 거사를 결심하였다. 안중근은 우덕순을 불러 이토를 처단할 계획을 세우고 조도선(曺道先), 유동하(劉東夏) 등에게 현지 통역과 도움을 부탁했다.

당시 이토는 통감부가 천황 직속에서 총리대신 직속으로 바뀌면서 초대 통감을 사임하고 추밀원 의장으로 복귀한 상태였다. 일본은 1904년 러일 전쟁에서 승리해 요동 반도와 뤼순 항을 차지한 뒤 뤼순 군항과 남만주철도를 부설하는 등 만주 경영에 한창인 때였다. 이에 10월 12일 도쿄를 출발해 만주 시찰에 오른 이토는 하얼빈에서 러시아 재무대신 코코프체프를 만나 동아시아 세력 확장 문제 등을 논의하기로 한 것이다.

안중근은 역 주변을 탐문해 이토가 탄 특별열차가 26일 오전 도착한다는 사실을 바로 전날 확인하고,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우덕순과 조도선을 하얼빈 역 직전의 지야이지스고(蔡家溝, 채가구) 역에 배치하고, 자신은 이토의 환영식이 열리는 하얼빈 역을 맡기로 했다. 마침내 26일, 안중근은 통역 역할을 하던 유동하와 함께 오전 7시 넘어 하얼빈 역에 도착했다. 역 구내에는 철통같은 경계망이 펼쳐져 있었다. 안중근은 일본인 군중에 섞여 역 안으로 들어갔다. 러시아 헌병의 신분 검색이 실시됐지만, 유동하가 안중근을 ‘일본인 신문기자’라고 하여 위기를 넘겼다. 안중근은 당시 19세였던 유동하를 돌려보내고 홀로 이토가 탄 열차를 기다렸다.

이토 히로부미

ⓒ 청아출판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열차는 오전 9시에 하얼빈 역에 도착했다. 이토는 마중 나온 코코프체프 재무대신과 열차 안에서 20분 남짓 회담을 가진 뒤 플랫폼으로 나왔다. 이토가 군단병의 사열을 받고 귀빈마차로 향하던 순간이었다. 도열한 군부대의 뒤쪽에 있던 안중근이 일본인 군중으로부터 뛰쳐나와 이토와 10여 걸음 떨어진 지점에서 브라우닝 8연발 권총 4발을 쏘았다. 이토가 그 자리에서 쓰러지자 나카무라 제코(中村是公) 만주철도 총재가 급히 부축했다. 안중근은 쓰러진 자가 이토가 아닐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뒤따르던 일본인들에게 연이어 3발을 더 쏘았다. 이어 안중근은 술렁거리는 일본군과 군중 앞에서 “코레아 우라(대한국 만세)”를 세 차례 외친 뒤 현장에서 의연한 태도로 러시아 경찰에 체포당했다.

이토는 흉부와 복부에 3발의 탄환을 맞고 열차 내로 운반돼 응급처치를 받았지만 30분 만인 오전 10시쯤 숨졌다. 사망 직전 한국인이 총을 쏘았다는 얘기를 듣고 이토는 “바보같은 놈”이라고 중얼거렸다. 뒤이어 피격 당한 가와카미 도시히크(川上俊彦) 하얼빈 총영사, 모리 야스지로(森泰二郞) 비서관, 다나카 세이지로(田中淸次郞) 만주철도 이사는 팔과 다리 등에 중경상을 입었다. 수많은 인원과 경호 속에 순식간에 7발을 발사해 이토를 명중시킨 것은 안중근의 사격술과 민첩성이 뛰어났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안중근은 역 구내 러시아 헌병대 분소에서 심문을 받으면서 이름을 ‘대한국인 안응칠’, 나이를 ‘31세’라 하고 “대한의군 참모중장 겸 특파독립대장으로 독립전쟁 중 적의 괴수를 처단 응징했다.”라고 밝혔다. 그날 저녁 안중근은 일본 영사관 지하 감방에 구금됐다.

안중근은 11월 3일 뤼순 감옥으로 옮겨진 뒤 이듬해 2월 14일 사형을 언도받았다. 안중근은 ‘의병 대장’이니 ‘전쟁 포로’로 대우할 것을 요구했지만, 일본 법정은 살인죄를 적용했다. 채가 구역에서 권총 소지 혐의로 체포돼 함께 재판을 받은 우덕순은 징역 3년, 조도선과 유동하는 각각 1년 6개월이 선고됐다.

안중근의 공판은 2월 7일부터 같은 달 14일 사이에 뤼순의 관동도독부 지방법원에서 여섯 차례 진행됐다. 안중근은 법정에서도 애국지사로서의 신념과 의지를 보이며 당당한 논리와 주장으로 이토를 처단한 이유를 밝혔다. 일본이 한국을 침략함으로써 동양의 평화가 깨졌고, 침략의 하수인을 처단한 것은 한국의 주권과 동양의 평화를 회복하기 위한 정의롭고 당연한 거사라는 것이다. 이토를 처단한 이유로 정권 강탈과 무고한 한국인 학살, 황제 폐위, 명성왕후 시해, 군대 해산, 5조약과 7조약의 강제 체결 등 15가지 죄목을 열거하기도 했다.

재판부가 “청이나 러시아에 대항할 힘이 없는 한국을 그대로 두면 망하지 않았겠나. 그래서 일본이 보호해 주겠다고 한 것 아니냐.”라고 하자, 안중근은 “그렇다면 을사늑약을 우리 황제를 협박해서 강제로 체결케 한 이유가 무엇인가. 또 통감 제도 실시 이후 수많은 우리 인민을 무참히 학살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도대체 이등(이토)이 우리를 보호해 준 것이 무엇인가. 아무것도 없다. 일본은 한국을 병탄하려 하고 있다.” 하고 반박했다. 재판을 참관한 영국의 한 기자는 ‘그는 영광의 월계관을 거머쥔 채 자랑스레 법정을 떠났다. 그의 입을 통해 이토 히로부미는 한낱 파렴치한 독재자로 전락했다’라고 썼다.

안중근은 3월 26일 오전 10시 순국 직전 “나는 동양평화를 위해 한 일이니 내가 죽은 뒤에라도 한일 양국은 동양평화를 위해 서로 협력해 주기를 바란다.”라는 말을 남겼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근호 집필자 소개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선후기 정치사를 전공했으며, 현재 국민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박찬구 집필자 소개

부산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였다. 1991년 서울신문사에 입사하여 사회부, 정치부, 미래전략팀을 거쳤으며 현재 국제부에서 근무 중이다.

출처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 저자이근호 | cp명청아출판사 도서 소개

역사적인 사건들의 기승전결, 사건과 사건 사이의 인과관계와 상호작용을 추적하여 5천 년의 한국사를 복합적으로 이해한다. 고대, 고려, 조선, 근대, 현대로 한국사의 주..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이토 히로부미 사살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이근호,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