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한국사를 움
직인 100
대 사건

원나라의 제후국으로 전락한 고려

1270년, 고려 조정이 몽골군에 항복해 39년 강도(江都) 시대를 마감하고 개경으로 환도하면서 고려는 원 간섭기에 접어든다. 원의 속국으로 전락한 고려는 이후 80여 년 동안 원의 내정 간섭으로 자주성의 위기를 겪는다.

먼저 원나라는 고려 국왕을 원의 공주와 결혼시킴으로써 고려를 부마국으로 취급했다. 그리고 고려 국왕과 원의 공주 사이에 태어난 왕자는 원에서 성장하며 교육을 받아야 했고, 자라서는 원의 공주와 결혼한 뒤 즉위 시기에 맞춰 귀국했다. 원은 이를 간접 지배의 한 수단으로 삼았다. 25대 충렬왕에서 31대 공민왕까지 일곱 명의 국왕이 원의 공주를 왕비로 맞았다.

원은 또 고려의 동북 지역에 쌍성총관부, 서북 지역에 동녕부, 제주에 탐라총관부를 세워 내정에 개입했다. 고려가 원의 속국이 되면서 왕실 용어와 관제 등도 격하됐다. 원은 충렬왕이 즉위하면서부터 국왕의 묘호에 조(祖)나 종(宗) 대신 왕(王)을 붙이도록 했고, 폐하는 전하로, 태자는 세자로 바꿨다. 원의 황제에게 충성을 다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충렬왕부터 충정왕까지 6명의 국왕 이름 첫 자에 ‘충(忠)’을 붙였다. 관제는 2성 6부에서 1부 4사로 격하됐다.

이와 함께 고려는 공녀(貢女)와 금, 은, 인삼, 잣, 매 등 각종 공물을 바치며 인적, 물적으로 엄청난 수탈을 당해야 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근호 집필자 소개

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국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조선후기 정치사를 전공했으며, 현재 국민대학교에서 강의하고 있다.

박찬구 집필자 소개

부산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를 졸업하였다. 1991년 서울신문사에 입사하여 사회부, 정치부, 미래전략팀을 거쳤으며 현재 국제부에서 근무 중이다.

출처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 저자이근호 | cp명청아출판사 도서 소개

역사적인 사건들의 기승전결, 사건과 사건 사이의 인과관계와 상호작용을 추적하여 5천 년의 한국사를 복합적으로 이해한다. 고대, 고려, 조선, 근대, 현대로 한국사의 주..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한국사

한국사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원나라의 제후국으로 전락한 고려한국사를 움직인 100대 사건, 이근호,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