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청결의 역습

방귀를 만드는 세균

방귀

ⓒ Dennis Cox/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9세기 말, 프랑스의 희극인 르 페토마뉴(Le Petomane)는 방귀쇼로 큰 인기를 끌었다. 이 쇼는 방귀로 천둥소리, 옷 찢어지는 소리, 대포소리 등을 내는 공연이었다. 그는 항문에 튜브로 연결한 오카리나로 ‘오 솔레미오’ 같은 노래를 연주할 수 있었고, 잘 조준된 방귀 한 방으로 한 걸음 떨어진 곳에 있는 촛불도 끌 수 있었다. 쇼에 한 번 출연하는 데 당대의 유명 연극배우들의 3배에 해당하는 2만 프랑을 받았다. 사람이 이만한 양의 방귀를 계속 배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많았다. 그가 끝까지 감추었던 엄청난 양의 방귀 비결은 결장에 공기를 흡입했다가 다시 내뿜는 기술이었다는 동료들의 증언도 함께 전해진다.

방귀의 주요 원인은 장내세균이다. 장내에 사는 세균들은 메탄이나 수소와 함께 냄새나는 가스를 만들어낸다. 가스를 생산하는 장내세균은 평균적으로 매일 수소 24L와 메탄 6L를 생산한다. 그러나 실제로 매일 만들어지는 방귀의 양은 1L 뿐이다. 그 이유는 어떤 세균은 메탄과 수소를 생산하는 반면, 어떤 세균은 이러한 대부분의 가스를 비활성 물질로 전환하기 때문이다.

방귀는 거의 모든 문화권에서 예의상 감추어야 하는 생리현상이었다. 벤저민 프랭클린은 당시 서양 상류사회 사람들이 방귀를 억지로 참아서 가스가 방출되는 것을 막은 나머지 탈장과 복부팽만 같은 질병에 걸릴 위험이 있고 종종 체질이 변하기도 하며 가끔 생명의 위협도 받는다고 썼다. 그는 방귀 냄새가 나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배출하는 약을 개발하는 데 정부가 상금을 걸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방귀가 의학적으로 문제가 되는 경우는 없다. 다만 뚜렷한 이유 없이 방귀를 많이 만들어내는 환자들의 경우, 수술실에서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이 경우 문제는 수술하는 동안 전기 방전으로 수소와 메탄의 혼합가스에 불이 붙어 환자의 결장에서 폭발이 일어나는 것이다. 실제로 방귀는 종종 수소를 폭발 가능한 수준(4~74%)으로, 혹은 메탄을 폭발적인 수준(5~13%)으로 함유할 수 있다.

UC 버클리 학생들은 음식에 들어 있는 성분 중에서 가스를 생산하는 세균에 가장 효과적인 성분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연구를 했다. 학생들은 제한된 음식을 조심스럽게 먹었고 발산된 장내 가스를 플라스틱 백에 모아 분석했다. 그 결과 라피노오스라는 당이 가스를 만드는 주범으로 밝혀졌다. 사람에게는 이 당을 분해하는 효소가 없다. 따라서 창자의 아래쪽까지 그대로 이동되고 세균에 발효되어 가스 혼합물이 다량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라피노오스는 콩에 많이 들어 있다. 그러나 우리는 콩 음식보다는 보리밥을 먹었을 때 방귀를 많이 뀐다고 말한다. 왜 그렇게 느끼는 걸까? 소화관에서 평소보다 많은 방귀를 만드는 데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 자주 먹던 음식물이 아닌 새로운 음식으로 바뀐 경우다. 늘 쌀밥만 먹다가 보리밥을 먹는다든가 밀가루 음식을 먹는다든가 하는 경우다. 대장에서는 장내세균들이 이제까지 보지 못했던 음식물이 대장으로 들어오면 평소의 먹이와는 달라 이를 잘 먹는 세균들이 자라게 된다. 반면 이를 이용하지 못하는 세균은 줄어든다. 이렇게 되면 장내세균총이 바뀌면서 가스를 많이 생산하게 된다.

둘째, 소화관에 젖산균이 감소하면 방귀가 많이 나온다. 건강한 사람은 소화관에 젖산균이 많으므로 가스를 생산하지 않는다. 그러나 젖산균 수가 감소하면 가스를 생산하는 세균이 증가하므로 같은 음식을 먹는다 하더라도 방귀를 많이 뀌게 된다. 장내에 건강한 세균이 많다면 방귀의 양도 적고 냄새도 거의 나지 않는다. 장래에는 방귀 냄새로 장내세균의 상태를 알 수 있는 가이드라인이 나올지도 모른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버나드 딕슨, 『미생물의 힘』, 사이언스북스 (2002), pp. 235~238.

유진규 집필자 소개

1965년 출생. 서울대 영어교육과 졸업. SBS 다큐멘터리 PD로 활동 중이다. 2007년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킨 <환경호르몬의 습격>으로 한국방송대상을 수상했고, 이후 <..펼쳐보기

출처

청결의 역습
청결의 역습 | 저자유진규 | cp명김영사 도서 소개

좋은 세균이 만들어내는 기적과 좋은 세균이 사라지면서 생겨나는 재앙에 관한 놀랍고도 충격적인 메시지! 세균을 질병의 원인이라고 여기는 현대인은, 매일 수많은 항균제품을..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방귀를 만드는 세균청결의 역습, 유진규, 김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