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우리 몸에서 유익균이 사라지는 또 다른 원인으로 식단의 변화가 있다. 피렌체 대학교 연구팀은 아프리카의 부르키나파소에 있는 한 오지마을 아이들과 피렌체에서 사는 아이들의 장내 미생물을 비교했더니 차이가 크게 났다. 아프리카 아이들의 장내 미생물은 더 복잡하고 다양했다. 부르키나파소 아이들은 피렌체 아이들에게는 발견되지 않는 미생물 몇 가지를 가지고 있었는데, 식물성 섬유질을 분해하는 세균이었다. 그리고 박테로이데테스는 많고 피르미쿠테스는 적었다. 이탈리아 아이들에게 피르미쿠테스가 상대적으로 많은 것은 비만 위험도가 높고 염증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이 부족함을 시사했다.
워싱턴 대학교 제프리 고든 박사는 베네수엘라에 사는 인디오, 말라위 오지의 원주민과 북미인들의 장내 미생물을 비교했다. 인디오와 말라위 원주민들은 6만 년 이상 떨어져 살았음에도 양쪽의 미생물은 유사했고 북미인들의 미생물은 크게 달랐다. 인디오와 말라위 원주민들의 미생물은 섬유질 같은 복합탄수화물을 분해하는 능력이 탁월했고 북미인들의 미생물은 단순당을 분해하는 데 뛰어났다. 이것은 두 집단 간 식단의 차이에서 기인한다. 인디오와 말라위 원주민들은 섬유질이 풍부한 전통식단을 먹는다. 반면 북미인들은 설탕이나 과당 같은 단순당을 많이 섭취한다.
일본인들의 장내 미생물은 해조류를 소화하는 데 특별한 능력이 있었다. 일본인의 장내 미생물이 과거 어느 시점에 해조류에 붙어사는 세균으로부터 해조류를 분해하는 DNA를 넘겨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일본인들의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해조류를 소화하는 장내 미생물이 차츰 줄고 있다.
지구촌에서는 ‘장내 미생물의 세계화’가 진행 중이다. 음식과 생활환경이 유사해지면서 장내 미생물의 지역적 차이가 희미해지고 있다. 전 세계가 북미인들의 미생물을 닮아가고 있는 것이다. 염증 조절력이 부족하고 비만을 촉진하는 성향을 가진 ‘나쁜’ 미생물상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서구식 식단의 보편화, 특히 단당류 탄수화물의 섭취가 급증한 탓이다. 단당류 탄수화물은 장내 유해균을 증가시킨다.
산업혁명 초기인 1815년 영국의 1인당 설탕 소비량은 연간 6.8kg이었지만 2000년에는 70kg으로 증가했다. 미국의 의학기자 벨라스케스 마노프의 표현대로 ‘장내 미생물은 음식물과 면역기능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므로 장내 미생물은 우리의 나쁜 식습관을 질병으로 변환한 셈이다.
브뤼셀의 패트리스 카니(Patrice Cani)는 생쥐에게 정크푸드를 먹이는 실험을 했다. 정크푸드를 먹은 생쥐는 장내 미생물상이 크게 변화했다. 피르미쿠테스는 번성하고 박테로이데테스는 감소했다. 생쥐는 장내 미생물의 균형이 깨지면서 장누수가 생겼다. 생쥐의 느슨해진 장벽 사이로 미생물의 부산물이 침투했다. 낮은 상태의 전신 염증이 고착됐다. 체세포가 호르몬에 잘 반응하지 않게 되어 인슐린 저항이 생겼다. 쥐는 과식을 해서 비만이 되었다. 미생물의 불균형 상태는 더 심해지고 염증이 증가했다. 악순환이었다. 점점 더 많은 인슐린을 생산하던 췌장이 마침내 항복했다. 쥐가 당뇨에 걸린 것이다. 카니는 쥐의 사료에 섬유질과 올리고당을 섞음으로써 악순환을 멈출 수 있었다. 비피더스균이 장내 미생물상에 견고하게 자리 잡으면서 장누수가 멈췄고 염증이 완화됐으며 당뇨 증상이 개선됐다.
이런 현상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입증됐다. 마른 체형의 사람들에게 정크푸드를 먹이면 피르미쿠테스는 번성하고 박테로이데테스는 감소한다. 뉴욕 대학교에서는 사람들에게 아침식사로 패스트푸드를 먹였다. 달걀 머핀과 소시지와 해시 브라운이었다. 패스트푸드형 아침식사를 한 사람들은 장내 미생물의 변화와 더불어 전신 염증이 발생했다. 연구자들은 이 식단에 오렌지주스를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염증을 가라앉힐 수 있었다. 섬유질이 풍부한 오렌지주스가 유익균의 보루 역할을 한 것이다. 대부분의 유익균은 식이섬유를 먹이로 삼는다.
음식은 장내 미생물에 영향을 줌으로써 면역기능에 영향을 준다. 설탕과 식용유로 대표되는 정제된 음식들은 건강한 미생물을 억압하고 유해한 미생물을 증폭시킨다. 진화를 통해 고도화된 특별한 미생물 생태계가 어이 없이 붕괴되고 있다. 우리의 장내 유익균들은 항생제 살포로 휘청거리고 설탕과 정제 곡물의 융단폭격으로 된서리를 맞았다. 장내 미생물은 나쁜 방향으로 변화했고 우리는 면역질환에 취약해졌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Impact of diet in shaping gut microbiota revealed by a comparative study in children from europe and rural africa”
- ・ “Human gut microbiome viewed across age and geograpy” Nature (2012)
- ・ J. L. Sonnenburg, “Microbiology: Genetic pot luck” Nature (2010)
- ・ Cani PD et al., “The Gut Microbiome as Therapeutic Target”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011)
- ・ R. Jumpertz et al., “Energy balance studies reveal associations between gut micorbles, caloric load, and nutrition absorptio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11)
- ・ H. Ghanim et al., “Orange juice neutralizes the proinflammatory effect of a high-fat, high-carbohydrate meal and prevents endotoxin increase and Toll-like receptor expressio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10)
글
출처
전체목차
건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유해균을 키우는 식단 – 청결의 역습, 유진규, 김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