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청결의 역습

키스병으로 발견한 바이러스

미국 청소년들이 키스병이라고 하는 병이 있다. 감기와 증상이 비슷하고 임파선이 붓는데 이 증상이 한 달 이상 지속되다가 서서히 사라진다. 미국 대학생들의 15% 정도가 이 질병을 대학 생활 중에 경험한다. 키스병 정식 명칭은 전염성 단핵구증으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으로 발생한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Epstein-Barrvirus)는 침을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이성 친구를 활발히 사귀는 청소년기에 잘 걸린다. 키스병을 앓게 되면 회복된 이후에도 바이러스가 면역계의 B세포에 남아 평생 잠복상태를 유지한다. 어느 나라나 성인의 95% 이상은 이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키스병이 모든 사람의 질병은 아니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돼도 아무 증상 없이 지나가는 경우가 더 많다.

이 바이러스에 가장 취약한 시기는 모체에게서 받은 면역 항체가 사라지는 유아기다. 이 때문에 저소득 국가에서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이 생애 초기에 이루어진다. 반면에 고소득 국가에서는 이 바이러스의 첫 감염이 유아기에 이루어지는 빈도가 절반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는 위생이 발달한 나라를 중심으로 감염 시기가 점점 늦어지고 있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이 늦어지는 데에 따르는 문제는 없을까?

청소년기에 전염성 단핵구증을 앓은 아이는 성인이 되어 다발성 경화증을 앓게 될 위험성이 크게 증가한다. 다발성 경화증은 신경세포의 축삭을 둘러싸고 있는 절연물질인 수초가 탈락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수초가 벗겨져 없어지면 신경신호의 전도에 이상이 생기고 결국 신경세포들이 조금씩 죽게 된다. 키스병을 앓고 나서 평균 14년 정도 후에 다발성 경화증이 오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그러나 유아기에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일찌감치 보균자가 된 사람들은 다발성 경화증에 걸리지 않는다.

인류의 95% 이상이 보균자라면 이 바이러스는 인간과 어떤 관계일까? B세포에 침입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는 B세포의 공격기능을 향상해 유아기의 감염성 질환들에 잘 저항하도록 도와준다. 이 바이러스에 처음 노출되는 시기가 유아가 모체에서 받은 면역력이 사라지는 시기이므로 절묘한 역할 교대인 셈이다. 워싱턴 대학교의 바톤(Barton ES) 박사는 2007년 『네이처』에 실린 논문에서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는 숙주인 인류에게 ‘면역력 혜택을 주는 공생관계에 있다’라고 썼다.

유아기에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B세포의 공격력이 강화되는 동시에 조절 T세포의 기능도 함께 향상된다. 만 2세 이전에 엡스타인바 바이러스를 획득한 어린이들은 알레르기 질환에 잘 걸리지 않는다. 이 바이러스는 공격력 강화와 면역 억제력 확보라는 창과 방패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다. 현재까지 발견된 사실만으로도 충분히 우리는 엡스타인바 바이러스에 ‘친구 바이러스’라는 수식어를 붙일 수 있다. 인류의 전부가 감염되는 것이 정상인 엡스타인바 바이러스의 존재는 정상적인 면역시스템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키스병은 엡스타인바 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 Liza Gross/wikipedia | CC BY 2.5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Goldacre M. J. et al., “Multiple sclerosis after infectious mononucleosis: record linkage study” Journal of Epidemiological Community Health (2004)
  • ・ Barton E. S. et al., “Herpesvirus latency confers symbiotic protection from bacterial infection” Nature (2007)
  • ・ Saghafian-Hedengren S. et al., “Early-life EBV infection protects against persistent IgE sensitization”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2010)

유진규 집필자 소개

1965년 출생. 서울대 영어교육과 졸업. SBS 다큐멘터리 PD로 활동 중이다. 2007년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킨 <환경호르몬의 습격>으로 한국방송대상을 수상했고, 이후 <..펼쳐보기

출처

청결의 역습
청결의 역습 | 저자유진규 | cp명김영사 도서 소개

좋은 세균이 만들어내는 기적과 좋은 세균이 사라지면서 생겨나는 재앙에 관한 놀랍고도 충격적인 메시지! 세균을 질병의 원인이라고 여기는 현대인은, 매일 수많은 항균제품을..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키스병으로 발견한 바이러스청결의 역습, 유진규, 김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