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청결의 역습

cancer, 癌

세균 생태계의 불균형이 일으키는 질환

암의 CT 스캔

ⓒ Stevenfruitsmaak/wikipedia | GFDL

국립암센터에 따르면 한국 남성암의 25%, 여성암의 16%가 세균과 바이러스의 감염으로 발생한다. 인유두종 바이러스는 자궁경부암을, B형 · C형 간염 바이러스는 간암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암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해주는 세균도 있음이 확인되고 있다.

암은 유전자 복제과정에서 실수로 잘못 만들어진 세포가 자기복제를 하면서 생긴다. 세포 분열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는 것인데 염증처럼 세포활동이 평소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는 암이 발생하기가 쉽다. 그러므로 만성 염증은 발암의 위험성을 높이는 한 가지 원인이 된다.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은 만성 염증을 가져오므로 디스바이오시스 역시 암과 관련이 있다고 의심해볼 수 있다. 그 증거로 염증성장질환이 있다.

일반적으로 염증성장질환 환자들은 결장암 위험도가 높다. 장내세균 균형을 무너뜨려 대장에 강한 염증을 유도하면 결장의 양성 종양이 악성 종양으로 바뀌는 것이 관찰된다. 실제로 대장암 환자들의 장내 미생물은 정상인과 많이 달랐다. 그리고 대장암 환자의 암 조직상의 장내 미생물은 인접한 건강한 조직의 장내 미생물과 전혀 달랐다.

암이 발생하는 두 번째 요인은 면역계가 생겨난 암세포를 조기에 발견하여 제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암은 면역계의 실패라고 볼 수 있다. 독일 농장 아이들의 경우에서 확인한 것처럼 발달기의 박테리아 노출은 면역력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몇 가지 사례에서 암이 천식과 마찬가지로 위생가설의 패턴을 따르는 것이 발견됐다. 형제자매가 많은 경우, 일부 암으로부터 보호되는 효과가 있다. 급성단핵구성백혈병과 호지킨 림프종은 손위 형제의 수가 많은 경우 확실히 보호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미국 워싱턴 대학 연구팀은 상하이의 섬유 공장 근로자 2만 6천 명을 1989년부터 10년간 추적 관찰했다. 섬유 공장 근로자들은 폐암 발병률이 낮았으며 근무 연수가 오래될수록 폐암으로부터 보호받는 효과가 컸다. 섬유 공장은 목화를 원료로 사용하는 순면 가공 공장이었다. 같은 상하이의 화학섬유 공장 근로자들의 폐암 발생률은 중국의 일반 통계와 같았다. 무엇이 순면 공장 노동자들을 폐암으로부터 보호했을까? 연구자들은 목화 먼지에 들어 있는 다양한 세균과 세균이 만든 내독소를 그 이유로 지목했다. 장기간 세균에 노출된 결과 폐암으로부터 보호받았다는 것이다. 영국의 목화 공장 노동자들에게서도 같은 효과가 발견되었다.

암과 프로바이오틱스와의 관계에 관해서도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 중이다. 유해균이 만들어내는 대사물질 중에 발암물질로 작용하는 것들이 있는데, 프로바이오틱스는 이런 유해균을 줄여줄 수 있다. 그리고 건강한 장내세균들이 섬유질을 분해하여 만들어내는 부티르산은 DNA의 복제과정을 안정시켜 암 발생 여지를 줄일 수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Joshua M. Uronis et al., “Modulation of the Intestinal Microbiota Alters Colitis-Associated Colorectal Cancer Susceptibility” PLoS ONE (2009)
  • ・ I. Sobhani et al., “Microbial Dysbiosis in Colorectal Cancer (CRC) Patients” PLoS ONE (2011)
  • ・ Julian R. Marchesi, “Towards the Human Colorectal Cancer Microbiome” PLoS ONE (2011)
  • ・ Andrea Altieri et al., “Number of Siblings and the Risk of Lymphoma, Leukemia, and Myeloma by Histopathology” (2006)
  • ・ George Astrakianakis et al., “Lung Cancer Risk Among Female Textile Workers Exposed to Endotoxin” (2006)
  • ・ D. M. McElvenny, “Lung cancer mortality in a cohort of UK cotton workers: an extended follow-up” British Journal of Cancer (2011)

유진규 집필자 소개

1965년 출생. 서울대 영어교육과 졸업. SBS 다큐멘터리 PD로 활동 중이다. 2007년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킨 <환경호르몬의 습격>으로 한국방송대상을 수상했고, 이후 <..펼쳐보기

출처

청결의 역습
청결의 역습 | 저자유진규 | cp명김영사 도서 소개

좋은 세균이 만들어내는 기적과 좋은 세균이 사라지면서 생겨나는 재앙에 관한 놀랍고도 충격적인 메시지! 세균을 질병의 원인이라고 여기는 현대인은, 매일 수많은 항균제품을..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건강

건강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청결의 역습, 유진규, 김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