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미술관 과학
관 101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昌原市立馬山文信美術館

세계적인 조각가가 고향에 선물한

요약 테이블
위치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 합포구 문신길 147

올림픽공원에 있는 〈올림픽 - 화합〉을 조각한 문신은 일본에서 태어나 유년 시절을 마산에서 보냈다. 그는 프랑스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추상 조각가로 큰 명성을 얻었다. 세계적인 조각가가 되었지만, 그가 평생을 바쳐 이룩한 예술적 성과는 유럽이 아닌 제2의 고향 마산에 남기고 싶어 했다. 그의 꿈을 실현한 공간이 바로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이다.

먼저 만나는 추산야외조각미술관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을 찾는 관람객은 '추산야외조각미술관'을 먼저 만난다. 추산야외조각미술관은 2010년에 개최한 '문신국제조각심포시엄'에 참가한 조각가들의 작품을 전시한 야외미술공원이다.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전경

ⓒ 어바웃어북 |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관람은 주차장부터 시작된다. 로버트 모리스 작가의 〈LABYRINTH〉가 가장 먼저 반긴다. 철을 소재로 한 작품이다. 안으로 들어가면 삼각의 미로를 걷는 묘한 경험을 한다. 짧은 미로를 빠져나오면 세키네 노부오의 〈Phase of Nothingness〉가 눈에 띈다. 사각 스테인리스 기둥 위에 바위를 얹은 모양이다. 문신길을 지나 숲으로 내려가면 가와마타 타다시의 〈Tree Hut in Moonshin〉이 나온다. 나무 위에 집이 올라간 모양으로 아이가 특히 좋아하는 설치미술이다. 다시 문신길로 나오면 마치 인간의 이중성을 표현한 것 같은 피터 버크의 〈Head Space〉가 나온다.

사진목록
  • 로버트 모리스, 〈LABYRINTH〉 로버트 모리스, 〈LABYRINTH〉
  • 세키네 노부오, 〈Phase of Nothingness〉 세키네 노부오, 〈Phase of Nothingness〉
  • 피터 버크, 〈Head Space〉 피터 버크, 〈Head Space〉
  • 박종배, 〈못과 大地〉 박종배, 〈못과 大地〉
  • 데니스 오펜하임, 〈FALLS〉 데니스 오펜하임, 〈FALLS〉
이전 이미지 보기 이전 이미지 보기 다음 이미지 보기 다음 이미지 보기
현재 이미지1/5 로버트 모리스, 〈LABYRINTH〉
로버트 모리스, 〈LABYRINTH〉

ⓒ 어바웃어북 |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문신

세계 미술의 경향을 공부하기 위해 두 차례 프랑스로 건너갔던 문신은 1980년 영구 귀국했다. 이후 그는 자신의 미술관 건립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건축 비용을 모으기 위해 개인전으로 얻은 수익금을 모두 내놓았다. 또한 정문에 돌을 세우는 위치와 연못 땅을 단단히 하는 작업까지 모든 과정에 참여하고 결정했다. 작품 활동도 꾸준히 매진했는데 서울올림픽을 기념해 제작한 〈올림픽 1988〉은 문신의 예술 인생을 대표하는 작품이다. 그토록 염원했던 미술관은 1994년 드디어 개관했지만 안타깝게도 문신은 다음 해 타계했다.

문신

바다와 마주 서있는 미술관

작품에 취해 길을 걷다 보면 어느새 문신미술관에 도착한다. 전시관 두 개가 마주보고 서있고 그 사이 야외 조각전시장이 자리한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건 야외 조각전시장 앞으로 멀리 보이는 바다 풍경이다. 평생 예술혼을 불태웠을 거장의 창작열이 바다를 향해 뻗어나가는 것만 같다.

입구 가까이 있는 건물이 '제2전시관'이다. 야외 조각전시장을 지나면 '제1전시관'이다. 가까이 있는 제2전시관부터 둘러보고 제1전시관, 문신원형미술관을 관람하는 순서가 가장 편하다. 문신미술관은 문신의 작품은 물론이고 회화, 사진, 영상, 퍼포먼스, 설치미술 등 여러 방면에서 역량 있는 작가들의 전시회를 꾸준히 개최해왔다.

'문신 예술 70년 회고전'(2015), '기획 초대전 : 돌연변이'(2014), '노스탤지어'(2013~2014) 등이 그것이다. 제2전시관에서는 지역 작가와 문신미술상 수상 작가의 작품을 만나는 기획전, 특별전시회 등을 개최한다. 또한 거장의 작품을 볼 수 있는 초대전도 꾸준히 열고 있다.

문신의 작품을 상설전시하는 제1전시관에서는 자연이 만든 작품도 감상할 수 있으니 아이 손을 잡고 2층까지 꼭 올라가보자. 넓은 창을 통해 마산항과 바다가 펼쳐진다. 문신미술관은 작가의 작품만큼이나 멋진 풍경이 방문객들을 유혹하는 곳이다.

1층으로 내려가는 계단 중간에서는 문신의 〈개미〉를 만난다. 청동으로 제작된 작품이다. 문신이 주로 활용한 '시메트리(symmetry)' 기법으로 만들어졌다. 시메트리는 중심점이나 중심축을 두고 좌우와 상하를 배치하는 기법으로 조각과 회화에서 많이 사용한다. 작품에 안정, 엄숙, 신비한 느낌을 준다. 문신의 〈개미〉는 좌우 대칭과 세 부분의 덩어리로 나뉘는 모양이 실제 개미를 떠올리게 한다.

사진목록
  • 문신미술관 입구 문신미술관 입구
  • 바다가 보이는 야외 전시장 바다가 보이는 야외 전시장
  •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제1전시관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제1전시관
  •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제2전시관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제2전시관
  • 문신, 〈개미〉 문신, 〈개미〉
이전 이미지 보기 이전 이미지 보기 다음 이미지 보기 다음 이미지 보기
현재 이미지1/5 문신미술관 입구
문신미술관 입구

ⓒ 어바웃어북 |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문신미술관의 가장 큰 볼거리 야외 전시장

문신미술관의 가장 큰 볼거리는 야외 전시장이다. 스테인리스 스틸, 흑단, 청동을 소재로 만든 야외 전시장의 조각들은 문신의 대표작들이다. 아이에게 〈우주를 향하여〉, 〈콩코드〉, 〈和Ⅱ〉, 〈무제〉 등 작품 제목과 모양을 번갈아 설명해주자. 작품이 의미하는 바를 함께 상상해보는 것도 좋다.

작품은 언뜻 보기에 좌우가 똑같아 보이지만 꼭 그렇지만은 않다. 문신의 작품은 곤충이나 식물을 닮은 것도 같기도 하고, 인체 일부를 닮은 것 같기도 하다. 또 어떤 작품은 하늘로 치솟으려는 것처럼 날개를 활짝 펼친 모양이다. 작품 모양에 대해 아이와 이야기를 나눠보자. 작품을 두고 아이가 자신만의 의견을 갖는 것은 훌륭한 미술 체험 교육이다.

야외 전시장에서 놓쳐서는 안 될 작품이 하나 더 있다. 전시장 바닥 타일이다. 문신은 미술관을 건립하면서 기계를 구입해 직접 타일을 하나하나 자르고 디자인해 바닥 공사를 마무리했다. 이것을 알고 보면 바닥 디자인과 야외에 설치된 조각이 유기적으로 맞닿아있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아이에게 지금 딛고 있는 바닥 또한 문신의 작품이라고 알려주자. 원형과 사각으로 디자인된 바닥은 문신의 작품 세계를 투영했다.

    • 1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 야외 전시장
    • 2문신이 직접 디자인한 야외 전시장 바닥 타일 모양

문신원형미술관과 아이들을 위한 조각 체험 교실

문신은 세상을 뜨기 전 "사랑하는 고향에 미술관을 바치고 싶다"는 유언을 남겼다. 오랜 시간 공들여 건립한 미술관이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으면 하는 바람에서 나온 뜻이었다. 그의 유지에 따라 문신미술관은 2003년 마산시에 기증되었다.

야외 전시장을 지나면 '문신원형미술관'이다. 조각작품을 만들 때 가장 먼저 하는 작업이 바로 원형 만들기다. 작품에 숨결을 불어넣는 첫 단계이자 밑바탕이기 때문에 원형을 만드는 과정은 중요하다. 특히 문신의 석고 원형은 그 자체만으로도 훌륭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석고 원형의 백색은 문신이 작품을 대하는 순수한 열정을 상징한다. 색깔뿐 아니라 좌우의 간결한 대칭은 문신의 예술 세계를 집약한다.

문신은 1972년 파리 최초 지하철 전시회 '살롱드마르스 국제 조각전'에 석고 원형 작품 〈우주를 향하여〉를 출품해 호평을 받았다. 그는 타계하기 전 석고 원형 전시를 열어달라는 유언을 남겼다. 석고 원형에 대한 작가의 애정이 얼마나 깊었는지를 짐작할 수 있다. 석고 원형을 별도로 전시하는 미술관은 흔치 않다. 아이는 이곳에서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문신미술관에서는 어린이를 위한 다양한 미술 프로그램들을 운영 중이다. 방학과 주말에는 '조각 체험 교실'을 이용해보자. 체험 교실에 참가한 아이들은 전문 강사의 도움을 받아 점토, 석고, 철사 등을 이용해 조각작품을 만든다. 이 과정을 통해 아이는 창작 감수성을 키우고, 문신의 작품 활동을 간접 체험한다.

사진목록
  • 문신원형미술관 실내 문신원형미술관 실내
  • 문신의 작업실을 재현해놓은 공간 문신의 작업실을 재현해놓은 공간
  • 조각 체험 교실 조각 체험 교실
  • 문신의 석고 원형 작품 문신의 석고 원형 작품
이전 이미지 보기 이전 이미지 보기 다음 이미지 보기 다음 이미지 보기
현재 이미지1/4 문신원형미술관 실내
문신원형미술관 실내

ⓒ 어바웃어북 |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함께 가보면 좋아요

창동예술촌

문신미술관에서 멀지 않은 곳에 골목마다 예술의 향기가 피어나는 예술촌이 있다. 옛 마산시의 중심가였던 창동예술촌이다. 2011년 창원시는 쇠락해 가던 창동의 50여 개 점포를 빌려 지역 예술인들에게 무상으로 공간을 마련해주었다. 지역 예술 발전과 상권 부활을 꾀한 도심 재생 운동의 시작이었다. 이를 위해 어지럽던 골목을 정비하고 담벼락엔 미술작품을 그려 넣었다. 창동예술촌은 크게 '문신예술골목', '마산예술흔적골목', '에꼴드창동골목' 등 세 가지 테마로 나뉜다.

세 개의 골목에는 작업실과 갤러리, 공방이 자리하고 있다. 공방에서는 '포크아크 기법(갤러리 문)', '그림책 만들기(SPACE 1326)', '아트 타일(보리도예공방)', '석고틀 조형 제작하기(르네상스 아틀리에)', '동화 만화 그리기(ART&STORY)' 등 30여 개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창동예술촌

ⓒ 어바웃어북 | 저작권자의 허가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 본 콘텐츠는 2016년 3월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현지 사정에 의해 정보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출처

미술관 과학관 101
미술관 과학관 101 | 저자강민지 | cp명어바웃어북 도서 소개

『미술관 과학관 101』는 아이와 함께 가볼 만한 전국의 미술관과 과학관 101곳을 가까운 시가지부터 지방 구석구석까지, 체험거리가 풍성하고 알찬 미술관과 과학관을 ..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우리나라 미술관

추천항목


[Daum백과] 창원시립마산문신미술관미술관 과학관 101, 강민지,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