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최근 집 안의 빈 공간을 이용해서 만든 미니 화단이 인기를 끌고 있다. 키우기 쉬운 관상식물은 공기 정화에 좋을 뿐 아니라 새집증후군의 대표 유해 물질인 포름알데히드를 없애는 효과까지 있어 여느 가정집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식물 중에도 독성이 있어 열매나 잎, 꽃잎 하나라도 입에 물거나 먹으면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게 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미국 어린이 안전캠페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5세 이하 어린이의 독성감염사고 원인의 10%가 식물에 의한 것이다.
아이는 물론 어른에게까지 위험한 관상식물을 혹시 집에서 키우고 있는 건 아닌지 미리 확인해보자!
입에 넣으면 안 되는 관상식물
칼라듐
흰색 바탕에 녹색의 잎맥, 혹은 녹색 바탕에 붉은색의 잎맥이 특징인 칼라듐은 여름철 관엽식물로 인기가 높다. 잎을 입에 넣으면 입술, 혀에 화상을 일으킨다.
디펜바키아 마리안느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고 실내 습도를 조절하는 데 효과가 큰 관상식물이다. 연두색 잎에 하얀색 잎맥이 특징인 이 관상식물을 먹으면 혀와 입이 부어올라 삼키고 말하는 게 어려워지며, 어린아이가 먹었을 경우 바로 사망할 수 있다.
서양 담쟁이덩굴
늘 초록잎을 볼 수 있어서 실내 관엽식물로 인기가 높지만, 한 잎만 먹어도 목숨이 위험한 대표적인 맹독성 관상식물이다.
서양 협죽도
공해에 강하며 여름부터 가을까지 빨간색, 노란색, 흰색의 아름다운 꽃을 피운다. 잎부터 가지까지 치명적인 독을 가지고 있다. 몇 년 전에 서양 협죽도 줄기로 젓가락을 만들어서 도시락을 먹던 초등학생이 사망한 사고도 있었다.
디기탈리스
화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로 나팔 모양의 화려한 꽃이 줄기를 따라 겹겹이 달려 있다. 꽃에 맹독이 있어 한 송이만 입에 넣어도 목숨이 위태로울 수 있다.
열매는 먹을 수 있으나 잎을 먹으면 안 되는 채소
감자
잎에는 솔라닌이라는 독성이 들어 있다. 싹이 나거나 빛이 푸르게 변한 감자 역시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만지면 안 되는 관상식물
덩굴옻나무
옻나무과에 속하는 덩굴식물로, 음지에서 잘 자라고 이산화탄소 처리 능력이 탁월하다. 최근에는 산뿐만 아니라 도심에서도 자생하고 있으며 피부에 닿으면 심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다.
쐐기풀
한방에서 진통제로 쓰는 쐐기풀은 만지면 벌에 쏘인 것 같은 통증을 일으킨다.
열매를 먹으면 안 되는 관상식물
서양 호랑가시나무
가을에 사과와 비슷한 모양의 열매를 맺는 서양 호랑가시나무는 정원수로 인기가 높지만 열매에 독이 있다.
겨우살이
다른 나무에 기생해서 사는 겨우살이의 잎과 가지를 이용한 추출물이 암 치료에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열매에는 독성이 있어 사용하지 않는다.
나팔꽃
나팔꽃의 씨앗은 한방에서 약재로 사용하고 있으나, 맹독이 있어 훈련된 의사만 다룰 수 있다.
란타나
3~4㎝ 크기의 흰색, 분홍색, 주황색, 노란색, 붉은색 등의 아름다운 꽃을 피우는 관상식물이지만 검은색의 열매에는 맹독이 있다. 먹을 경우 호흡장애를 일으키며 죽을 수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지구 위의 모든 재난으로부터 나와 내 가족을 지킨다. 살아가면서 마주할 수 있는 각종 재난재해에 대처할 수 있는 방법과 응급처치법을 소개한다. 실제로 일어났던 재난을 ..펼쳐보기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생명을 위협하는 관상식물이 있나요? – 재난으로부터 살아남는 법, 성상원, 전명윤, 웅진리빙하우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