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초등학생 심
리백과

용돈이 부족하다고 난리를 쳐요

다른 표기 언어 동의어 초등학교 6학년의 문제행동
요약 테이블
시기 초등학교 6학년

아이가 학년이 높아질수록 용돈에 대한 불만이 커집니다. 다른 아이의 용돈과 비교하기도 하고 용돈이 모자란다며 학원비 등을 핑계로 부모에게 용돈을 더 받아내기도 합니다. 아이가 정말 용돈이 부족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유흥거리에 쓸 돈이 필요한 것인지 부모는 알 수가 없습니다. 부모로서는 아이의 씀씀이가 점점 커지는 것을 보고 어떻게 관리를 해야 할지 난감할 따름입니다.

경제관념을 바로잡는 계기로 삼아야

기본적으로 이 시기의 아이들은 경제활동을 하지 않기 때문에, 경제관념이 바로 서 있지 않습니다. 기껏해야 아이들이 할 수 있는 경제활동은 부모들이 주는 용돈에 국한됩니다. 이러한 관점에서 나이에 맞게 용돈을 주고, 용돈을 잘 쓰도록 지도하는 것은 경제적 관념을 키우는데 필수적입니다. 용돈만 주고 "네가 알아서 관리해"라고 말하는 것은 일종의 방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용돈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관리하는 능력은 나이가 든다고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닙니다. 학습과 경험에 의해 터득하게 되지요. 그렇다고 부모가 대신 관리를 해주면 돈의 가치나 효율적인 사용법 등을 일깨워줄 수 없습니다. 자녀에게 일정한 금액을 일정한 기간 동안 자신의 책임하에 사용하는 기회를 주었을 때 경제적 능력이 자연스럽게 습득됩니다.

초등학교 6학년 정도면 스스로 용돈을 관리하는 법을 배울 나이인 만큼 체계적으로 용돈 관리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저학년이 하루나 주 단위였다면, 6학년은 그 기간을 보름이나 한 달로 넓힐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전까지 용돈의 개념 없이 부모를 졸라 돈을 받아 썼거나, 용돈 사용에 부모와 마찰이 있었다면 단지 학년이 올랐다는 이유로 금액을 올려주어서는 안 됩니다.

특히 부모 외에 친지나 주변 어른들로부터 계획에 없는 용돈을 받으면, 따로 저축을 하게 하여 용돈을 사용하는 흐름이 깨지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용돈을 줄 때 고려할 3가지

용돈의 액수는 얼마가 적당한가?

흔히 부모들은 용돈을 줄 때 주변 부모들을 보고, 혹은 아이가 필요한 돈을 대충 짐작해서 액수를 결정합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일방적인 결정은 아이의 경제관념 자체를 무시하는 것입니다.

아이도 자기 자신만의 경제 논리가 있습니다. 용돈의 액수나 주는 방식에 대해서는 아이와 의논해서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돈이 필요한 것도 아이이고, 그 돈을 실제로 사용하는 것도 아이이기 때문이지요.

용돈의 액수를 결정할 때는 먼저 아이에게 용돈을 필요로 하는 내용과 그에 따른 액수를 적어보게 합니다. 그리고 부모와 함께 가정 형편을 고려하여 사용 가능한 액수를 조정하는 것이지요. 다른 친구들의 용돈에 대해 아는 것도 필요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용돈의 액수가 가정의 재정상황에 의해 결정된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용돈의 범위를 어떻게 정할 것인가?

아이에게 용돈을 줄 때 '사용 범위를 어디까지 둘 것인가?' 하는 것도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용돈에 학교생활에 꼭 필요한 학용품비까지 넣는다면 액수는 커질 것이고, 단지 아이가 자유롭게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한다면 금액은 당연히 줄어들 것입니다. 용돈의 범위가 커지면 그만큼 아이가 운영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지게 되고 체계적으로 용돈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 아이에게 경제적 운용 능력을 기대하기란 무리입니다. 따라서 아이의 수준에 맞게 용돈의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용돈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

체계적인 용돈 관리를 하기 위해서 용돈기입장을 작성하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용돈기입장을 사용하면 용돈의 계획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불필요한 지출과 필요한 지출에 대해 이해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바른 소비 습관을 갖출 수 있습니다. 즉 용돈기입장을 통해 용돈의 출처, 예산, 지출, 결산과 반성 등 금전의 흐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것이지요.

일기를 몰아 쓰면 안 되는 것처럼, 용돈 기입장도 매일 지속적으로 작성하게 해야 합니다. 단지 보이기 위한 목적으로 기록할 경우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돕는 것은 고사하고 기입장을 쓴다는 자체가 스트레스가 될 수 있습니다. 이때 부모는 확인을 하되 낭비한 부분이 발견되더라도 용인하는 자세를 유지해야 합니다. 용돈기입장의 목적은 아이를 혼내려는 것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잘못된 습관을 느끼게 하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용돈을 얼마큼 쓰고 남았느냐가 아니라, 아이에게 '용돈이 왜 남았고 왜 모자라는지'를 파악하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입니다.

경제관념을 키우는 용돈기입장 작성법

용돈기입장은 예산서와 결산서로 나누어 작성할 수 있다. 예산서는 한 달간의 예산을 미리 작성하는 것이고, 결산서는 매달 사용한 용돈에 대해 결산하는 것이다. 예산서와 결산서를 동시에 작성해보면, 용돈 지출에 대해 계획하고 그 쓰임새를 실제로 확인해봄으로써 자신의 소비성향 중 잘못된 점을 짚어볼 수 있다.

구분 내용 금액(원)
수입지난달에 남은 돈
부모님으로부터의 용돈
집안일 돕기
폐품 수집
기타
합계
2,350
3,000
2,500
1,500
500
9,850
지출저축
학용품값
간식
취미 오락비
기타
합계
2,000
2,000
1,500
200
1,500
9,000
용돈 예산서 예시
구분 내용 금액(원)
수입지난달에 남은 돈
부모님께서 주신 용돈
집안일 돕기
폐품 팔아 받은 돈
합계
2,350
5,000
2,200
1,200
10,750
지출저축
학용품값
간식비
취미 오락비
기타
합계
2,000
2,150
1,800
2,700
1,300
9,950
남은 돈 수입(10,750)원-지출(9,950)원= 남은 돈(800)원
용돈 결산서 예시

결론
부모님이 이번 달부터 용돈을 2천 원이나 올려주셔서 다른 달보다 수입이 많았으나 지출이 많이 늘었다. 앞으로는 좀 더 아껴 써야겠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신의진 집필자 소개

1964년 부산 출생. 연세대 의대 졸업 후 동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6~1997년 미국 콜로라도 대학에서 유학 후, 현재 연세대 의대 소아정신과 교수 및 신촌 세브란스병원 소아..펼쳐보기

출처

초등학생 심리백과
초등학생 심리백과 | 저자신의진 | cp명갤리온 도서 소개

초등학생을 둔 부모들이 꼭 알아야 할 지식과 정보를 132개의 질문과 답을 통해 정리한 백과사전. 초등학교 6년을 학년별로 구성, 그 연령대에 꼭 알아야 할 심리 발달..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용돈이 부족하다고 난리를 쳐요초등학생 심리백과, 신의진, 갤리온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