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어 인문학
이야기 1 완제품이 아닌 베타 버전은 소비자를 ‘용병’으로 이용하는 것인가?
베타 릴리스
beta releasebeta release(베타 릴리스)란 주로 인터넷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프로그램이나 게임의 정식버전이 출시되기 전, 프로그램상의 오류를 점검하고 사용자들에게 피드백을 받기 위해 공개하는 미리보기 형식의 서비스를 말한다. 알파(alpha)니 베타(beta)니 하는 단어들은 1950년대에 IBM이 하드웨어 개발 용어로 처음 사용한 것이지만, 당시 IBM은 ‘베타 릴리스’ 대신 ‘field test’라는 말을 사용했다.
베타 릴리스와 비슷한 말로 오픈 베타(open beta) 또는 클로즈드 베타(closed beta)가 있는데, 오픈 베타(open beta)란 베타 서비스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공개한 것을 말하며, 클로즈드 베타란 베타 서비스를 한정된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도록 폐쇄적으로 공개한 것을 말한다.
미국의 실리콘밸리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격언 중의 하나는 “일찍 그리고 자주 실패하라(Fail early, fail often)”는 말인데, 이는 초기 단계에 나오는 피드백이 결국 마지막에 더 좋은 결과를 낳는다고 보기 때문이다. 미국 뉴욕대학 저널리즘 교수 제프 자비스(Jeff Jarvis)는 ‘베타 릴리스’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완벽을 추구하다 보면 창조 과정이 복잡해지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기술 분야에서는 이렇게 계획에 없던 것이 불필요하게 추가되는 것을 ‘피처 크리프(feature creep)’라고 부른다. 이는 이상에 가까운 제품을 만들겠다고 겉만 번드르르한 기능이나 디자인을 하나씩 추가하느라 출시가 늦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실수를 하지 않으려면 베타를 발표해야 된다. 일단 발표해놓고 무엇이 더 필요한지 살펴보아야 한다는 얘기다.”
feature creep은 creeping featurism 또는 featuritis라고도 하는데, 주로 위원회 형식의 조직에서 자주 일어나는 내부 타협의 결과로 생겨난다. 서로 생각이 다른 위원들끼리 한 마디씩 하는 걸 다 담으려고 하다 보니까, 이런저런 기능이 추가되는 것이다. 물론 이는 전체 효율성을 크게 떨어뜨려 제품의 실패를 유발하는 주요 이유가 된다.
‘피처 크립’이라는 실수를 피하기 위해서도 ‘베타 릴리스’가 필요하다고 하지만, ‘완제품이 아닌 베타 버전’이라는 것은 결국 기업들이 자기들이 생산한 제품의 최종적인 테스트를 고객들에게 떠넘긴다는 의미라는 비판도 있다. 즉, 소비자가 대기업의 이윤창출을 위한 ‘용병’으로 이용당하는 건 아니냐는 의구심이 있다는 뜻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Software release life cycle」, 『Wikipedia』; 「베타 서비스」, 『위키백과』.
- ・ 에릭 슈미트(Eric Schmidt) · 제러드 코언(Jared Cohen), 이진원 옮김, 『새로운 디지털 시대』(알키, 2013), 363쪽.
- ・ 제프 자비스(Jeff Jarvis), 위선주 옮김, 『공개하고 공유하라』(청림출판, 2011/2013), 113쪽.
- ・ 「Feature creep」, 『Wikipedia』.
- ・ 홀름 프리베 · 사샤 로보, 두행숙 옮김, 『디지털 보헤미안: 창조의 시대를 여는 자』(크리에디트, 2007), 268~269쪽.
- ・ 최항섭,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경제권력, 프로슈머」, 김상배 엮음, 『인터넷권력의 해부』(한울, 2008), 229~231쪽.
글
출처
경쟁용 수단으로 배우는 영어! 재미있게 공부할 순 없을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상식 등 테마별로 단어의 유래를 살펴보고, 인류학적·인문학적 지식으로 영어..펼쳐보기
전체목차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베타 릴리스 –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1,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