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재미있는 영
어 인문학
이야기 1
왜 미디어는 ‘펀딧’이란 말을 즐겨 쓰나?

펀딧

pundit

pundit은 “(인도의) 학자, 박식한 사람, 정치 분석가”, pundit class는 “식자층(識者層)”, punditry는 “현자의 학식, 박학자”란 뜻이다. pundit은 힌두어로 “knowledge owner(지식의 소유자)”, “learned man(지식인)”이란 뜻이다.

미국 예일대학 학생들은 예일대학 영문학 교수 윌리엄 라이언 펠프스(William Lyon Phelps, 1865~1943)의 후원으로 Pundits라는 이름의 클럽을 결성했다. 『타임』의 발행인 헨리 루스(Henry R. Luce, 1898~1967)는 자신의 예일대학 학생 시절을 떠올리면서 pundit이라는 단어를 『타임』에 적극 사용함으로써 이 단어의 대중화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pundit은 오늘날엔 주로 언론계의 정치 분석가들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고 있다. 언론계가 스스로 주도한 일종의 자화자찬(自畵自讚)인 셈이다. pundit은 사람마다 각자 다른 의미로 쓰지만, 다소 경멸적인 의미로 쓰는 경우도 있다. 특히 텔레비전에 출연하는 pundit을 가리켜 ‘talking head’라고 한다. talking head는 텔레비전 앵커나 기자는 물론 정치 광고에서 부자연스럽게 원고를 또박또박 읽는 후보자까지 가리킨다. 펀딧의 정치 분석이나 예측이 틀리면 그만한 지위를 누리지 못하는 정치 분석가들의 좋은 ‘비판 먹이감’이 된다.

펀딧이라는 말이 멋있어 보였던지, 이젠 분야를 가리지 않고 전문가를 펀딧이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예컨대, 다음 기사를 보자. “영국 방송사 스카이스포츠의 펀딧(축구 전문가)으로 방송 데뷔를 한 아스널의 ‘킹’ 티에리 앙리가 친정팀 아스널에 조언을 남겼다. 앙리는 맨시티 대 아스널 전 경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알렉스 송이라면 아스널을 향상시킬 것이다’라며 ‘그와 같은 유형의 선수가 수비진 앞에서 좋은 활약을 할 수 있는 선수다’라고 말했다.”

pundit과 비슷한 말로 maven(박식한 사람, 통달해 있는 사람, 숙달한 사람)이 있다. 특정 분야에 박식한 사람으로 지식 전파를 위해 애쓴다. “one who understands(이해하는 사람)”란 뜻의 히브리어에서 온 단어다.

Some pundits are worried about the degree of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these days(일부 전문가들은 최근 학교폭력의 심각성에 대해서 우려하고 있다). Sports pundits are assuming that the future is extremely bright for Park(스포츠 전문가들은 박주영의 미래는 매우 밝다고 추측하고 있다). Political pundits say there even may be a revolution(정치 전문가들은 혁명이 일어날 수도 있다고 말한다).

pundit

knowledge owner learned man

ⓒ 인물과사상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William Safire, 『Safire’s Political Dictionary』(New York: Random House, 1978), pp.260~262.
  • ・ Kathleen Thompson Hill & Gerald N. Hill, 『Real Life Dictionary of American Politics』(Los Angeles, CA: General Publishing Group, 1994), pp.231, 269; 「Pundit」, 『Wikipedia』.
  • ・ 이성모, 「앙리 “아스널, 알렉스 송이 필요해”」, 『서울신문』, 2015년 1월 19일.
  • ・ 「Maven」, 『Wikipedia』.
  • ・ 「pundit」, 『다음 영어사전』.

강준만 집필자 소개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사회에 의미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 대표 저서로는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펼쳐보기

출처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1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1 | 저자강준만 | cp명인물과사상사 도서 소개

경쟁용 수단으로 배우는 영어! 재미있게 공부할 순 없을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상식 등 테마별로 단어의 유래를 살펴보고, 인류학적·인문학적 지식으로 영어..펼쳐보기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펀딧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1,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