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재미있는 영
어 인문학
이야기 1
왜 순수주의자가 정치를 죽이는가?

퓨리스트

purist

activism을 실천하는 행동가를 가리키는 activist는 무보수로 일하면서도 뜨거운 정열로 적극적인 활동을 하기 때문에 미국 정치의 중요한 한 축을 형성해 왔다. 미국 정치에서 ‘문화적 전사(cultural warriors)’로 불리는 ‘풀뿌리 행동주의자(grassroots activists)’는 전체 인구의 5~8퍼센트 규모인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우파 행동주의자와 좌파 행동주의자는 서로 다른 것보다는 닮은 게 더 많다. 이들이 갖는 장점에도 이들 간의 충돌은 미국 정치를 자주 오도 가도 못 하는 교착 상태에 빠뜨리는 등 사실상 정치를 죽이고 있다.

미국 정치학자 아론 윌다브스키(Aaron Wildavsky, 1930~1993)는 ‘행동주의자(activist)’와 비슷한 말로 ‘순수주의자(purist)’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순수주의자들은 가능성을 추구하는 정치를 이상을 추구하는 종교처럼 대하기 때문에 타협을 거부하는 강경파로 활약하기 마련이다. 어느 집단에서건 이런 강경파는 소수임에도 지배력을 행사한다. 강경파와 강경파 지지자들의 강점은 뜨거운 정열이기 때문이다.

순수주의자들은 합리적 토론 대신 분노의 공격을 선호한다. 그래서 이들은 국민 관점에서 더 중요한 문제보다는 피를 끓게 만드는 이슈가 더 부각되게 함으로써 사회적 의제 설정을 왜곡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1995년 한 연구에 따르면, CNN을 포함한 주요 방송 뉴스에서 대부분이 purists인 시민단체들의 보도가 공익 · 사익 이익집단 인터뷰의 45.6퍼센트를 차지할 정도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purists의 로비력은 미미하다는 점에 비추어 놀랍게 여겨졌다. 미국 정치에서 ‘순수주의 전성시대’가 나타나고 있는 이유는 다음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정치 참여에 대한 물질적 이익의 감소 때문이다. 각종 제도와 법 등과 같은 개인 보호 장치가 발달하고 시민사회가 성숙해지면서 일반 대중의 정치 참여가 쇠퇴한 반면 순수주의자들의 참여가 상대적으로 부각되었다. 둘째, 선거 캠페인에서 돈의 중요성이 심해지면서, 돈을 아끼지 않는 순수주의자들의 목소리가 커졌다. 셋째, 자극을 찾는 미디어들이 순수주의자들의 전투성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purist라는 단어가 최초로 사용된 기록은 1706년인데, 당시엔 ‘전통에 지나치게 집착하는 사람’으로 특히 언어의 순수성에 집착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의미로 쓰였다. 물론 오늘날엔 모든 분야에 걸쳐 애초에 존재하던 본질에 수정을 가하는 그 어떤 것도 반대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된다. 대중문화 분야에선 주로 자신이 좋아하는 소설이 영화로 만들어지는 걸 반대하거나 원작의 변형을 질타하는 사람들을 가리켜 purist라고 한다.

purist의 사상이나 생각을 purism(순수주의)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Purism은 1918년에서 1925년 사이에 프랑스 미술과 건축에 영향을 미친 운동을 가리킨다. 그 중심인물은 화가이자 작가였던 아메데 오장팡(Amédée Ozenfant, 1886~1966)이다. 수전 볼(Susan Ball)은 『오장팡과 순수주의(Ozenfant and Purism: The Evolution of a Style 1915~1930)』(1981)에서 순수주의를 “제1차 세계대전의 상처를 겪은 프랑스에서 질서(regularity)를 회복하기 위한 시도”라고 평가했다.

퓨리스트(purist)

ⓒ 클립아트코리아 |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클립아트코리아에 있으며,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Kathleen Thompson Hill & Gerald N. Hill, 『Real Life Dictionary of American Politics』(Los Angeles, CA: General Publishing Group, 1994), p.14; James Davison Hunter & Alan Wolfe, 『Is There a Culture War?: A Dialogue on Values and American Public Life』(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6), p.28.
  • ・ Alan C. Elms, 『Personality in Politics』(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1976), p.43.
  • ・ David Horowitz, 『The Art of Political War and Other Radical Pursuits』(Dallas: Spence Publishing Co., 2000), p.47.
  • ・ Morris P. Fiorina et al., 『Culture War?: The Myth of a Polarized America』, 3rd ed.(New York: Longman, 2011).
  • ・ 「Purist」, 『Wikipedia』.
  • ・ 「Purism」, 『Wikipedia』.

강준만 집필자 소개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탁월한 인물 비평과 정교한 한국학 연구로 우리사회에 의미있는 반향을 일으켜온 대한민국 대표 지식인. 대표 저서로는 <강남 좌파>, <한국 현대사 산..펼쳐보기

출처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1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1 | 저자강준만 | cp명인물과사상사 도서 소개

경쟁용 수단으로 배우는 영어! 재미있게 공부할 순 없을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상식 등 테마별로 단어의 유래를 살펴보고, 인류학적·인문학적 지식으로 영어..펼쳐보기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언어 일반

언어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퓨리스트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1,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