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어 인문학
이야기 1 왜 인간은 아기 사진을 보면 선해질까?
클루지
klugekluge(클루지)란 단어가 있다. kludge라고도 쓴다. 무슨 뜻일까? 클루지는 어떤 문제에 대한 서툴거나 세련되지 않지만, 놀라울 만큼 효과적인 해결책을 뜻한다. 공학자들이 쓰는 말로, ‘영리한’을 뜻하는 독일어 클루그(klug)에서 유래된 말로, 공학자들이 결코 완벽하지 않은 엉성한 해결책을 가리킬 때 쓰는 통속적인 표현이다. ‘jury rig(임시로 급히 짜맞추기, 임시방편으로 사용하기)’의 동의어라고 할 수 있겠다.
미국 뉴욕대학 심리학자 개리 마커스(Gary Marcus, 1970~)는 『클루지: 생각의 역사를 뒤집는 기막힌 발견(Kluge: The Haphazard Construction of the Human Mind)』(2008)에서 인간의 다양한 심리적 특성에 대해 진화심리학적 설명을 시도했다. 이 책에 대해 최호영은 “저자는 인간이 얼마나 불완전하고 비합리적인 존재인지를 보여주는 사례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인간의 마음이 이렇게 불완전한 이유를 ‘진화의 관성(evolutionary inertia)’에서 찾는다”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진화의 관성’이란 특정 시점에서 진화의 가능성이 그 이전까지 진화해온 종의 상태에 제약을 받는 사정을 가리킨다. 다시 말해 진화란, 마치 뛰어난 공학자가 어떤 문제를 풀기 위해 가장 합리적인 해결책을 찾는 것처럼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 진화해온 것들을 바탕으로 당장 그런대로 쓸 만한 해결책이 발견되면, 그것이 선택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 인간의 마음은 불완전하고 때때로 엉뚱한 문제를 야기하는, 곧 클루지 상태가 되는 것이다.”
클루지의 드라마틱한 사례를 하나 살펴보자. 1970년 4월 아폴로 우주선 13호의 달착륙선에서 이산화탄소 여과기가 고장 나는 비상사태가 발생했다. 이걸 고치지 못하면 승무원들이 지구로 돌아오지 못하고 죽을 수도 있는 심각한 상황이었다. 우주비행 관제소의 공학자 에드 스마일리(Ed Smylie)는 교신을 통해 승무원들에게 “우주 캡슐 안에 무언가 쓸모 있는 것이 있을 것이다. 궁리를 해봐라”고 조언했다. 승무원들은 비닐봉지와 마분지 상자, 절연 테이프, 양말 한 짝 등을 가지고 비록 투박하긴 하지만 훌륭한 여과기 대용품을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이게 바로 클루지다.
우리 인간이 어린 아기에 대해 보이는 온정적 반응도 클루지다. 영국 심리학자 리처드 와이즈먼(Richard Wiseman)은 거리 곳곳에 지갑 240개를 떨어뜨려 두고 사람들의 반응을 살피는 실험을 했다. 지갑엔 현금은 없이 개인적인 사진, 신분증, 기한 지난 복권, 회원증 1~2장, 그 밖의 자잘한 물건들이 들어 있었는데, 지갑마다 다른 것은 사진이었다. 각 지갑마다 노부부의 사진, 가족사진, 강아지, 아기 사진을 넣어두었으며, 사진이 없는 지갑도 있었다.
실험 결과 지갑의 회수율에 엄청난 차이가 난 것이 밝혀졌다. 사진이 들어 있지 않은 지갑의 회수율은 15퍼센트, 노부부의 사진이 들어 있는 지갑의 회수율은 25퍼센트, 가족사진이 들어 있는 지갑의 회수율은 48퍼센트, 강아지 사진이 들어 있는 지갑의 회수율은 53퍼센트, 아기 사진이 들어 있는 지갑의 회수율은 88퍼센트였다. 길에서 지갑을 발견했을 때 우리의 의식은 “지갑을 주인에게 찾아주는 건 좋은 일이다. 그러나 그렇게 하는 동안 내가 포기해야 하는 시간과 노력을 따져볼 때······”라며 망설이게 되지만, 아기에 대해선 온정적 반응을 보이는 무의식이 작동한다. 강아지도 비슷하다. 강아지와 아기는 눈이 크고 입이 작으며 연약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렇게 작용하는 무의식이 바로 클루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개리 마커스(Gary Marcus), 최호영 옮김, 『클루지: 생각의 역사를 뒤집는 기막힌 발견』(갤리온, 2008); 「Kludge」, 『Wikipedia』; 댄 가드너(Dan Gardner), 이경식 옮김, 『앨빈 토플러와 작별하라』(생각연구소, 2010/2011).
글
출처
경쟁용 수단으로 배우는 영어! 재미있게 공부할 순 없을까?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역사 상식 등 테마별로 단어의 유래를 살펴보고, 인류학적·인문학적 지식으로 영어..펼쳐보기
전체목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클루지 – 재미있는 영어 인문학 이야기 1, 강준만,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