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언어 일반 조회순 목록
-
보헤미안 (보헤미아인, Bohemian) 보헤미아(Bohemia)는 본래 체코의 서부 지방을 일컫는 지명으로서, 보헤미안의 말뜻 그대로 보자면 보헤미아 지방 사람이라는 뜻이다. 이 ..
-
빙부·빙모 (聘父·聘母) 빙부(聘父)는 다른 사람의 장인을, 빙모(聘母)는 다른 사람의 장모를 일컫는 말이다. 결혼한 남성을 기준으로 한 말로, 빙부는 아내의 아버지..
-
훈민정음 (훈민정음해례본, 訓民正音) 1446년에, 정인지, 신숙주 등이 훈민정음 예의, 해례, 정인지 서문 등을 담아 간행한 훈민정음 해설서. 책이름을 글자이름인 훈민정음과 똑..
-
토사구팽 (兎死狗烹) 사마천의 『사기』에 나오는 말로서 ‘토끼를 잡으면 사냥개를 삶는다(狡兎死走狗烹)’는 뜻이다. ‘하늘 높이 나는 새가 다 없어지면, 좋은 활은..
-
TMI (Too Much Information) TMI는 ‘너무 과한 정보(Too Much Information)’의 줄임말이다. 불필요한 타인의 정보를 의도치 않게 너무 많이 알게 되는 ..
-
패러다임 (paradigm) 원래 의미는 사례(事例)라는 뜻이다. 어떤 요인에서 다양하면서도 한편 서로 무관한 듯한 사례가 나타나는 경우, 그 연쇄계열(連鎖系列)이 패러..
-
말짱 도루묵이다 임진왜란 당시, 피난길에 오른 선조 임금이 처음 보는 생선을 먹게 되었다. 그 생선을 맛있게 먹은 선조가 고기의 이름을 물어보니 ‘묵’이라 ..
-
부사 (어찌씨, adverb) 용언이나 다른 말 앞에 놓여 그 말의 뜻을 제한해주는 품사로 관형사와 함께 수식언에 속한다. 부사는 때때로 부사나 관형사, 명사를 수식하는 ..
-
어용 (御用) 본래는 임금이 기용해서 쓴 사람을 가리키는 말이었다. 오늘날에 어용이란 말은 정부나 그밖의 권력 기관의 요구에 영합하여 그 이익을 위해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