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올림픽 경기 종목 | Y |
---|
무거운 원판을 심봉 양쪽에 끼우고 이를 들어 올리는 경기를 말하며, 들어 올린 무게가 얼마나 무거운가를 경쟁하는 스포츠다. 경쟁 방법은 들어 올리는 방법에 따라 나뉘며, 성별, 체급별로 경기를 치른다.
역도와 비슷한 형태의 경기는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주로 돌과 같은 것들을 이용하여 경기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중세 독일에서는 무거운 돌을 던지는 힘자랑 형식의 대회가 있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힘겨루기 차원의 경기가 제대로 형식을 갖추기 시작한 것은 1800년대부터다. 역도가 확실하게 자리를 잡게 된 것은 독일의 구츠무츠나 얀 등 체조 연구가들에 의해서다. 또한 얀의 제자 아이젤렌에 의하여 덤벨 운동의 지도서가 만들어졌다.
1869년 제1회 올림픽대회에서는 역도가 체조의 한 부분으로 다루어졌는데 체급도 없었으며 종목이 지금과 달랐다. 1920년 제7회 올림픽대회부터 비로소 독립된 체급 경기로 인정을 받았으며, 1928년 제9회 암스테르담올림픽부터는 양손에 의한 추상, 인상, 용상의 세 종목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추상 종목은 1973년부터 폐지되었다.
현재와 같은 역도가 우리나라에 첫 선을 보인것은 1928년 ‘역기’라는 칭호를 갖게 된 후다. 1936년에는 조선역기연맹이 조직되었으며, 1946년 해방 후 조선역도연맹이 발족되었고, 다음해인 1947년에 우리나라 역도 사상 최초로 세계역도선수권대회에 출전하게 되었다.
경기 방법
경기 방법에는 인상과 용상이 있다. 우선 인상 경기는, 바벨이 선수 다리 앞에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손바닥이 밑으로 향하도록 해 바벨을 잡고 다리를 벌리거나 구부리면서 한 번의 동작으로 바닥에서 머리 위까지 양팔이 쭉 펴지도록 들어 올려야 한다. 심봉이 몸통을 따라 연속 동작으로 올라가고, 드는 동안 발 이외의 어느 부분도 바닥에 닿아서는 안 된다. 들어 올린 바벨은 심판이 심봉을 경기대에 내려놓으라는 신호를 보낼 때까지는 팔과 다리가 쭉 펴지고 발이 동일선상에 있는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부동자세를 유지해야 한다.
용상은 제1동작인 클린과 제2동작인 저크로 이루어진다. 클린 동작에서 바벨이 선수 다리 앞에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손바닥이 밑으로 향하도록 해 바벨을 잡고 다리를 벌리거나 구부리면서 한 번의 동작으로 바닥에서 어깨까지 끌어올린다. 최종 자세 전에 심봉이 가슴에 닿지 않아야 한다. 그리고 나서 심봉을 쇄골이나 젖꼭지 위 가슴 혹은 완전히 구부려진 팔에 의지한다. 양발은 제2동작을 하기 전에 다리를 편 상태에서 동일선상으로 복귀시킨다. 선수는 적절한 때에 원래 자세로 돌아와 양발을 동일선상에 놓고 몸통과 바벨을 수평으로 평행이 되게 한다.
저크 동작에서 선수는 양다리를 구부리고 양팔을 수직으로 뻗어 완전히 편 상태까지 바벨을 가져오도록 양팔뿐만 아니라 양다리를 편다. 양팔과 양다리를 편 채로 양발을 동일선상으로 복귀시키고 바벨을 내려놓으라는 심판의 신호를 기다린다. 인상과 용상 두 부문에 대하여 각각 3회씩의 기회가 주어지며, 두 부문에서 들어 올린 무게의 합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시설 및 용구
심봉은 남자용과 여자용의 규격이 조금 다르다. 중량의 경우 남자용은 20kg, 여자용은 15kg이며, 길이는 남자용이 2,200mm, 여자용이 2,010mm이다. 심봉의 직경은 남자용 28mm, 여자용 25mm이다. 심봉에는 1개당 2.5kg 무게가 나가는 2개의 조임쇠가 있다. 남자용 심봉에는 양손의 위치를 쉽게 정할 수 있도록 옹이가 있지만, 여자용 심봉에는 옹이가 없다.
원판은 중량과 색상이 정해져 있다. 25kg은 적색, 20kg은 청색, 15kg은 노랑색, 10kg은 초록색, 5kg은 백색, 2.5kg은 적색, 2kg은 청색, 1kg은 초록색, 0.5kg은 백색이다. 가장 큰 원판의 직경은 450mm이다. 모든 경기는 탄력이 있는 나무로 만들어진 경기대 위에서 실시되어야 하며, 규격은 사방 4m이다. 선수는 벨트를 착용할 수 있다. 단 벨트 너비가 120mm를 초과해서는 안 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전통종목과 대중스포츠, 이색종목들을 정리한 스포츠 백과사전이다. 종목별 개요, 특징, 시설, 경기 방법, 기술 등을 생동감 있는 그림과 함께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