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패러글라이딩과 서핑의 특성을 조합하여 개발한 것으로 패러글라이딩과 같은 대형 카이트(연)를 공중에 띄우고 이를 조종하여 바람의 힘에 따라 서핑 보드를 끌면서 물 위를 내달리는 레포츠다. 1990년대 유럽과 하와이 등지에서 파도가 치지 않는 날에도 서핑을 즐길 방법을 찾다가 발명되었으며 이후 세계 각지로 보급되었다. 우리나라에는 2000년부터 도입되어 동호인들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용구
카이트서핑을 위한 장비는 카이트 및 이를 몸에 연결하는 장비인 하네스, 카이트 조종을 위한 컨트롤바, 약 30m 정도의 줄, 보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깨 넓이 정도 되는 컨트롤바를 카이트와 연결하여 이를 움직여 카이트를 조종한다. 보드의 종류에는 단방향 보드와 양방향 보드가 있고 컨트롤바에는 안전 탈출 장치가 포함되어 있어 돌발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카이트의 크기에 따라 컨트롤바의 크기도 달라진다. 하네스의 경우, 카이트서핑용이 따로 있기는 하지만 윈드서핑에 사용하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용 방법
패러글라이딩 조종 기술과 함께 서핑 기술을 습득해야 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숙련되려면 시간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필수 기술만 잘 익히면 쉽게 즐길 수 있으며 다양한 기술들을 구사할 수 있게 된다. 카이트서핑의 묘미는 점프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보통 점프라는 이름보다 플라잉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는 이유는 점프가 드라마틱하게 이루어지는 데 있다. 카이트가 위쪽으로 날려고 하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 힘을 잘 이용하면 파도가 없는 수면에서도 수 미터의 점프가 가능하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전통종목과 대중스포츠, 이색종목들을 정리한 스포츠 백과사전이다. 종목별 개요, 특징, 시설, 경기 방법, 기술 등을 생동감 있는 그림과 함께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전체목차
수상스포츠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