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10m 러닝타깃은 10m 거리에서 2m를 움직이는 표적에 대하여 공기소총으로 사격하는 경기이다. 표적이 움직이기 시작하는 때는 사수가 표적을 호출하는 때이고 표적은 통로에 나타나 천천히 달리거나 빨리 달리게 된다. 빨리 달릴 때는 처음 달리기 시작해서 사라질 때까지 2.5초가 걸리고 천천히 달릴 때는 5초가 걸린다. 사수는 그 시간 안에 표적에 사격해야 한다. 러닝타깃 종목은 50m종목 또는 10m종목으로 올림픽 정식 종목이었으나 2004년 올림픽을 마지막으로 정식 종목에서 제외되었다.
시설
사격장은 잘 정돈하여 표적이 일정한 속도로 개방된 지역을 수평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표적을 사격할 수 있는 지역을 “오프닝(Opening)”이라 하는데, 표적이 “오프닝”을 가로질러 이동하는 것을 “주행(Run)”이라 한다. “오프닝”의 양쪽 측면에 있는 보호벽은 “오프닝”에 도달할 때까지 표적이 전혀 보이지 않을 정도의 높이를 갖고 있어야 하며 벽 가장자리는 표적과 구별되는 선명한 색으로 채색하여야 한다. 50m 표적은 2개(주행 : 좌측1, 우측1)의 표적이 번갈아 보이도록 표적을 이동 수레 또는 표적 운반기에 놓아야 한다. 이동 수레는 철로나 케이블 또는 유사한 설비 위에서 주행할 수 있으며, 속도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표적 운반 기기로 운행되어야 한다. 10m 표적은 좌·우 주행에 대하여 변경하지 않는다.
용구
총기는 4.5mm 구경의 공기소총을 사용하며, 10m 공기소총 경기에 사용하는 소총과 유사하지만 총신이 더욱 길고 4배율까지의 광학식 망원 조준경을 사용할 수 있다. 연장부위를 포함한 작동부위 및 총열의 길이가 1,000mm를 초과하면 안 된다. 실탄은 4.5mm 구경의 납 또는 기타 무른 물질로 만들어진 탄환을 사용할 수 있다.
표적의 경우, 50m 경기에서는 멧돼지 그림을 이용한 표적이 사용되지만 10m 경기에서는 직사각형의 종이 카드에 조준점 하나와 채점구역 두 개가 인쇄되어 있으며, 조준점이 가운데 위치한다. 전자표적의 경우 검은색 구멍인 채점구역 한 개가 중심에 위치하고, 조준점이 그 양 옆에 위치한다. 조준점의 지름은 15.5mm이며, 채점구역의 경우 육안으로 채점하는 종이표적의 경우 지름이 50.5mm(검은색 구역은 30.5mm), 전자표적용 종이카드에서는 30.5mm이다. 원 사이의 거리는 70mm이다.
경기 방법
정상 경기(regular runs)와 혼합 경기(mixed runs)가 있는데 표적이 움직이는 방법에 따라 구분된다. 정상 경기는 완주 표적을 남자의 경우 30발, 여자의 경우 20발 사격한 다음, 다시 속주 표적을 남자 30발, 여자 20발 사격하여 남자는 총 60발, 여자는 총 40발을 사격하는 경기이다. 혼합 경기에서는 정상 경기에서와 달리, 완주 표적과 속주 표적이 무작위로 나타난다. 단, 경기에 나타난 모든 완주 표적의 수와 속주 표적의 수는 각 20개(총합 40개)여야 하며 이는 남·녀 공통이다. 두 경기 모두 입사 자세로 임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전통종목과 대중스포츠, 이색종목들을 정리한 스포츠 백과사전이다. 종목별 개요, 특징, 시설, 경기 방법, 기술 등을 생동감 있는 그림과 함께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전체목차
투기스포츠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