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올림픽 경기 종목 | Y |
---|
목차
접기규격화된 경기장에서 몸으로 할 수 있는 동작을 통해 연기함으로써 경쟁하는 체조 종목이다. 고대 이집트시대 때부터 마루 운동이 시행된 것으로 보인다. 이는 당시의 벽화나 유물에 그려져 있는 동작을 보고 유추할 수 있는 일이다.
이와 같은 운동은 어린이들의 놀이나 곡예, 신앙적 목적의 동작 등으로 행해진 것으로 보인다. 19세기 중반에 이르러서 스포츠로서 경기가 열렸으나 현재 볼 수 있는 기교적인 동작까지 소화된 것은 아니다. 올림픽 경기에서 마루 운동이 처음 종목으로 채택된 것은 암스테르담올림픽 때부터이며, 텀블링 등과 같이 현재 행해지고 있는 기교적인 기술을 넣어 연기가 행해진 것은 1932년 LA올림픽 때부터이다.
경기 방법 및 기술
신체를 조화롭게 발달시킬 수 있는 경기로 인정되고 있다. 기술로는 구르기, 돌기, 공중돌기 등이 있으며 구르기에는 앞구르기·뒤구르기·옆구르기 등이 있고, 돌기 분야로는 손 짚고 앞돌기·손 짚고 옆돌기·손 짚고 뒤돌기 등이 있다. 공중돌기에는 앞 공중돌기·뒤 공중돌기·옆 공중돌기·몸 펴 뒤 공중돌기와 그 밖의 특기 기술 등이 있다.
경기 시간은 50~70초로 주어지며 여자의 경우는 반드시 음악을 사용해야 한다. 경기 시 연기 구성에 유의할 점이 있는데, 도약 기술·평형 기술·정지 기술·유연성·손 짚고 돌기·공중 돌기 등의 기술을 자연스럽게 율동적으로 연결하여 경기장을 골고루 사용하여 실시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정지 기술은 2회까지 허용되며, 시간은 2초로 정하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전통종목과 대중스포츠, 이색종목들을 정리한 스포츠 백과사전이다. 종목별 개요, 특징, 시설, 경기 방법, 기술 등을 생동감 있는 그림과 함께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전체목차
스포츠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