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스포츠백과

제트스키

다른 표기 언어 jet-ski

제트스키의 추진력은 동체 바닥에서 물을 빨아들여 압축한 다음 세게 분출하는 방법으로 얻는다. 이 기구의 명칭과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수상에서 질주하는 레포츠를 ‘제트스키’라 한다. 모터보트의 경우에는 스크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수심이 확보되어야만 안전하지만, 제트스키는 수심 30cm 이상이라면 어디든 갈 수 있으므로 기동력이 좋다. 조작법이 간단하고 안전하며 운반하기 쉬워서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레포츠다.

제트스키가 처음 발명된 곳은 일본이다. 1972년 모터사이클 회사인 ‘가와사키’가 제트스키를 생산해낸 이래 세계 각국에 보급되어 80년대 초부터는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며 대중 레포츠로 각광을 받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88년 서울올림픽 당시 강상제에서 선을 보여 관심을 모은 바 있고 저변이 많이 확대되고 있다.

제트스키

1인승 및 다인승으로 제작되며, 사용 목적 및 이용자의 체중 등을 고려하여 알맞은 것을 선택한다.

ⓒ 대한체육회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용구

현재 제트스키는 1인승 및 다인승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메이커에 따라 민첩성이나 속도, 후진 가능 여부, 수납공간 등에 차이가 있어 사용 목적 및 자신의 체중 등을 고려하여 알맞은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수상안전을 위한 헬멧 및 구명조끼는 필수적으로 착용해야 한다. 제트스키의 운반을 쉽게 하기 위한 캐리어도 꼭 갖춰야 할 장비 중 하나다.

캐리어

제트스키의 운반을 쉽게 하기 위한 장비

ⓒ 대한체육회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용 방법

일반적인 교통기관 점검요령과 대동소이하게 탑승 전, 탑승 중, 탑승 후 확인해야 할 것들을 꼼꼼히 챙기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추진력을 내는 임펠러에 이물질이 잘 끼일 수 있는데, 자주 점검해줄 필요가 있다.

제트스키를 다루는 방법은 우선 시동 후 출발, 직선운전, S-코스 운전, 급회전 돌기, 물속 잠항 등으로 구별할 수 있다. 정지 시에는 정지버튼을 누르면 멈추게 된다. 제트스키를 타는 도중 탑승자가 핸들을 놓쳐서 물에 빠지게 되면, 손목에 끈으로 연결된 시동키가 빠지면서 엔진이 꺼지므로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 좌우로의 방향은 핸들로 조정하며 속도를 높이려면 액셀러레이터 레버를 서서히 잡아당기면 된다.

제트스키 운항 중, 앞에서 다른 제트스키나 이동물체가 발견되면, 핸들을 우측으로 돌려 운행해야 한다. 제트스키 운전자는 항시 전방을 주시하여 수영 또는 스쿠버다이빙 등의 물놀이를 하는 사람에게 피해가 없도록 조심해야 하며 제트스키를 타다가 전복되면 중간부위의 물을 빨아들이는 부분에 손을 넣어 재빨리 뒤집기를 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대한체육회 집필자 소개

출처

스포츠백과
스포츠백과 | cp명대한체육회 도서 소개

전통종목과 대중스포츠, 이색종목들을 정리한 스포츠 백과사전이다. 종목별 개요, 특징, 시설, 경기 방법, 기술 등을 생동감 있는 그림과 함께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수상스포츠

수상스포츠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제트스키스포츠백과, 대한체육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