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스포츠백과

필드하키

다른 표기 언어 field hockey 동의어 론 하키, lawn hockey
요약 테이블
올림픽 경기 종목 Y

필드에서 스틱을 가지고 볼을 다투는 경기를 말한다. 올림픽 정식종목으로 채택된 구기 스포츠이다. 아이스하키(ice hockey)나 인라인하키(inline hockey)와 구분하기 위해 필드하키 또는 잔디구장에서 벌이는 하키 게임이라 하여 론 하키(lawn hockey)라 부른다.

필드하키는 잔디구장에서 스틱을 가지고 볼을 다루는 경기를 말한다.

ⓒ 대한체육회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역사

세계 하키의 역사

하키의 본고장은 영국이지만 그 기원은 BC 2000년 무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이집트 유적의 벽에 두 사람이 스틱을 겹치고 있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또 1922년 아테네에서 발견된 유적에는 불리(bully;옛 룰에서의 시합개시동작)의 그림이 남아 있어 이것이 하키에 가장 가까운 것이라고 짐작된다. 그 뒤 고대 그리스·로마시대를 거쳐 민족 이동과 문화 교류에 따라서 다른 종류의 밴드 스틱 게임, 즉 폴로, 벤지, 헐링 등과 함께 영국과 유럽 각지로 전파되었다고 본다.

근대 하키는 1886년 경기 룰의 통일을 위하여 영국에 하키협회를 설립한 것이 시초로 여겨지고 있다. 이후 영국 국내에서 경기가 활발하게 실시되고 영국의 식민지 정책에 의해 유럽 각국은 물론, 아시아 여러 나라에까지 보급되었다. 영국을 중심으로 하는 유럽의 하키는 국제경기의 증가와 함께 1924년 파리에서 국제하키연맹(FIH)을 창설하였으며, 1928년 제9회 암스테르담올림픽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영국 육군의 진주(進駐)로 인도에 전해진 하키는 인도국민의 열광적인 환영을 받아, 이 나라의 국기(國技)가 되었다. 인도 팀은 제9회 암스테르담올림픽대회에 처음으로 참가, 첫 우승을 한 이래 1956년 멜버른대회까지 올림픽 6연패를 기록하였고, 30년간 무패(無敗)의 위업을 달성하였다. 제2차세계대전 후 종교상의 대립으로 파키스탄이 인도로부터 독립한 뒤 파키스탄의 하키는 인도와 대등한 전력을 지녀 양국은 올림픽의 숙명적 라이벌이 되었다. 30년 동안 인도·파키스탄에게 패배한 기타의 여러 나라도 최근에 전력이 상승되어 1968년 멕시코올림픽대회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인도를 누르고 우승, 1972년 뮌헨대회는 서독, 1976년 몬트리올대회는 뉴질랜드가 각각 우승하였다.

올림픽 외에 아시아경기대회, 월드컵대회 등이 개최됨으로써 주니어연령의 국제대회도 개최되고 있다. 여자하키도 국제하키연맹의 통괄 아래 있다. 근래에 와서 널리 보급되어 1980년 모스크바올림픽대회부터 정식종목으로 채택되었다.

한국 하키의 역사

우리나라에는 예부터 장치기, 들공치기 등의 명칭으로 보급된 민속놀이가 있는데 요즘의 하키와 대단히 비슷하다. 1947년 조선하키협회가 설립되면서 한국에 현대식 필드하키가 보급되었으며 1957년 대한하키협회가 생겨났고 1958년에는 일본의 도쿄에서 개최된 아시아경기대회에 출전하였다. 1982년 제9회 뉴델리아시안게임에서는 한국의 여자팀이 은메달을 차지하였고 1986년 제10회 서울아시안게임에서는 남녀 팀 모두 처음으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특히 여자팀은 1988년 서울올림픽대회에서 은메달, 1990년 제11회 베이징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세계 정상의 실력을 보여 주고 있다.

필드하키

ⓒ 대한체육회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특성 및 효과

간단한 용구로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으며 볼을 치고 막기 위하여 계속 뛰므로 운동량이 많은 스포츠이다. 날씨에 관계없이 주로 옥외에서 행해지는 운동이며 두뇌 플레이로서 상황 판단력, 예측력, 집중력 그리고 통찰력을 키워주며 상대방에 대한 관찰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발놀림으로 빠르게 나아갈 수 있는 스피드와 유연성을 기를 수 있다.

시설 및 용구, 복장

하키 경기장은 너비 50.3~55m, 길이 91.4m의 인조 잔디 운동장을 사용한다. 모든 선은 7.6cm 넓이로 해야 하며, 센터라인·백라인·골라인·25야드라인·사이드라인·슛팅 서클 등의 세부라인을 표시해야 한다. 골 안쪽의 크기는 높이 2.1m, 너비 3.7m이고, 양쪽 골포스트 위에 크로스바가 걸쳐져 있다. 크로스바와 골포스트의 정면 너비는 5.1cm이다. 골 위로부터 지면까지 네트로 걸치고, 골 아래쪽에 높이 45.7cm를 넘지 않는 높이로 골보드를 네트 바깥쪽에 두른다.

필드하키 경기장의 규격

ⓒ 대한체육회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스틱은 왼쪽 면만 평면이고 말단 각부에는 모난 데가 없어야 한다. 스틱의 머리 부분은 휘어져야 하며 나무이어야 한다. 스틱의 머리 부분에 접착물이나 금속, 그 밖의 다른 것을 끼우거나 붙여서는 안 된다. 스틱의 휘어진 머리 부분의 길이는 편평한 부분으로 측정했을 때 10.16cm가 넘으면 안 된다. 길이가 약 1m, 무게는 최대 794g, 최소 340g로 정해져 있으나, 실제는 481.9~623.7g인 것을 사용한다. 굵기는 지름 5.08cm의 링을 통과할 수 있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

필드하키 스틱의 규격

무게 : 340~794g

ⓒ 대한체육회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공은 단단하고 둥글어야 하며 흰 가죽 레저공을 정식으로 사용하지만, 대회에 따라 콤포지션 또는 플라스틱공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무게는 158~188g이고, 둘레는 22.3~23.5cm로 규정되어 있다.

필드하키 공의 규격

둘레 : 22.3~23.5cm, 무게 : 158g~166g

ⓒ 대한체육회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복장의 경우, 한 팀의 모든 선수는 상대편과 뚜렷하게 구별되는 색상 및 디자인을 지닌 동일한 유니폼을 입어야 한다. 골키퍼는 양 팀 선수 및 상대편 골키퍼와 구별되는 색상의 유니폼을 입어야 한다. 셔츠는 상체 몸통보호대 위에 착용하고, 긴바지 속에는 다리보호대를 하고 두꺼운 장갑을 끼고 머리보호대를 한다.

필드하키

ⓒ 대한체육회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경기 방법

1팀은 11명으로 편성한다. 일반적으로 팀 편성은 포워드 5명, 하프백 3명, 풀백 2명, 골키퍼 1명이며, 전술적으로는 여러 가지의 편성방법을 고려하게 된다. 경기는 패스 백으로 시작되며 이 경우 양 팀 주장이 토스를 해서 이긴 편에게 패스 백이나 그라운드사이드 선택에 관한 우선권이 주어진다. 양 팀의 센터포워드가 센터라인 중앙에서 공을 사이에 두고 마주선 뒤 스틱을 지면에 찍고 공 위에서 3회 서로 맞부딪친 뒤 공을 움직이면서 경기가 시작된다.

규칙은 대체로 선수의 위험 방지를 위한 견지에서 정해졌다. 스틱의 뒤쪽으로 공을 다루는 것, 스틱으로 상대방을 치거나 걸거나 하는 것 등 위험을 유발하는 행위는 허용되지 않는다. 공을 발로 차거나 몸으로 멈추거나 쳐서 올리는 것도 반칙이고, 또한 공과 상대편 골 사이에 있는 상대편 선수가 2명 이하인 경우, 패스되기 전에 상대 진영으로 들어간 선수가 패스를 받는 것은 오프사이드 반칙이 된다. 태클은 모두 공에 대해서만 해야 하고, 공을 가진 선수에 대한 보디체크나 고의의 진로방해는 허용되지 않는다.

반칙을 범한 경우에는 그 지점에서 상대 측의 프리히트 또는 푸시에 의하여 플레이를 재개한다. 수비 측이 자기 진영 안 특히 서클 안에서 반칙을 범한 경우는 그 정도에 따라서 공격 측에 대해 페널티 코너나 페널티 스트로크를 준다. 골키퍼는 서클 내에 한해서 공을 차는 것이 허용된다.

득점은 슈팅서클 내에서 공격 측 선수가 친 슛이나 스틱으로 닿은 것이어야만 하고, 서클 밖으로부터의 슛은 득점이 되지 않는다. 심판은 2명으로 각각 그라운드의 절반씩을 담당하며 담당이 아닌 코너의 결정은 할 수 없다. 경기시간은 전반·후반 각 35분씩이고, 그 사이에 5분의 하프타임을 둔다. 선수 교대는 3명까지 허용된다.

필드하키

ⓒ 대한체육회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필드하키

ⓒ 대한체육회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대한체육회 집필자 소개

출처

스포츠백과
스포츠백과 | cp명대한체육회 도서 소개

전통종목과 대중스포츠, 이색종목들을 정리한 스포츠 백과사전이다. 종목별 개요, 특징, 시설, 경기 방법, 기술 등을 생동감 있는 그림과 함께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하계 올림픽 종목

추천항목


[Daum백과] 필드하키스포츠백과, 대한체육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