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에어로빅댄스는 에어로빅 운동과 같은 취지를 가지고 경쾌한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면서 에어로빅 운동과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다. 무용이 아닌 건강을 위한 신체적성의 한 방법이기 때문에, 춤을 추지 못하는 사람을 위하여 아주 쉽게 단계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역사
미국에서는 에어로빅이 건강 차원을 넘어 더 발전된 피트니스의 개념으로 확산되었으며, 전국적인 클럽들이 많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1983년 AFAA(American Fitness & Aerobics Association)가 지도자 교육 및 자격증을 주는 목적으로 설립되었고 1984년 NAC(National Aerobic Championship)이 최초의 에어로빅 경기대회를 미국에서 개최하였다.
1985년 IDEA(IDEA Health & Fitness Association)가 전문적인 협회로 시작하여 현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으며, 1988년에는 IAF(International Aerobic Federation)가 일본에 창설되고 1990년 NAC에서 조직된 국제에어로빅경기연맹인 ICAF(International Competitive Aerobic Federation)가 한국 및 호주 일본 등 16개국의 경기에어로빅연맹이 참여한 제1회 세계에어로빅챔피언십대회를 개최하였다. 이를 통해 경기 에어로빅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스포츠 에어로빅은 일정한 시간 내에 음악과 함께 이루어지는 동작들을 적절히 안무하여, 필수규정들을 포함시켜 선수들 간의 근력이나 기술 등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하지만 너무 경기력에만 중점을 두어 기술적인 측면만이 강조되었고 이로 인해 에어로빅에 대해서는 소홀한 경향을 띄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경기 테크닉이 큰 차이를 보이며 발전되었는데 모든 국제경기 연맹들은 리듬체조, 체조, 무용, 무술 등의 동작을 금기동작으로 규정하여 에어로빅의 고유영역을 지키려고 하였다.
그래서 1995년 NAC에서는 1990년 이후 227가지의 에어로빅 경기 기술을 발표하고, 그 외의 기술은 쓰지 못하게 만들었다. 또 제한 없이 쓰였던 기술동작도 16가지만 쓰도록 하여 에어로빅의 독립된 형태를 강조하였다. 1994년 FIG(국제체조연맹)에서 경기 에어로빅을 스포츠 에어로빅스로 국제체조연맹 안에 포함시켜 기계체조, 리듬체조, 스포츠 에어로빅스 등의 종목으로 확대시켰으며, 1995년 제1회 세계대회를 파리에서 개최하였다.
시설 및 용구, 복장
경기장
• 스포츠 에어로빅스 경기는 FIG 승인을 받은 경기장에서만 가능하다.
• 경기가 행해질 무대는 100cm 또는 150cm의 높이로 설치해야 하고 뒤에는 무대 벽을 설치해야 한다.
• 무대의 가로 세로는 각각 9m이며 경기 영역은 가로 세로 각각 7m로 명확하게 표시한다.
• 경기 영역을 표시하는 테이프는 5cm 넓이로 빨간색이어야 한다. 빨간색 테이프는 경기장 영역에 포함이 된다. 즉 테이프도 경기 영역의 일부이다.
의상 및 신발
에어로빅 복장은 의상의 종류 및 색깔의 변화가 다양하다. 중요한 것은 활동이 편하고 동작을 하는 데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에어로빅 복장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타이즈다. 타이즈는 아름다움도 중요하지만 착용하고 나서 움직임에 절대적으로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의상에 대한 바른 인식이 있어야만 동작의 효과를 최대한 높일 수가 있다. 타이즈의 색깔과 디자인의 선택은 예술점수를 높이고 동작에 불편함 없이 아름다운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한 기준을 만족해야 한다.
1) 체형에 맞는 의상 고르기
• 체형에 따른 의복 선택 : 자신만의 개성을 의상으로 표현하고 체형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코디하기 편하도록 한다.
• 체형에 맞는 무늬 선택 : 글래머형, 동양인형, 넓은 어깨와 작은 엉덩이형, 둥근 얼굴에 각진 몸매형 등으로 어떤 디자인을 선택해야 하는지 연구한다.
• 체형에 따른 의상 선택 : 자신의 체형에 가장 잘 어울리는 의상을 갖춘 뒤에 자신이 표현하고 싶은 이미지를 선택한다.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체형, 특히 단점이 되는 자신의 체형을 감출 수 있는 의상 선택이 중요하다.
2) 신발의 선택
신발은 발목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목의 복숭아뼈 부위까지 감싸는 에어로빅 전용 신발을 신어야 한다. 충격을 흡수하고 상해를 예방하려면 신발의 바닥표면이 중요하므로 에어로빅 운동화가 좋다. 화려한 율동과 의상만큼 신발에도 아름다움이 들어가 있으면 미적인 기능이 확연하게 드러나기 때문에 더욱더 좋다.
• 충격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 신축성이 있어야 한다.
기본 기술
에어로빅은 주로 기본 스텝에 팔 동작이 조화를 이루는 것으로 잘 익혀두면 동작을 쉽게 실행할 수 있다.
그랩바인 스텝
다리를 앞뒤 지그재그로 8카운트 이동하는 동작이다. 여러 가지 변형 동작에 자주 쓰인다.
힐잭
무릎을 핀 상태에서 발뒤꿈치를 45° 선상에서 찍어 주었다가 다시 차려 자세로 돌아오는 동작으로 오른쪽 왼쪽 번갈아 8카운트 1세트로 한다.
백런지
다리를 핀 상태로 뒤로 빼서 찍어 주는 스텝으로 양발을 번갈아 가며 반복한다. 이때 앞에 있는 다리는 90°에 가깝게 구부려 주며 뒤로 가는 다리는 곧게 펴준다. 다리를 사이드로 빼는 런지를 사이드런지라고 한다.
스텝터치
오른쪽으로 다리를 어깨 넓이로 벌리고 왼쪽 발을 모아주고, 반대편도 같은 방법으로 벌렸다 모아주면 된다.
니 리프트
말 그대로 무릎을 90°로 올렸다 내리고 반대도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한다. 오픈 스텝다리를 V자 모양으로 벌렸다 모아주는 동작으로 양발을 번갈아 가며 사용한다.
점핑잭
양발을 어깨 넓이보다 약간 넓게 벌리고 무릎을 구부렸다 펴주면서 다리를 모아준다. 몸은 일직선으로 내려갔다 올라오면 된다.
경기 방법
심판 구성 및 채점 방법
심판단의 수는 총 12명으로 예술 심판 3명, 실시 심판 3명, 난이도 심판 3명, 라인 심판 2명 그리고 심판 위원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술 심판은 안무, 연출, 프로덕션, 카리스마, 음악성, 파트너십 등을 채점하며 실시 심판은 의상, 강도 및 동작, 기술 및 정렬, 정확성, 밸런스 등을 채점한다. 라인 심판은 라인 위반 여부를 체크한다. 난이도 심판은 전체 엑스사이즈(엘리먼트)를 기록해서 연기된 각 엘리먼트에 대한 점수를 부여한다.
경기 방식
경기의 참가 형태는 개인경기와 혼성 2인조 경기, 그리고 3인조 경기로 구분되며, 3인조 경기에는 성별에 관계없이 3명이 팀을 이루어 출전할 수 있다. 선수들은 규정에 따라 적절한 자격요건 및 복장을 갖추어야 하며, 미리 준비한 작품을 1분 55초 내외의 시간 동안 경연한다. 필수 동작은 기본 동작으로 무릎 들기, 킥, 점핑잭, 런지를 의미하며, 연결 동작은 걷기, 달리기, 스킵을 의미한다.
채점 종목 | 채점 내용 | 채점 방법 |
---|---|---|
예술 점수 | 예술 점수의 최고, 최저 점수는 누락되고 남은 중간 점수가 최종 예술 점수 | 감점제 10.0에서 시작하여 실수할 때마다 감점 |
창조성 점수 | 창조성의 최고, 최저 점수는 누락되고 남은 중간 점수가 최종 창조성 점수 | 가점제 0점에서부터 점수를 더한다. 그러나 총점은 1.0점까지 제한 |
실시 점수 | 실시 점수의 최고, 최저 점수는 누락되고 남은 중간 점수가 최종 실시 점수 | 감점제 10.0에서 시작하여 실수할 때마다 감점 |
난이도 점수 | 난이도 점수의 최고, 최저 점수는 누락되고 남은 중간 점수가 최종 난이도 점수 | 가점제 0점에서부터 점수를 더한다. |
에어로빅의 종류
스포츠펑크
로마대학의 시모넬라비앙코 교수가 힙합, 브레이크, 웨이브 등의 27가지 동작을 체계화한 유산소 운동이다. 90년대 들어 생활체조로서의 스포츠 에어로빅의 쇠퇴를 겪은 미국과 유럽에서 탄생했고 현재까지도 20대 젊은이들의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펌프
웨이트 트레이닝 기구를 이용한 에어로빅. 보통 스쿼트(다리), 암컬(팔), 벤치프레스(상체), 숄더프레스(어깨), 데드리프트(허리)의 5가지 운동을 혼합, 리듬에 맞춰 실시한다. 단기간에 가장 빨리 몸을 바로 잡을 수 있는 이 운동은 1주일에 2~3회 정도가 가장 적당하고 그 이상은 몸에 무리를 준다.
복싱 에어로빅스
일반 에어로빅에 비해 운동량이 1.5배 정도 많고 뒤꿈치를 들어야 하기 때문에 처진 엉덩이를 올려준다. 더킹과 위핑(몸을 U자 형태로 움직이면서 상대의 펀치를 피하는 행동), 펀칭의 동작으로 이뤄지는데 단기간에 집중적으로 살을 빼는 데 적합하다.
스텝 에어로빅스
계단 오르내리기. 어려운 동작이 없고 달리기의 대안으로 종아리와 허벅지에 좋은 에어로빅스. 스텝 유형에는 점프, 달리기, 홉, 런지 등 격렬한 동작들이 연출된다.
재즈 에어로빅스
처음 스텝을 익힐 때는 어색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동작을 쉽게 구사할 수 있다. 신진대사를 왕성하게 해주고 머리부터 발끝까지 운동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아쿠아로빅스
수중 에어로빅스. 수영을 못해도 누구나 쉽게 할 수 있어 인기가 많다. 물의 저항 때문에 지상에서의 운동보다 에너지 효율이 510% 더 떨어져 운동량이 훨씬 많다. 심폐기능의 향상도 아쿠아로빅스의 장점이다.
슬라이드 에어로빅스
스케이팅에서 착안된 에어로빅스로, 슬라이드(slide)라는 큰 판을 이용하며, 양 옆으로 미끄러지면서 하는 운동이다. 무릎 부상의 치료는 물론 하체 관절과 근육을 강화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보드의 한쪽 끝에서 다른 쪽으로 움직이며 일반적인 유산소 운동과 비슷한 열량을 소비한다.
힙합 에어로빅스
미국의 흑인들에 의해 탄생된 힙합은 기본 스텝이 있지만 개개인의 스타일에 따라서 다양한 변화를 줄 수 있다. 힙합은 얼마큼 리듬을 타느냐에 따라서 구분이 된다. 요즘 들어와서 우리나라에도 힙합 장르가 자리를 잡고 있다. 요즘은 힙합 하나만 하지 않고 재즈힙합, 에어로빅힙합, 태보힙합 등 다양하게 응용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태보 에어로빅스
태보 에어로빅스는 복싱과 태권도 그리고 에어로빅스를 복합한 운동으로 나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으며, 특히 노인들의 경우에는 힘과 유연성을 향상시켜주며 관절이나 근육에도 무리를 주지 않는 운동으로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스포츠 에어로빅스
스포츠 에어로빅스는 전통적인 에어로빅댄스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계속적으로 복합적이며 강도 높은 운동을 음악에 맞추어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 계속적인 동작, 유연성, 힘 그리고 7가지의 기본 스텝을 이용하여 높은 수준의 완벽한 고난도 요소들의 실시를 보여주어야 한다.
태권 에어로빅스
태권도에서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품세나 새롭게 개발된 안무에 리듬감을 부여한 것이다. 신체적인 면과 정신적인 면의 조화를 강조한 태권 에어로빅스는 태권도 특유의 유연하고 부드러운 동작과 날카롭고 강력한 동작을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신체의 모든 부분을 조화롭게 발달시켜 주는 운동이다.
밴드 에어로빅스
주로 수축성이 있는 탄력적인 고무 밴드를 이용하여 실시하는 운동으로, 밴드 사용이 용이하고 신체의 어느 부위라도 운동에 쉽게 이용할 수 있다.
바 에어로빅스
주로 봉은 팔의 근력을 이용하여 실시하지만 봉의 무게에 따라 운동의 방법이나 강도, 사용부위가 달라지며, 에어로빅 운동에서 실시하지 못하는 근력운동에 이용한다. 약 100~150cm 정도 길이의 중량이 있는 봉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운동으로 체력에 따라 다양하게 운동할 수 있다.
덤벨 에어로빅스
여러 중량의 아령을 이용하여 실시하는 운동으로 기구의 사용이 용이하고 팔의 전완과 상완을 이용하여 각 주요 부위를 효과적으로 운동을 할 수 있다.
차밍 에어로빅스
힘들지 않은 스텝만을 이용해 자연스럽게 댄스를 즐기듯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에어로빅으로, 부위별 다양한 동작을 가미해 현대인들에게 가장 적합하고 신선한 프로그램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 외에도 리권, 바디킥, 카디오컴벳, 터보킥, 스킨로빅, 재저사이즈, 마샬아트 등의 여러 응용 에어로빅 종목들이 만들어져 보급되고 있으며, 계속 새로운 종목들이 나타나고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글
출처
전통종목과 대중스포츠, 이색종목들을 정리한 스포츠 백과사전이다. 종목별 개요, 특징, 시설, 경기 방법, 기술 등을 생동감 있는 그림과 함께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