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879년 |
---|---|
사망 | 1955년 |
독일에서 태어나 스위스 취리히 공대를 졸업했다. 특허국 심사관으로 일하며 틈틈이 이론물리학을 공부해, 1905년 현대 물리학의 기초를 다지는 4편의 논문을 연이어 발표한다. 첫 번째 논문에서는 빛이 에너지 입자로 구성됐다는 가설을 제기했고, 두 번째 논문에서는 원자와 분자의 존재에 대한 브라운 운동을 설명했다. 세 번째 논문이 유명한 특수상대성 이론이며, 네 번째 논문에서 질량과 에너지의 등가(E=mc2) 이론을 확립했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그 당시 지배적이었던 뉴턴의 체계를 송두리째 흔들어 놓았다. 그가 발표한 일반상대성이론은 종래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생각에 커다란 혁명을 가져왔다. 그는 시간과 공간이 하나로 결합된 ‘시공간’이라는 개념을 도입한다. 그리고 중력이 물체를 끌어당기는 현상을 시공간이 휘는 현상이라고 설명한다. 블랙홀의 개념은 중력이 강할수록 시공간이 휘어지는 정도가 크다는 일반상대성이론을 바탕으로 한다.
1921년에는 광선 효과의 발견에 대한 공로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독일에서 히틀러가 유대인을 박해하자 1933년 미국으로 망명한다. ‘질량은 곧 에너지다(E=mc2)’라는 그의 이론은 원자 폭탄 제조의 밑거름이 됐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원자 폭탄이 인류를 멸망으로 몰고 간다는 생각 아래, 원자 폭탄의 사용 중지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별은 왜 반짝일까?’라는 기초적인 물음에서부터 태양계, 변광성, 성단, 성운, 우리은하, 별의 일생, 블랙홀 등 천문우주 분야의 핵심적인 스무 개의 주제를 화려한 그..펼쳐보기
전체목차
우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아인슈타인 –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김지현,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