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별들이 모여 사는 여러 방법

이중성을 이루고 있는 별 중에서 밝은 별을 ‘주성’이라고 한다. 짝이 되는 주성보다 어두운 별을 ‘동반성’ 또는 ‘반성’이라고 부른다. 만약 이러한 이중성 중 하나에 행성계가 있다면 이 행성에 사는 사람은 하늘에 두 개의 태양이 떠 있는 광경을 목격할 수 있다.

망원경으로 보았을 때 두 개의 별로 분리돼 보이며 서로 돌고 있는 이중성을 ‘안시 쌍성’이라고 한다. 안시 쌍성의 두 별이 서로 한 바퀴씩 도는 궤도운동의 주기는 수년에서부터 수천 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따라서 안시 쌍성이 서로 둘레를 도는 것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같은 이중성을 오랫동안 관측해야 한다. 이렇게 길고 끈질긴 관측이 이루어진 다음에야 비로소 이 별들의 궤도운동 주기와 같은 물리적 특징을 밝혀낼 수 있다.

두 별이 너무 가까우면 망원경으로도 분리돼 보이지 않는다. 이런 별은 별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관찰한다. 이러한 이중성을 ‘분광쌍성’이라 한다. 별빛에서 나오는 스펙트럼을 찍어 그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반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분광 쌍성의 한 별이 다른 별의 주위를 도는데 걸리는 시간은 몇 시간에서 몇 달 정도로 매우 짧다. 공전 주기가 이렇게 짧다는 것은 두 별이 매우 가까이 있다는 증거다.

사진목록
  • 분광 쌍성의 스펙트럼 변화 분광 쌍성의 스펙트럼 변화
  • 분광 쌍성의 스펙트럼 변화 분광 쌍성의 스펙트럼 변화
  • 분광 쌍성의 스펙트럼 변화 분광 쌍성의 스펙트럼 변화
  • 분광 쌍성의 스펙트럼 변화 분광 쌍성의 스펙트럼 변화
이전 이미지 보기 이전 이미지 보기 다음 이미지 보기 다음 이미지 보기
현재 이미지1/4 분광 쌍성의 스펙트럼 변화
분광 쌍성의 스펙트럼 변화

서로 회전하는 두 별의 스펙트럼 선을 조사해 보면, 도플러 효과에 의해 우리와 멀어지는 별의 스펙트럼 선은 적색편이를 일으키고 가까워지는 별은 청색편이를 일으킨다. 때문에 1과 3의 스펙트럼 선은 서로 분리돼 보인다. 2와 4의 경우는 앞뒤 움직임 없이 좌우로만 운동하는 경우라서 두 별의 스펙트럼은 편이가 일어나지 않고 하나로 포개어 진다.

ⓒ 어바웃어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두 별이 서로 돌다 보면 달이 태양을 가리듯 한 별이 다른 별을 가리는 ‘식 현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식 현상을 일으키는 이중성을 ‘식쌍성’이라 한다. 이런 이중성은 밝은 별(주성)과 어두운 별(반성)이 서로 같이 보일 때와 반성이 주성 뒤로 숨을 때 또는 반성이 앞으로 나와 있을 때에 따라 겉보기 밝기가 변한다. 두 별이 서로 돌고 있다고 해서 모두 식쌍성이 되지는 않는다. 두 별이 도는 공전 궤도면이 우리가 보는 쪽으로 향하고 있어야 식을 일으킨다.

식쌍성의 밝기 변화

주기적으로 식을 일으키는 쌍성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른 밝기 변화 그래프다. 1과 3의 위치에서 가장 밝게 보이고, 반성이 주성 앞에 오는 4의 경우가 중간 밝기, 주성 뒤에 반성이 숨어버리는 2의 경우가 가장 어둡게 보인다.

ⓒ 어바웃어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 저자김지현 | cp명어바웃어북 도서 소개

‘별은 왜 반짝일까?’라는 기초적인 물음에서부터 태양계, 변광성, 성단, 성운, 우리은하, 별의 일생, 블랙홀 등 천문우주 분야의 핵심적인 스무 개의 주제를 화려한 그..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우주

우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별들이 모여 사는 여러 방법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김지현,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