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히파르코스

Hipparchos

별의 밝기로 별의 분류 체계를 만들다

요약 테이블
출생 기원전 190년경
사망 기원전 120년경
히파르코스(Hipparchos), 기원전 190~120년경

ⓒ 어바웃어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히파르코스는 기원전 190년 에게 해에 있는 로도스 섬에서 태어났다. 그의 저서는 현재 거의 전해 내려오지 않지만, 프톨레마이오스(Klaudios Ptolemaios, 100~170년경)의 《알마게스트》에 수록되어 후세 천문학의 기초를 만들었다.

기원전 134년, 밤하늘에 놀라운 일이 벌어진다. 하늘에 난데없이 새로운 별이 등장한 것이다. 하늘을 영원불변한 존재로 보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관을 철저히 따르던 시기에, 새로운 별의 등장은 커다란 충격이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히파르코스는 별의 위치를 정확히 나타내는 일의 중요성을 느끼게 됐다. 그는 자신이 관측한 천문 자료와 바빌로니아 천문학의 유산을 이용하여 수학적 계산에 의해 별, 태양, 달, 행성의 운동에 관하여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히파르코스는 850여 개의 별을 관측해 별의 위치를 황경과 황위로 표시해 하늘 지도인 ‘성도(星圖)’를 완성한다. 또한 별을 밝기에 따라 6등급으로 분류한다. 그가 완성한 별의 밝기 분류법은 2000년이 지난 지금도 일부만 수정을 해서 사용하고 있다.

성도를 제작하면서 그는 여러 가지 천문현상도 발견하게 된다. 추분점이 서서히 바뀌는 현상을 통해 지구의 세차운동각주1) 과 별 운동의 불규칙성을 발견하고, 태양과 달의 운행표를 만들어 일식과 월식을 더 정확하게 예보하기도 했다.

프톨레마이오스가 쓴 고대 그리스와 바빌로니아의 천문학 이론서 《알마게스트》

이 책은 히파르코스의 연구를 바탕으로 천동설에 의한 천체운동이 수학적으로 기술돼 있다.

ⓒ 어바웃어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 저자김지현 | cp명어바웃어북 도서 소개

‘별은 왜 반짝일까?’라는 기초적인 물음에서부터 태양계, 변광성, 성단, 성운, 우리은하, 별의 일생, 블랙홀 등 천문우주 분야의 핵심적인 스무 개의 주제를 화려한 그..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히파르코스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김지현,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