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우리나라가 사용했던 ‘천상열차분야지도’에는 약 300개의 별자리가 나와 있다. 물론 서양별자리와는 많은 점에서 다르다. 예를 들어 서양의 오리온자리는 우리나라에서 하늘나라 장군별자리로 보았다. 왕관자리는 장독대자리로 불렀다. 문화권 마다 별자리의 이름을 서로 다르게 표기하면서 생기는 혼란을 피하려고, 국제적으로 널리 사용하는 성도에는 서양별자리 체계를 기준으로 해 별자리의 공식적인 이름은 라틴어로 표기한다.
한 별자리 안에서도 밝은 별들은 고유한 이름이 있다. 여름밤 저녁 하늘 천정에 밝게 빛나는 직녀별(Vega)이나 언제나 북쪽 하늘을 지키는 북극성(Polaris), 봄 하늘을 환하게 비추는 아르크투루스(Arcturus)와 스피카(Spica) 등이 그렇다. 하지만 희미한 별까지 이런식으로 이름을 붙여 줄 수는 없다.
좀 더 어두운 별까지 이름을 붙이는 방법도 있다. 17세기의 요한 바이어(Johann Bayer, 1572~1625년)는 한 별자리 영역 내에서 밝은 별부터 그리스 문자를 차례대로 붙이는 방법을 생각해냈다. 가장 밝은 별이 알파(α)별, 그 다음이 베타(β)별, 다음은 감마(γ)별 순이다.
다른 하나는 영국의 플램스티드(John Flamsteed, 1646~1719년)가 만든 것으로 서쪽에서 동쪽으로 숫자를 붙여 가는 방법이다. 별자리 내에서 가장 서쪽에 있는 별을 1번으로 정하고 동쪽으로 이동하면서 번호를 늘려간다. 적도좌표계에서 적경값이 증가하는 순서대로 별의 이름을 번호로 정하는 것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별은 왜 반짝일까?’라는 기초적인 물음에서부터 태양계, 변광성, 성단, 성운, 우리은하, 별의 일생, 블랙홀 등 천문우주 분야의 핵심적인 스무 개의 주제를 화려한 그..펼쳐보기
전체목차
우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별의 이름 붙이는 법 –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김지현,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