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천문우주
실험실 천문학 우주 실험실
화성은 왜 붉을까
실험방법
접시 | 모래 |
쇳가루 | 나무젓가락 |
분무기 | - |
1. 접시에 두께가 1센티미터 정도가 되게 모래를 깐다.
2. 쇳가루를 모래 위에 5밀리미터 정도로 얇게 덮은 다음 나무젓가락으로 모래와 쇳가루가 적당히 혼합되도록 저어준다.
3. 모래와 쇳가루가 젖을 만큼만 분무기로 물을 뿌려 준다.
4. 접시는 직사광선이 비추지 않는 곳에 잘 보관한다.
5. 접시의 물기가 다 마르면 분무기로 다시 물을 살짝 뿌려 준다.
6. 우리가 만든 것은 화성의 토양 모형이다. 매일 모래와 쇳가루가 혼합된 접시 표면이 어떤 색으로 변해 가는지 관찰하자.
실험결과
맨눈으로 보면 붉게 빛나는 화성을 망원경으로 관찰하면 어떻게 보일까? 화성의 표면에서 극지방의 극관이 하얗게 드러난다. 표면 전체로는 적갈색으로 밝게 보이는 지역과 상대적으로 어둡게 보이는 지역으로 나누어진다. 적갈색으로 보이는 지역은 전체 표면의 약 7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며, 이것이 화성을 붉은색으로 보이게 하는 주요인이다.
화성의 붉은 지역의 비밀은 1976년 잇달아 화성에 착륙한 바이킹 1호와 2호에 의해 어느 정도 밝혀지게 됐다. 화서 표면을 조사해 본 결과 철의 산화물이 많이 발견됐다. 결국 화성 표면은 철 성분이 녹슬어 붉은색을 띠게 된 것이다. 이것은 과거 화성 표면에 철을 산화시킬 수 있을 정도의 물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실제로 화성 탐사선들이 보내 온 사진에는 화성 표면에 물이 흘러 침식된 지형들이 발견되고 있다. 화성 표면에서 가끔씩 발생하는 먼지 폭풍도 화성을 붉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별은 왜 반짝일까?’라는 기초적인 물음에서부터 태양계, 변광성, 성단, 성운, 우리은하, 별의 일생, 블랙홀 등 천문우주 분야의 핵심적인 스무 개의 주제를 화려한 그..펼쳐보기
전체목차
우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화성은 왜 붉을까 –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김지현,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