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성단들 중에는 맨눈이나 소형 망원경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대상이 많다. 더 잘 관측하기 위해서는 달빛의 영향이 적은 날을 택한다. 관찰하기 30분 전부터는 밝은 빛을 피해 눈을 어둠에 적응시키는 것이 좋다. 관찰 대상을 정한 다음 실제 하늘과 성도를 비교해 가면서 찾아본다. 망원경으로 관찰할 때는 목표로 잡은 대상 주위에서 밝은 별을 찾아 단계별로 접근해가는 것이 좋다.

산개성단은 주로 넓게 퍼져 있으므로 시야가 넓은 망원경이 더 유리하다. 특히 은하수를 배경으로 많은 별들 속에 파묻혀 있는 산개성단은 쌍안경으로도 잘 관찰할 수 있다. 구상성단은 산개성단에 비해 훨씬 많은 별들을 가지고 있으며, 작고 흐리게 보이므로 배율을 적당히 높여가며 관찰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성단을 이루는 주변 별들이 분리돼 보이기도 한다.

M 15

페가수스자리에 있는 구상성단으로, 별의 밀집도가 아주 큰 구상성단 가운데 하나다. 성단 내부에 행성상 성운(또렷한 원반형태로 보이는 성운)을 가지고 있다(중심 왼쪽 아래 푸른색 성운).

ⓒ ESA, Hubble, NASA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 저자김지현 | cp명어바웃어북 도서 소개

‘별은 왜 반짝일까?’라는 기초적인 물음에서부터 태양계, 변광성, 성단, 성운, 우리은하, 별의 일생, 블랙홀 등 천문우주 분야의 핵심적인 스무 개의 주제를 화려한 그..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우주

우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성단 관찰하기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김지현,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