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천문우주
실험실
성단 관찰하기
성단들 중에는 맨눈이나 소형 망원경으로 쉽게 관찰할 수 있는 대상이 많다. 더 잘 관측하기 위해서는 달빛의 영향이 적은 날을 택한다. 관찰하기 30분 전부터는 밝은 빛을 피해 눈을 어둠에 적응시키는 것이 좋다. 관찰 대상을 정한 다음 실제 하늘과 성도를 비교해 가면서 찾아본다. 망원경으로 관찰할 때는 목표로 잡은 대상 주위에서 밝은 별을 찾아 단계별로 접근해가는 것이 좋다.
산개성단은 주로 넓게 퍼져 있으므로 시야가 넓은 망원경이 더 유리하다. 특히 은하수를 배경으로 많은 별들 속에 파묻혀 있는 산개성단은 쌍안경으로도 잘 관찰할 수 있다. 구상성단은 산개성단에 비해 훨씬 많은 별들을 가지고 있으며, 작고 흐리게 보이므로 배율을 적당히 높여가며 관찰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성단을 이루는 주변 별들이 분리돼 보이기도 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도서 소개
‘별은 왜 반짝일까?’라는 기초적인 물음에서부터 태양계, 변광성, 성단, 성운, 우리은하, 별의 일생, 블랙홀 등 천문우주 분야의 핵심적인 스무 개의 주제를 화려한 그..펼쳐보기
전체목차
별이 빛나는 밤
별은 왜 반짝일까?
도시보다 시골 하늘에 별이 더 많은 이유
몇 등성까지 보일까?
밤하늘의 별을 다 셀 수 있을까?
방향을 알면 별이 보인다
[우주를 품은 사람들]히파르코스
[Astronomy Lab]별이 반짝이는 이유
[Astronomy Lab]전등 빛이 방해하는 밤하늘
하늘지도로 별 찾기
별자리는 양치기의 작품
밤하늘의 보물지도, 성도
모든 별이 다 이름을 가질 수는 없어
밤하늘의 보석목록
한국에서 보이는 별자리는 몇 개일까?
[우주를 품은 사람들]이천
[Astronomy Lab]별자리 촬영하기
눈동자와 망원경
그대의 눈에 들어오기까지, 250만 년을 달려온 별빛
어두워지면 색을 잘 분간하지 못하는 사람의 눈
깜깜한 영화관과 암적응
최초의 망원경은 안경점에서 탄생
클수록, 잘 분리해 보여줄수록 뛰어난 망원경
망원경으로 우주의 심연 들여다보기
[우주를 품은 사람들]허셜
[Astronomy Lab]망원경 원리 알아보기
[Astronomy Lab]초간단 망원경 만들기
태양계
태양계 가족들
하루가 일 년보다 긴 행성, 수성
해가 서쪽에서 떠 동쪽으로 지는 금성
달처럼 모양을 바꾸는 수성과 금성
지구와 닮은꼴의 붉은 행성, 화성
화성인, 그리고 그들이 만든 운하
[우주를 품은 사람들]로웰
[Astronomy Lab]화성은 왜 붉을까?
가스행성들의 세계
목성, 대세였던 천동설에 찬물을 끼얹다
토성의 고리는 사라지기도 한다
망원경을 통해 발견한 최초의 행성, 천왕성
펜 끝에서 발견된 행성, 해왕성
굿 바이~ 명왕성
[우주를 품은 사람들]톰보
[Astronomy Lab]화성은 왜 붉을까?
지구
창조의 시간
지구와 만날 수 있는 빛은 정해져 있다
지구이 자전과 공전이 만드는 현상
[우주를 품은 사람들]홍대용
[Astronomy Lab]별의 거리를 재는 연주시차
[Astronomy Lab]북극성은 절대 움직이지 않을까?
달
음력을 알면 달이 보인다
달에도 바다와 대륙, 계곡이 있다
사라지지 않는 발자국
지구 그림자에 가려진 달
[우주를 품은 사람들]암스트롱
[Astronomy Lab]달이 차고 기우는 이유
[Astronomy Lab]달 표면의 크레이터 만들기
소행성
예견된 위치에서 발견된, 첫 번째 소행성 세레스
어린왕자의 소행성 B612는 어디에 있을까?
공룡은 소행성 충돌 때문에 멸종되었다
[우주를 품은 사람들]보데
[Astronomy Lab]쌍안경으로 소행성 베스타 관찰하기
유성우
혜성이 남기고간 부스러기
콩알보다 작은 티끌이 거대한 빛줄기로
별똥별은 새벽을 좋아한다
오랜 방랑의 마침표로 지구에 선사하는 마지막 선물
유성우계의 스타 6인방
[우주를 품은 사람들]스키아파렐리
[Astronomy Lab]황홀한 빛줄기의 유성우 관찰하기
태양
태양까지 걸어가면 얼마나 걸릴까?
2억 개의 원자력 발전소
태양 속에서 백만 년을 여행하는 빛
태양의 흑점은 실제로 검지 않다
일식, 달 그림자 속에 들어간 지구
[우주를 품은 사람들]프라운호퍼
[우주를 품은 사람들]샤이너
[Astronomy Lab]페트병으로 태양의 크기 재기
숨겨진 짝별 찾기
북두칠성에 숨겨진 시력검사용 별
별들이 모여 사는 여러 방법
아버지가 잘못 만든 망원경?
혼자보다 여럿이 좋은, 대표적인 다중성
[우주를 품은 사람들]베셀
[Astronomy Lab]거문고자리의 다중성모빌 만들기
변광성
고래자리의 이상한 별, 미라
변광성은 우주의 거리 측정자
악마의 별, 알골
대낮에도 보이는 별
[우주를 품은 사람들]리비트
[Astronomy Lab]변광성 삼총사를 찾아라!
성운
스스로 빛을 내는 성운
우주의 검은 그림자, 하지만 별들의 요람
겨울 하늘의 꽃, 오리온 대성운
[우주를 품은 사람들]메시에
[Astronomy Lab]성운 속의 티끌은 어디에서 올까?
우리은하
헤라 여신의 젖이 흘러 은하수를 이루다
태양은 은하의 중심이 아니다!
은하의 모습을 밝혀준 천리안, 전파
[우주를 품은 사람들]섀플리
[Astronomy Lab]은하의 나선팔 만들기
외부은하
은하를 ‘희뿌연 구름 덩어리’ 성운으로 여기다
마침내 은하가 된 안드로메다
우리은하의 이웃들
은하들의 모양내기
은하의 거리를 알려주는 변광성
[우주를 품은 사람들]허블
[우주를 품은 사람들]케플러
[Astronomy Lab]국부은하군 모형 만들기
태그 더 보기
우주
우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성단 관찰하기 –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김지현,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