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천문우주
실험실
도시보다 시골 하늘에 별이 더 많은 이유
공해에 찌든 도시의 밤하늘에서는 별빛도 힘을 잃는다. 몇몇 밝은 별만 여리게 빛을 내며 살아 있을 뿐이다.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것을 가리켜 ‘별처럼 많다’라고 표현하곤 한다. 하지만 뿌연 도시의 밤하늘만 보아온 사람에게는 고개를 갸웃거리게 만드는 비유일지도 모르겠다.
도시에서 별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은 ‘광공해’ 때문이다. 광공해는 대기 중에 떠 있는 먼지 입자들과 도심의 인공 불빛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나타나는 현상이다. 지상에서 하늘로 퍼져간 불빛은 대기 중의 먼지 입자에 산란돼 하늘에 두텁고 커다란 산란막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하늘 전체가 밝아져 그 너머에 있는 별빛이 잘 보이지 않는 것이다.
손전등을 하늘로 비추면 길게 뻗어나가는 빛줄기를 볼 수 있는데, 이것 역시 빛의 산란현상이다. 도시에서는 손전등의 빛줄기가 길지만 시골의 맑고 투명한 하늘에서는 짧다. 대기 중에 먼지가 적은 시골에서는 산란현상이 덜 일어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로등을 설치할 때 갓을 씌워서 빛이 하늘로 올라가지 않게 하면 별빛을 더 많이 살려낼 수 있다. 갓이 있는 가로등과 갓이 없는 가로등 근처에서 별의 수를 헤아려보면 광공해의 위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1강원도 산 속에서 찍은 별의 궤적 사진
두개의 사진을 비교해보면, 서울 강남 한복판에서는 공해와 많은 불빛 때문에 별의 궤적이 희미하고 훨씬 적게 찍힌 것을 볼 수 있다.
- 2서울 강남 한복판에서 찍은 궤적 사진
두개의 사진을 비교해보면, 서울 강남 한복판에서는 공해와 많은 불빛 때문에 별의 궤적이 희미하고 훨씬 적게 찍힌 것을 볼 수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별은 왜 반짝일까?’라는 기초적인 물음에서부터 태양계, 변광성, 성단, 성운, 우리은하, 별의 일생, 블랙홀 등 천문우주 분야의 핵심적인 스무 개의 주제를 화려한 그..펼쳐보기
전체목차
우주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도시보다 시골 하늘에 별이 더 많은 이유 –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김지현,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