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안경점에서 탄생한 최초의 망원경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 밤하늘을 관찰하는 유일한 수단은 사람의 눈이었다. 정상인의 눈은 어두운 곳에서 동공이 7밀리미터 정도까지 확대된다. 그러나 이 작은 동공에 모아지는 빛으로 밤하늘의 여러 현상을 살피기에는 빛의 양이 너무 적다. 17세기 초 망원경이 발명되자, 커다란 렌즈에 모아진 별빛을 통해 우리는 밤하늘의 구석구석을 보기 시작했다. 망원경은 우주에 대한 인간의 시야를 넓히는데 가장 큰 역할을하는 도구가 됐다.

망원경의 최초 발명자는 네덜란드의 한스 리퍼세이(Hans Lippershey, 1570~1619년)로 알려져 있다. 1608년 안경점을 운영하던 그는 우연히 렌즈를 조합해 먼 곳의 물체가 확대돼 보이는 것을 발견하고, 길쭉한 통에 렌즈를 끼워 망원경을 만들었다. 망원경이 처음 발명됐을 때 큰 관심을 보인 것은 군대였다. 당시 해상 전투에서는 적군의 배를 먼저 발견하는 것이 중요했으므로, 망원경은 이러한 전술에 큰 도움이 됐다.

망원경을 천체 관찰에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한 사람은 갈릴레오 갈릴레이(Galileo Galilei, 1564~1642년)다. 망원경의 발명 소식을 전해들은 갈릴레이는 스스로 그 원리를 연구해 망원경을 만들었다. 그는 직접 만든 망원경으로 달의 크레이터, 토성의 고리, 태양의 흑점, 목성의 4대 위성 등을 관찰했다.각주1)

주세페 버니티가 그린 <베니스 총통에게 망원경 사용법을 설명하는 갈릴레오 갈릴레이>

망원경의 발명으로 인간은 우주의 더 깊은 곳까지 볼 수 있게 됐다. 갈릴레이는 망원경의 도움으로 목성을 도는 4개의 위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림은 주세페 버니티가 그린 <베니스 총통에게 망원경 사용법을 설명하는 갈릴레오 갈릴레이>.

ⓒ 어바웃어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갈릴레이 이후 망원경은 천체 관찰에 적극 활용됐다. 케플러(Johannes Kepler, 1571~1603년)는 갈릴레이식 망원경의 단점이었던 좁은 시야와 낮은 배율을 개선한 케플러식 굴절망원경을 만들어냈다. 1668년에 뉴턴은 청동을 갈아 만든 오목거울을 써서 뉴턴식 반사망원경을 만들었다. 이후 망원경은 다양한 형식으로 발전을 거듭해, 오늘날에는 지름이 10미터가 넘는 거대한 망원경을 건설하기에 이르렀다.

    • 1뉴턴 망원경

      오목거울을 이용한 반사식 망원경이다.

    • 2거대마젤란망원경(GMT: Giant Magellan Telescope) 상상도

      허블우주망원경보다 해상도가 10배나 높은 지름 25미터 급의 대형 광학망원경으로, 2018년 칠레의 라스캄파나스에 설치될 예정이다. GMT 개발 사업에는 미국, 호주 등 9개 국가가 참여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천문연구원도 10퍼센트의 지분(7400만 달러)을 투자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 저자김지현 | cp명어바웃어북 도서 소개

‘별은 왜 반짝일까?’라는 기초적인 물음에서부터 태양계, 변광성, 성단, 성운, 우리은하, 별의 일생, 블랙홀 등 천문우주 분야의 핵심적인 스무 개의 주제를 화려한 그..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안경점에서 탄생한 최초의 망원경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김지현,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