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천문학 우주 실험실

황홀한 빛줄기의 유성우 관찰하기

실험방법

유성우를 관측하기에는 다른 천체관측과 마찬가지로 어두운 밤하늘이 좋다. 도심을 벗어나고 가능하면 달이 없는 때를 골라서 관측 날짜를 잡는 것이 좋다. 관측 장비는 특별한 것이 없다. 별자리가 나와 있는 책과 손전등, 연필 등이 필요하다. 이 외에도 밤에 손쉽게 볼 수 있는 야광시게나 전자시계가 있으면 좋다. 그리고 오랫동안 밤을 보내기 위해서는 두툼한 돗자리가 필요하다. 추운 날에는 담요나 침낭을 준비해야 한다. 가능하면 두세 명이 한 조가 되게 팀을 짠다.

돗자리 기록 용지
연필 성도
시계 침낭
붉은색 손전등 -
준비물

1. 좀 더 많은 유성을 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불빛이 없는 캄캄한 곳으로 가는 게 제일 중요하다. 하늘이 밝으면 희미한 유성을 볼 수 없으므로 가로등, 자동차 전조등, 밝은 손전등 등은 되도록 피한다. 그리고 가능한 사방이 확 트여서 넓은 하늘을 볼 수 있는 장소를 택한다.

2. 장소가 정해지면 돗자리를 깔고 눕거나 침낭 속에 들어가 누워 편안한 자세를 취한 다음 하늘을 살펴본다. 보는 시야를 정하지 말고 하늘의 이곳저곳을 감시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지평선 부근보다는 고도가 40도 이상 되는 높은 하늘이 적당하다.

3. 만약 밝은 불빛 아래 있다가 왔다면 눈이 어둠에 적응할 때까지 30분 정도 기다려주면 좀 더 희미한 유성까지 관측할 수 있다.

실험결과

유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았으면 즉시 그 때의 시간을 확인하고 기록 용지에 기록하자. 시간은 될 수 있으면 초단위까지 기록하는 것이 좋다. 유성의 광도는 유성이 떨어질 때 내는 빛의 밝기를 말한다. 유성의 밝기는 주위의 별들과 비교해서 결정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주위의 별에 대해서 어느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한다.

좀 어려워 보이지만 성도를 이용할 줄 알고 별자리에 대해서 약간만 안다면 시도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성이 북극성과 밝기가 비슷했다면 그 밝기는 2등급이며, 직녀성과 비슷했다면 그 밝기는 0등급이 되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눈대중을 해도 상당히 정밀하게 발기를 측정할 수 있다.

유성의 개수, 밝기, 떨어진 시각을 기록했다면 관찰이 끝난 후 이를 토대로 하루 중 언제 유성우의 활동이 가장 활발했는지(극대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유성의 '시간당 평균 낙하 수'를 계산하여 이전의 관측 자료와 비교해 봄으로써 유성우의 활동 추세를 알아볼 수 있다.

관측일지 예

ⓒ 어바웃어북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 저자김지현 | cp명어바웃어북 도서 소개

‘별은 왜 반짝일까?’라는 기초적인 물음에서부터 태양계, 변광성, 성단, 성운, 우리은하, 별의 일생, 블랙홀 등 천문우주 분야의 핵심적인 스무 개의 주제를 화려한 그..펼쳐보기

전체목차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황홀한 빛줄기의 유성우 관찰하기별 헤는 밤 천문우주 실험실, 김지현, 어바웃어북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