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문학사를 움
직인 100
라틴 아메리카를 그린 현대 문학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Gabriel Garcia Márquez
요약 테이블
출생 1927년 03월 06일
사망 2014년 04월 17일
국적 콜롬비아
대표작 〈아무도 대령에게 편지하지 않았다〉, 《백 년 동안의 고독》 등

라틴 아메리카 대륙의 역사와 민중의 삶을 마술적 사실주의 기법을 이용해 그렸다. 198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 청아출판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마르케스는 콜롬비아의 작가이자 저널리스트로, 라틴 아메리카의 민담과 미신, 콜롬비아 역사, 국제 정치 문제 등을 중심 제재로 삼아 사실과 환상의 경계를 허물어뜨린 마술적 사실주의 작품을 썼다. 그의 작품들은 라틴 아메리카 문학 전통에 모더니즘적 경향이 통합되면서, 현실과 환상, 역사와 설화, 객관성과 주관성이 황당하리만치 뒤섞여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그 가운데 라틴 아메리카 질곡의 역사와 현실, 민중의 삶을 날카롭게 비판, 풍자하면서 평단과 대중 양쪽의 극찬을 받고 높은 인기를 누린 몇 안 되는 현대 문학가가 되었다. 198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가브리엘 호세 드 라 콩코르디아 가르시아 마르케스는 1927년 3월 6일 콜롬비아 북부 해안 마을 아라카타카에서 태어났다. 12남매 중 장남이었던 그는 어려운 집안 형편 때문에 8세에 할아버지가 돌아가실 때까지 외조부모의 집에서 자랐다. 어린 시절에는 조용하고 내성적이어서 집 안에서 고독하게 자랐는데, 이때 외할머니로부터 지역 민담과 전설, 미신적 이야기 등을 많이 들었다. 이때 들은 민담과 미신은 후일 마르케스 작품의 토양이 되었다.

그의 할아버지는 1899년 발발한 콜롬비아 내전(천일 전쟁)에 참전했던 퇴역 군인으로, 마르케스는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이후 인생에 흥미로운 일은 전혀 없었다."라고 말할 만큼 할아버지를 존경하고 사랑했다. 할아버지는 〈아무도 대령에게 편지하지 않았다〉와 《백 년 동안의 고독》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의 모델이 된다.

8세 때 수도 보고타 근교의 시파키라 국립중등학교에 들어갔으며, 19세 때 콜롬비아 국립대학에서 법률과 언론을 공부하다 1948년 내전(보고타소)이 일어나면서 공부를 중단하고 카르타헤나 대학교로 옮겨 갔다. 하지만 자유당과 보수당의 갈등이 다시 극심해지면서 정치적으로 혼란한 상황이 오자 학업을 중단하고 가족과 함께 바랑키야로 이사했다.

마르케스는 콜롬비아 국립대학 시절 야당 성향의 일간지 〈엘 에스펙타도르〉에 첫 소설 〈세 번째 체념〉을 발표한 이후, 이 지면에 꾸준히 작품을 발표하면서 문학가로서 성장했다. 또한 카르타헤나 대학 시절에는 지역 일간지 〈엘 우니베르살〉에 '셉티무스'라는 필명으로 칼럼을 기고하고, 바랑키야로 이주한 후에도 지역 일간지 〈엘 에랄도〉에 칼럼을 기고하면서 저널리스트로서 활동한다.

1954년부터 〈엘 에스펙타도르〉의 기자로 활동하면서 본격적으로 문학가와 기자 생활을 병행했다. 이 시기에 콜롬비아의 정치적 혼란과 내전, 정부군의 시민 학살 등을 목격한 경험 역시 작품의 중심 제재가 된다. 이듬해 첫 번째 장편소설 《낙엽》을 펴냈으며, 그해 정부에 반대하는 논조의 기사를 실으면서 유럽 특파원으로 파견됐다. 그는 파리, 로마, 베네수엘라, 뉴욕 등지를 떠돌아다니면서 콜롬비아의 정치 부패, 장기 집권 음모, 정치적 탄압 등을 비판하는 칼럼을 지속적으로 기고한다.

1958년에는 메르세데스 바르차와 결혼했고, 그녀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을 두었다. 또한 그해에 마르케스는 국가를 위해 치열하게 싸웠지만 잊히고 만 퇴역 군인의 이야기를 다룬 중편소설 〈아무도 대령에게 편지하지 않았다〉를 발표했으며, 《마마 그란데의 장례식》에 수록되는 다수의 단편을 이 시기에 썼다. 이듬해 보고타로 돌아가 국영 통신사 프렌사 라티나에서 일하다가 2년 후 뉴욕 지국 부지국장으로 발령이 나자 사직하고 멕시코로 건너갔다.

멕시코에서 마르케스는 영화 시나리오 일을 하면서 생계를 꾸리고 소설을 썼다. 장편소설 《불행한 시간》, 소설집 《마마 그란데의 장례식》 등을 발표했으며, 1967년에는 대표작 《백 년 동안의 고독》을 펴냈다.

1967년 콜롬비아에서 발행된 《백 년 동안의 고독》 초판 표지

ⓒ 청아출판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백 년 동안의 고독》은 마콘도각주1) 라는 가공의 지역을 배경으로 부엔디아 일족의 역사를 통해 20세기 전반 콜롬비아의 혼란한 정치 상황을 그린 작품이다. 특히 라틴 아메리카의 미신, 신화, 전설 등을 차용한 기괴하고 환상적인 세계를 바탕으로 민중의 삶과 라틴 아메리카의 혼란한 정세를 사실주의적 수법으로 그리고 풍자하면서, 신화적, 초현실적인 분위기를 형성한다. 라틴 아메리카 사람이라면 누구나 자기 자신을 비롯해 친족의 모습을 그 안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하며 라틴 아메리카의 창세기(創世記)라고도 일컬어지는 작품이다.

또한 이 작품은 37개 언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적으로 3천만 부가 팔릴 정도로 높은 인기를 누리며, 라틴 아메리카 문학과 문화에 대한 세계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라틴 아메리카 토착 신화가 지닌 환상성과 사실주의적 수법을 결합시킨 《백 년 동안의 고독》은 마술적 사실주의의 대표작으로 꼽히면서 마르케스는 198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마르케스는 1967년 스페인으로 이주했다가 1975년에 멕시코로 돌아왔다. 이 시기에 그는 라틴 아메리카의 정치 혼란을 중심 제재로 삼은 초현실적인 소설들을 계속 쓰는 한편,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와 함께 문학 비평서 《라틴 아메리카 문학》을 썼다.

1970년대에는 소설집 《순박한 에렌디라와 포악한 할머니의 믿을 수 없이 슬픈 이야기》, 《파란 개의 눈》, 《칠레, 쿠데타와 미국 놈들》, 《족장의 가을》 등을 펴내며 활발하게 활동했고, 1981년에는 또 다른 대표작이자 마르케스 자신이 최고의 작품으로 꼽는 《예고된 죽음의 연대기》를 펴냈다. 소년 시절 겪은 실화를 모티프로, 라틴 아메리카 소도시에서 벌어지는 명예 살인 사건을 통해 인간의 운명을 초현실적으로 묘사한 이 작품은 라틴 아메리카 지역에서만 200만 부 이상이 팔리는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

1982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뒤에도 《콜레라 시대의 사랑》, 《미로 속의 장군》, 《사랑과 다른 악마들》 등의 소설과 시나리오, 희곡 작품 등을 발표했으며, 2002년 3부작으로 예정된 자서전의 1부 《인생을 이야기하기 위해 살다》를 출간했다. 2004년에는 마지막 소설 《내 슬픈 창녀들의 추억》을 펴냈다.

1999년에 임파선암 진단을 받은 뒤 치료 과정에서 두뇌 활동이 둔화되어 말년에는 집필이 어려웠다고 하며, 그해 콜롬비아로 돌아와 주간지 〈엘 캄비오〉를 인수해 활동했다.

2014년 3월 말, 폐렴과 요로 감염 등의 증세로 입원한 후 건강 상태가 악화되어 2014년 4월 17일 사망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이한이 집필자 소개

대학에서 불어불문학을 공부하고 인문 교양 및문학 분야 편집자를 거쳐 현재 출판기획자 및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국외의 교양 도서들을 국내에 번역 소개하는 한편, 대중이 보다 쉽고 재미있게 접근..펼쳐보기

출처

문학사를 움직인 100인
문학사를 움직인 100인 | 저자이한이 | cp명청아출판사 도서 소개

소설, 시, 희곡, 수필 등 문학의 여러 장르를 막론하고 세계문학사에 큰 영향을 끼친 100인의 작가를 소개한다. 중세의 암흑을 깬 영혼의 시인 단테 알리기에리, 사디..펼쳐보기

전체목차
3. 19세기 빅토르 위고, 프랑스의 위대한 문호 알렉상드르 뒤마, 사실과 허구를 넘나든 역사소설가 너대니얼 호손, 청교도적인 주제로 인간의 사회를 탐구하다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아동 문학의 아버지 에드거 앨런 포, 광기에 찬 비운의 작가 니콜라이 고골, 러시아 중단편소설의 시대를 열다 찰스 디킨스, 영국의 위대한 유산 브론테 자매, 문학사를 빛낸 세 자매 이반 투르게네프, 러시아 사회 모순을 파헤친 사실주의 작가 월트 휘트먼, 초월주의에서 사실주의로의 전환 허먼 멜빌, 미국 상징주의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조지 엘리엇, 여류 소설가의 위상을 바꾸다 샤를 보들레르, 퇴폐의 시인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인간의 심리에 천착한 사실주의자 귀스타브 플로베르, 현대를 연 문체의 거장 헨리크 입센, 현대극의 아버지 레프 톨스토이, 러시아 사실주의 문학의 정점 루이스 캐럴, 유머러스하고 환상적인 동화의 세계 마크 트웨인, 미국 문학의 전통을 창조하다 에밀 졸라, 프랑스 자연주의 문학의 대표 토머스 하디, 제도와 인습에 반기를 들다 헨리 제임스, 미국적 가치를 그린 심리소설가 기 드 모파상, 인간의 위선을 간결하게 묘사한 작가 오스카 와일드, 뛰어난 재기의 사교계 인사 아르튀르 랭보, 인간을 속박하는 모든 것에 저항하다 조지 버나드 쇼, 펜 속에 날카로운 칼을 품다 조지프 콘래드, 인간의 어두운 심연을 들여다보다 아서 코난 도일, 명탐정 셜록 홈스의 탄생 크누트 함순, 북유럽 문학의 별 안톤 체호프, 현대 연극의 문을 열다 라빈드라나트 타고르, 인도의 시성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 아일랜드의 신비주의 시인 조지프 러디어드 키플링, 대영제국의 시대정신을 대표하는 작가 H. G. 웰스, 공상과학소설의 창시자 막심 고리키,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창시자 앙드레 지드, 투철한 실험 정신의 작가 마르셀 프루스트, 현대소설의 창시자 로버트 프로스트, 자연 속의 삶을 노래한 시인 토마스 만, 삶에 대한 철학적 통찰을 전개한 소설가 라이너 마리아 릴케, 언어의 연금술사 헤르만 헤세, 알을 깨고 새로운 세계를 열다 E. M. 포스터, 근대에서 현대로의 접점에 서다 기욤 아폴리네르, 상징주의와 초현실주의의 가교 루쉰, 중국 문학의 아버지 버지니아 울프, 페미니즘과 모더니즘의 선구자 제임스 조이스, 문학의 모든 것을 재구성한 실험가 프란츠 카프카, 인간의 불안과 소외를 독창적인 세계로 조명하다 D. H. 로렌스, 성에 대한 진지한 탐구 에즈라 파운드, 시인의 시인 T. S. 엘리엇, 현대시를 이끈 시대의 대변인 유진 오닐, 미국 현대 연극의 아버지 애거서 크리스티, 추리소설의 여왕 펄 벅, 동양을 사랑한 작가 올더스 헉슬리, 현실을 비판하고 미래를 예측한 작가 스콧 피츠제럴드, 재즈 시대를 대표하는 아이콘 윌리엄 포크너, 미국 남부를 대표하는 작가 베르톨트 브레히트, 집단 창작 방식을 고안하다 가와바타 야스나리, 일본 문학의 전통을 현대어로 재탄생시키다 어니스트 헤밍웨이, 불필요한 수식을 빼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현대 환상 문학의 대가 앙투안 드 생텍쥐페리, 지상의 어린 왕자
전체목차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6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1982년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다른 백과사전

노벨문학상 수상자

추천항목


[Daum백과]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문학사를 움직인 100인, 이한이, 청아출판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